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기술(IT)역량 제고를 위한 공인회계사 시험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안성윤,구정호,김효진,장온균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저널 Vol.28 No.5

        본 논문은 2018년 발족된 한국회계학회 미래교육위원회의 ‘IT역량 제고를 위한 공인회계사 시험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학계 및 업계와 공유하여 최근의 공인회계사 양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과정에 기여함으로써 실현가능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래교육위원회는 2017년 이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회계학의 비전에 대한 한국회계학회의 기조에 이어 글로벌 회계환경 변화의 핵심동력을‘IT발전’으로 보고 ‘IT역량을 제고하는 회계교육을 통해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역량을 지닌 회계전문직 미래세대를 양성하는 것’을 발전방향으로 수립하였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IT역량 제고 요구에 대한 대응력을 갖추고 있는 Big4 대형회계법인의 현직 공인회계사 1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국제회계환경의 변화가 국내 회계환경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공인회계사 세대가 IT역량을 갖추기 위해 공인회계사 시험제도에 IT내용을 검증해야 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것은 ‘IT기술을 많이 활용하는 피감사기업의 증가’이다. 이는 감사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전문가적 판단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감사인이 반드시 IT역량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IT발전은 감사대상인 기업에서 발생한 것이라는 점에서 감사인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환경의 변화로 감사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안을 파악해야 하고, 감독당국도 산업에서의 IT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한다. 둘째, 공인회계사 시험출제범위로 우선하여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데이터분석(빅데이터, 통계, 의사결정)’이 현재의 공인회계사 시험에서검증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대응방안을 필요로 한다. 단기적 개선방안으로 현재 제2차시험과목 회계감사의 출제범위, 비중, 난이도 등을 국제적수준에 부합하는지 검토가 필요하고 최근 변화된 IT내용을 반영할 수 있다. 경영환경과 관련된 IT내용은 제1차시험과목 경영학에서 출제하고, 사전학점이수제도에 경영학, 경영정보계열의 IT교과목을 학점인정과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IT발전으로 인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부합할 수 있지만 회계와 관련된 IT역량은 검증할 수 없다는 한계가 크다. 회계와 관련한 IT공교육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역량중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대학의 교육과정과 실무연수 및 실무수습 과정이 연계될 수 있도록 공인회계사 선발제도에서 검증되는 IT역량을 체계화하여 핵심 IT역량을 파악하고 집중 투자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하고 시급한 현안의 우선순위를 ‘공익’에 두고 회계감사에 집중하여 논의한 한계가 있다. 장기적으로 회계감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회계 세부분야의 IT내용을 반영하여 공인회계사 선발과정에서 IT역량을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고 IT회계교육이 실제 교육과정에 도입될 수 있다면 사전학점이수제도에서 회계·세무학계열의 IT교과목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대학의 교육환경을 고려할 때, 융합, 캡스톤 등 다학제간 교육과정과 회계학의 IT 교육과정의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교육위원회는 IT역량 제고의 교육이 ‘미래세대’를 위한 핵심적... This study disseminates and shares the research results of 2018 Korean Accounting Association(KAA)’s Future Accounting Education Committee wi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with an aim to facilitate the consensus-building process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agreement among the stakeholders to improve the Korean CPA examination for the enh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etence. Since 2017, the plenary sessions at KAA have addressed the needs for effective measures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uture Accounting Education Committee recognizes that the advanc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is a critical factor in fostering a new generation of professional accountants with IT competence at the highest proficiency level to meet the demands of today’s global market. The followings are the main survey results from the 110 CPA respondents who work in public accounting at the Big4 accounting firms with global capabilities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IT advancement. First, the respondents emphasized the need to include sections in the CPA examination to test the IT competence of an individual as a response to the growing number of ‘audited firms’ using I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uditors should be proficient at using IT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audited firms’ business environment and use professional knowledge for professional judgement. It further implies that CPAs, including monitoring and oversight bodies, should identify the issues that can increase future audit risks, and prepare the counterplans for uncontrollable risks. Seco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uggest that the topic of ‘Data Analytics(big data, statistics, decision-mak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CPA examination sections. Short-term improvements are as follow. Whether the auditing and attestation section in the current Korean CPA Examination effectively tests the IT competence at the global level of proficiency should be reviewed and the scoring weight of areas and questions need to be adjusted accordingly. Th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MIS) area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section covers the IT topics related to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 Furthermore, a list of CPA prerequisite courses from universities and colleges may include th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IS courses that provide the IT curriculum. These short-term improvements correspond with global trends in IT areas; however, they have explicit limitations in testing the IT competence for professional accountants. It is important, therefore, that the public education system offers accounting courses that are designed to enhance IT competence. With the change in the CPA examination where IT competence is tested, it becomes imminent for the university's curriculum to reflect the need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and further investment to meet this end is necessar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mainly focuses on the auditing and attestation section that is central to the public interests in the market. Long-term improvements should include other accounting sections in the CPA examination that also require higher level of IT proficiency to secure licensed and qualified CPAs. Therefore, a continued research in the accounting education to improve CPA’s IT competence is necessary. A list of CPA prerequisite equivalent cours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IT accounting curriculum needs be identified and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such as convergence education and capstone should be developed. The KAA Future Accounting Education Committe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advancement in IT that should be at the core of accounting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professional accountants. Further, it emphasizes the urgency of building the IT infrastructure in the university’s accounting education, including activities such as developing 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