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진단에 있어서 요임신반응검사의 기여도와 혈청내 B-hCG의 진단적 가치

        박건남(KN Park),진정자(JJ Jin),장은주(EJ Jang),김동진(D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6

        1987년 3월1일부터 1987년 12월 31일까지 10개월간에 걸쳐 본 지방공사 강남병원 산부인과 에 입원치료하엿던 자궁외임신환자 40예에 대하여 혈중 B-hCG 검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자궁외임신 환자의 B-hCG 치는 36.2mIU/ml에서 41000mIU/ml까지였으며 이는 임신과 무 관한 대조군의 범위인 5mIU/ml이하와는 전혀 중첩되는 일이 없었으나 계류 및 불완전 절박 유산 환자와는 모두 중첩되었다. 2. 정상임신시 보이는 B-hCG 치와의 중첩은 4예이었고, 2예에서는 그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34예에서는 정상임신보다 낮게 나타났다. 3. 난관 파열의 유무에 따른 B-hCG 치는 파열된 예가 파열안된 예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 났으며 큰 차이는 없었다. 4. 요임신반응검사가 자궁외임신에 도움을 준 예는 60.5%에 해당되고 요임신반응검사가 양 성인 에가 음성인 예에 비해 혈중 B-hCG 치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서 첫째, 요임신반응검사의 자궁외임신 진단에 대한 기여도는 약 60%정도의 도움을 얻 을수 있었으며, 둘째로, 방사면역측정방법에 의한 B-hCG 의 측정은 임상적으로 자궁외임신 의 오진율을 훨씬 감소시킬수 있으며,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도 가능하리라 사료되나, 조기 유산 환자와의 감별은 B-hCG 측정외에 기타 진찰소견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rom March 1, 1987. to December 31 1987. Fourty patients with ectopic pregnancy, which were diagnosed by biopsy of surgical specimen, were studied for serum B-hCG levels to evaluated the B-hCG values for aid of early diagnosis of ectoic pregnancy. Thr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range of B-hCG levels of ectopic pregnancy was 36.2mIU/ml to 41000mIU/ml. This range was not overlapped with non-pregnant control group (below 5mIU/ml) but overlapped with all patients with missed incomplete and threatended abortion. 2. This range was below the low normal range of normal pregnancy except 6 cases, 4 cases among the 6 cases were overlapped with B-hCG range of normal pregnancy, and another 2 cases were higher than that range. 3.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B-hCG values in 25 ruptured cases were 6384.8 mIU/ml and 9088.74 mIU/ml but those in 12 unruptured cases were 7154.06 mIU/ml and 12075.35 mIU/ml the ruptured cases showed slighly lowered B-hCG level than that of unruptured cases. 4 the efficacy of the urinary pregnancy test for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was 60.5% and the serum B-hCG levels of positive urinjary pregnancy test group were distinctively higher than that of negateive urinary pregnancy test group . In the above study, the serum B-hCG determination using RIA was useful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but other more diagnostic procedure except serum B-hCG titers were required for differential with early abortive patients

      • KCI등재

        신생아 건강의 지표로서의 제대혈의 pH와 Apgar점수

        김동진,진건,장은주,이재석,유소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9

        저자는 1년에 걸쳐 분만 산모의 제대혈의 pH와 신생아의 Apgar점수 및 질병 유무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불량한 Apgar 점수를 보인 많은 신생아들에서 산성증을 보인 경우가 적음으로 분만 산모의 제대혈의 pH와 신생아의 Apgar 점수의 상관 관계는 불량한 것으로 사료된다. 2.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예견하는 것으로 제대혈의 pH와 신생아의 Apgar 점수의 감수성이 그리 높지 않아 분만시 통상적인 제대혈의 분석은 임상적으로 초기 샌생아의 건강 상태 평가 및 관리에 유용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For determin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cord blood pH and Apgar scoring to estimate the neonatal health, specimens of umbilical cord blood were obtained from 121 deliveries in one year. A nimber of babies who were born in vigorous state were in fact acidotic(umbilical artery pH$gt;1SD below mean). Eighty percent of acidotic babies showed Apgar score?7 at 1 minute, and all acidotic babies showed Apgar score$gt;7 at 5 minute. A X² analysis of arterial pH and Apgar score at 1 and 5 minutes indicated that a larger number of sick babies had Apgar score $lt; 7 and adicosis than well babies. However, the sensitivity values of the Apagar score at 1 minute (0.33), and 5 minutes (0.13), and the arterial pH(0.53) for predicting sick children limit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tests. As a result, Apgar score have poor relation with cord pH and umbilical blood pH & gas analysis add little advantage in neonatal evaluation and further management.

      • KCI등재

        중기임신중절에 있어서 Nalador 와 Mechanical Stimulation (Metreurynter) 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김동진,진건,진정자,장은주,이재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5

        1987년 1월부터 1989년 1월까지 2년간 지방공사강남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15주∼31주의 치료적 유산의 적응증을 가진 27예의 임부에 metreurynter 삽입법이 시행된 경우와 1987년 1월부터 1989년 1월까지 2년간 임신 16주∼31주의 치료적 유산의 적응증을 가진 34예에서 sulprostone근주로 임신중절을 시행한 경우를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군의 평균연령은, metreurynter군에서 22.19±2.54세였으며 sulprostone군에서는 23.76±2.15세로 비슷한 연령분포를 보였고, 평균 임신주수는 metreurynter군에서 20.61±2.18주, sulprostone군에서 21.03±2.14를 나타내어 비슷한 주수를 보였다. 2. 대상군의 분만횟수는 metreurynter군에서 초산부가 15예(55.6%), 경산부가 12예(44.4%)였으며, Sulprostone군에서는 초산부가 19예(55.9%), 경산부가 15예(44.1%)였다. 3. 임신중절의 정응증은 metreurynter군에서는 자궁내 태아사망이 7예로 가장 많았고, 정신사회적인 요인, 모체질환, 태아 기형의 순이었으며, sulprostone군에서도 자궁내 태아사망이 10예로 가장 많았고, 모체질환, 태아기형의 순이었다. 4. 유산 성공률은 metreurynter군에서 27예중 27예(100.0%) 모두에서 이루어졌고, 평균 유산소요시간은 11시간30분±2시간59분이었으며, sulprostone군에서는 유산 성공률이 34예중 30예(88.2%)이고, 평균 유산소요시간은 8시간45분±2시간 3분으로, 24시간내의 유산성공율은 metreurynter군보다 낮지만 유산소요시간은 약 3시간정도 짧았으며, 이 단축된 시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5. 임신주수에 따른 유산 성공률과 유산소요시간은 metreurynter군에서는 27예로 모두 24시간내에 유산되었고, 평균 유산소요시간은 임신 28주∼31주인 군에서 15.80±3.35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임신 15주∼18주인 군에서 9.67±2.71시간으로 가장 짧았으나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sulprostone군에서는 34예중 24시간내에 30예에서 유산되었으며, 임신 28주∼31주인 군에서 15.20±5.46시간으로 가장 길었으며, 임신 15주∼18주인 군에서 6.71±2.67시간으로 가장 짧은 유산소요시간을 나타내었으나 각 임신주수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분만횟수별로는 metreurynter군에서 초산부가 12.25±3.02시간의 평균 유산소요시간을 나타냈고, 경산부는 10.57±2.84시간이었으며, 완전유산이 이루어진 경우는 초산부가 73.3%, 경산부가 75.0%로 분만기왕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Sulprostone군에서 평균 유산소요시간은 초산부가 9.80±2.16시간, 경산부가 7.55±1.88시간이었으며, 완전유산이 이루어진 경우는 초산부가 84.2%,경산부가 86.7%로 분만기왕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두군간의 평균 유산소요시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부작용은 metreurynter군에서 발열, 오심,구토,두드러기의 순으로 발현했고,sulprostone군에서는 오심, 발열, 설사 두드러기의 순으로 발현했으며,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은 metreurynter군에서 태반잔류로 인한 소파술이 5예(18.5%)로 가장 많았고, 용수태반만출이 2예(7.4)%, 자궁경부열상이 4예(14.8%)였으며, sulprostone군에서는 유산실패가 4예(11.8%)로 가장 많았고, 용수태반만출이 1예(2.9%)였다. 유산 실패는 sulprostone군에 현저했지만, metreurynter군에서와 같은 태반 잔류로 인한 소파술이나 자궁경부 열상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8. Sulprostone군에서 4예의 유산 실패한 경우는,초산부 2예로 임신 16주, 25주와, 경산부 2예로 임신 24주,28주였으며, 이 4예는 모두 sulprostone 실패후 metreurynter삽입범에 의해서 평균 5시간 25분±25시간 35분에 완전유산을 보였다. Various methods of termination at midtrimester pregnancy were individually used up to the date, but these conventional methods have frequently caused a few problematic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Since mechanical stimulation is a very efficient way of starting midtrimester labor, it has been the conventional means of inducing midtrimester abortion and no serious side effects have ever been reported. It was used frequently due to its comparative higher abortion rate with low side effects than natural prstaglandins and other methods. The use of natural prostaglandins for midtrimester pregnancy termination has some limitations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of their side effects, limited mode of application and limited efficacy. Recently, new synthetic prostaglandin E2 derivative, Sulprostone (Nalador ; 16-phenoxy-tetranor prostaglandin E2 methyl sulfonylamide) we developed. Sulprostone was proved to be more highly selective for uterine tissue than other prostaglandins and its analogues, which leads to have more specific and effective activity and lower side effects in obstetric use. We evaluated the effect of sulprostone on cases of termination of midtrimester pregnancy between 16 and 31 weeks in 34 patients. Initial dose of sulprostone was 500 mcg by intramuscular route, followed by 3 injections miximum, every 4 hours. Also, we evaluated the effect of mechanical stimulation with metreurynter insertion between 15 and 31 weeks in 27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a) Sulprostone : 23.7 year(16∼37 year of age) b) Metreurynter : 22.2 year (15∼34 year of age) 2. The parity. a) Sulprostone : 34 cases (19 cases were nulliparous, 15 cases were multiparous). b) Metreurynter : 27 cases (15 cases were nulliparous, 12 cases were multiparous). 3. The indication of midrimester abortion. a) Sulprostone : Intrauterine fetal death (10 cases), Maternal disease (5 cases), Psychosocial problem (3 cases). b) Metreurynter : Intrauterine fetal death (7 cases), Psychosocial problem (4 cases), Maternal disease(3cases). 4. The overall abortion sucess rate within 24 hours. a)Sulprostone : 88.2%(30 cases of 34). b)Metreurnter:100.0%(27 cases of 27). 5. The mean induction-abortion interval. a)Sulprostone:8 hrs 45 min +_ 2 hrs 3 min. b)Metreurynter:11 hrs 30 min +_ 2 hrs 59 min. 6. The side effect. a)Sulprostone:nausea(8 cases), fever(6 cases),diarrhea(1 case), rticaria(1 case). b)Metreurynter:fever(7cases),nausea(6cases),vomiting(4 cases),diarrhea(1 case). 7.The main complication. a)Sulprostone:Failed abortion(4 cases) Manual removal of placenta(1 case). b)Metreurynter:curettage from retained placenta(5 cases) Cervix laeration(4 cases) Manual removal of placenta(2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