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내 예비 학부 유학생 대상 도구적 학문 목적 한국어(KIAP)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 말하기 쓰기를 중심으로

        장지영(Jang Jiyeong),총니(Cong N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에서 한국의 대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예비 유학생 대상 도구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국 내 예비 유학생과 한국 대학교의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중국에서의 한국 대학 입학 준비를 위한 교육 과정이 실제 한국 대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학업 기술을 얼마나 많이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예비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쓰기 학업 기술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예비 유학생과 학부 유학생은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학업 방식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중국 내에서는 발표, 토론, 보고서 쓰기, 시험 답안 쓰기 등 다양한 학업 기술을 학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학문 목적 말하기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학교생활에 대한 말하기’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문 항목의 학문 목적 말하기 기술에 대해 고른 요구도를 보였다. 학문 목적 쓰기 교육에서는 보고서 쓰기, 발표 자료의 제작, 시험 답안 작성하기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유학생의 낮은 숙달도에 맞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쓰기 교육 과정의 설계, 한국의 대학 문화와 관련된 주제 학습, 발표 자료 제작에 관한 수업 제공, 학문 목적 한국어 동영상 수업의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중국 내 예비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중국 내 도구적 학문 목적 말하기 쓰기 교육에 대한 현지 상황을 파악하고 국내 대학 진학 후 학업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학문 목적 말하기 쓰기 학업기술 항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needs analysis for Korean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instrumental academic purposes, focusing on prospective students of Korean universities in China. Looking at 80 Chinese-speaking students in China and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we examined how much the curriculum reflects the academic skills required by Korean universities in China. According to the survey, prospective studen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zed differences in the way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study. In China, they often fail to learn various academic skills such as presentation, discussion, report writing, and test answers. The analysis of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academic speaking confirmed the demand for “speaking about school life” and showed a demand for speak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in the survey items. Writing training for academic purposes identified demands for writing reports, producing presentation materials, and writing test answ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 of a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writing curriculum suitable for the low proficiency of prospective international studen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survey of prospective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to understand the local situation of instrumental academic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in China and analyzed specific academic speaking and writing skills items necessary for academic performance after entering domestic universities.

      • KCI등재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의 동료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 연구 - Zoom을 활용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박진철 ( Park Jinchul ),장지영 ( Jang Jiyeo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 aspects of feedback after conducting peer feedback activities in online Korean writing classes using Zoom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utility and learners’ satisfaction of peer feedback. Peer feedback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sixty students in academic Korean writing classes for one semester in four domestic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Using Zoom, students’ writings were shared during the class and feedback was provided by peer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the style of peer feedback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feedback were provided in the order of content, vocabulary and expression, grammar, and spelling. Second, the way of feedback was used frequently in the order of pointing out errors, suggesting alternatives, paying compliments and asking questions. In addition, a follow-up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 of peer feedback on aspects of educational utility and satisfaction of feedback. 78% of the students surveyed responded positively to motivating learners to study Korean, giving confidence and having interest, which means that peer feedback activities in writing class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writing classes with educational utility. (NamSeoul University·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 운영 현황과 과제

        장지영 ( Jang¸ Ji Yeong ),조은영 ( Cho¸ Eu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 교육 과정의 현황을 분석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교양 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여 향후 한국어 교양 과정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2019년 4월 기준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가장 많은 상위 19개 4년제 대학교의 한국어 교양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20년 1학기에 각 대학에서 개설한 한국어 교양 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한국어 교육 전문가 2명이 각 대학별 운영 방식, 교과 내용, 학문 목적 한국어 성격, 교과 운영 주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대학은 한국어 교양 과정 교과목을 평균 3.02학점(3.61시수)으로 개설하고 있었고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기술은 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각 기술 모두 Dudley-Evans와 St. John(1998: 9)에서 제시한 학문 목적 분류에서 2영역으로 개설되는 경우가 3영역으로 개설되는 경우보다 많았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목은 교양 교육 전담 기관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각 학교에 개설된 학문 목적 한국어는 대부분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한국어이거나 일반 목적 한국어와 차별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자의 실질적 요구에 맞는 다양한 한국어 교양 교과목을 개설할 것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currently operating in Korea to identify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iberal arts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of the Korean liberal arts program in the future. Therefore, as of April 2019, we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at the top 19 four-year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first,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liberal arts courses opened by each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collected, and two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nalyzed each university based on its operating method, subject content, academic purpose Korean character, and subject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ach university offered an average of 3.02 credits (3.61 hou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nd the learning skills covered in the subjects were most in the order of writing, speaking, reading, and listening. In addi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objectives presented by Dudley-Evans and St. John(1998: 9), the case of opening into 2 areas was more frequent than that of 3 areas. And most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were operated by institutions dedic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opened in each school is mostly Korean university lectures or is not differentiated from general purpose Korean.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open various Korean liberal arts courses that meet the practical needs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