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위기청소년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군포시를 중심으로

        장여옥(Chang, Yook),조미영(Cho, Mi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위기청소년에게 지원서비스 및 상담을 진행하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위기청소년의 경험을 근거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포시에서 청소년 보호서비스 및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관련 기관의 현장전문가 6명을 선정하여 2020년 10월 27일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구절이나 문장을 찾아 중심개념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1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변화된 환경에서 발견된 청소년 위기의 심화’에서는 마음이 아프고 지친 청소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청소년과 코로나19로 더 심해진 부모-자녀 갈등이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필요한 실제적 도움’은 내 방이 없는 집에서 온라인 학습하기와 관련한 지원과 정서적 및 경제적 지원이다. 셋째, ‘경제적 위기 및 가정해체 극복에 필요한 자립 지원’에서는 위기 상황에 맞서 진로 준비하기와 원가정과 분리를 통한 나를 찾기로 나타났다. 넷째, ‘적정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의 협력 및 지원’으로는 따로 또 같은 현장전문가와 교사에 대한 협력 지원과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해 다 함께 모여서 협력하기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약가정에 대한 지원 방안과 청소년지원협의체에 대한 지원 및 민간단체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위기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pport plan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at-risk for field experts who provide support services and counseling to youth at-risk during the COVID-19. Six field experts who are conducting youth protection services and counseling in Gunpo c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October 27, 2020. The interview questions took the form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derived through discussion among the researchers. As a result of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central concepts by searching for meaningful phrases or sentences, 4 components, 9 sub-components, and 11 meaning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deepening of the youth at-risk found in the changed environment showed the youth who were sick and tired, the youth who did not know what to do, and the parent-child conflict that got worse due to COVID-19. Second, ‘practical help needed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support related to online learning at home without my room, as well as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Third, ‘support for self-reliance necessary to overcome economic crisis and family disintegrations’ was found to be prepared for a career in the face of crisis and to find myself through separ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Fourth, ‘collaboration and support of experts to respond appropriately’ refers to cooperation and support for the field experts and teachers, and to gather together and cooperate to support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on support plans for vulnerable families, support for youth support councils, and ways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private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ractical support plan that can help youth at-risk in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승화 ( Seunghwa Lee ),장여옥 ( Yook Ch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8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가족건강성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청소년의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감정표현에 대한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가족건강성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20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from July 13 to Aug. 14, 202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First, it was found that family strength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family strength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from being addicted to smartphone, the importance of parents’ continuous interest in expressing emotions of adolescents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family strength were mention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경험 연구

        장여옥 ( Chang¸ Yo O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비대면 청소년활동으로의 전환과 새로운 청소년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소년시설에서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경험해본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활동을 실시하는 청소년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특별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9명을 선정하여 2021년 4월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5개의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시설의 변화는 진입장벽의 어려움과 소규모 청소년활동 및 민감해진 방역활동이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초기 혼란스러웠던 비대면활동, 비대면 청소년활동의 어려움, 비대면 청소년활동 평가, 비대면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프로그램 기획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이었다. 넷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교육은 관계형성 기술, 영상촬영 및 편집 교육,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활동 방향은 혼합형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비대면활동에 필요한 청소년지도사 역량 강화, 청소년센터의 예산지원 및 평가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Background: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activities at youth facilities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change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a change in perception of new youth activities are required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conduct youth activitie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Methodology: Nine youth workers working at the Seoul youth training facil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in April 2021.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major topics, 12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changes in youth facilities due to COVID-19 were difficulties in entry barriers, small-scale youth activities, and sensitive quarantine activities. Second, youth activities in the COVID-19 were initially confusing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evaluation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effort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activities. Third, the competency need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the ability to plan programs and use digital devices. Fourth, the education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found to be relationship formation skills, image photographing and editing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Lastly,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was the activation of mixed youth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for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youth workers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to change the budget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youth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