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rkov-Chain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한 준 분포형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및 모형 불확실성 분석

        최정현 ( Choi Jeonghyeon ),장수형 ( Jang Suhyung ),김상단 ( Kim Sangdan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6 No.5

        Hydrological models are based on a combination of parameters that describ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within a watershed. For this reason, the model performance and accuracy are highly dependent on the parameters. However, model uncertainties caused by parameters with stochastic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As a follow-up to the study conducted by Choi et al (2020), who developed a relatively simple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we propose a tool to estimate the posterior distribution of model parameters using the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a type of Markov-Chain Monte Carlo technique, and analyze the uncertainty of model parameters and simulated stream flow. In addition, the uncertainty caused by the parameters of each version is investigated using the lumped and semi-distributed versions of the applied model to the Hapcheon Dam watersh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ncertainty of the semi-distributed model paramete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lumped model parameters because the spatial variability of input data such as geomorphological and hydrometeorological parameters was inherent to the posterior distribution of the semi-distributed model parameters. Mean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models in terms of uncertainty of the simulation outputs. The statistical goodness of fit of the simulated stream flows against the observed stream flows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in both the semi-distributed and the lumped models, but the seasonality of the stream flow was reproduced relatively better by the distributed model.

      • KCI등재

        증발수요 가뭄지수의 적용성 연구

        원정은(Won Jeongeun),장수형(Jang Suhyung),김경민(Kim Kyungmin),김상단(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Drought monitoring is necessary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drought monitoring currently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s heavily dependent on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which considers only precipitation. However, since SPI does not account for meteorological variables other than precipitation, it cannot account for the impacts of increases in evapotranspiration due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tudies on various drought indices that can reflect changes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0) have been undertaken, and a new E0-based drought index, the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EDDI for drought monitoring in South Korea was evaluated using meteorological data from the KMA for the period 1981-2017. The temporal behaviors of EDDI and SPI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EDDI and SPI over various time-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DDI reproduced past drought events well and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PI. Therefore, EDDI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drought monitoring. 수자원 관리에 있어 가뭄 모니터링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다. 현재 한국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가뭄 모니터링은 오직 강수량에 의해 좌우되는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SPI)에 많이 의존되어 있다. 하지만 SPI는 강수 이외의 기상학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가뭄 모니터링 분야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잠재증발산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가뭄지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잠재증발산 기반의 새로운 가뭄지수인 증발수요 가뭄지수(EDDI)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상청 산하의 기상관측소의 1981-2017년까지의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EDDI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EDDI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DDI와 SPI를 다양한 지속기간에서 비교하여 EDDI와 SPI의 시간적인 거동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EDDI는 과거 가뭄사상을 잘 재현하였으며 SPI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EDDI는 가뭄을 모니터링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일 강수량자료의 시간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추계학적 점강우모형의 적용

        이옥정(Lee, Okjeong),최정현(Choi, Jeonghyeon),장수형(Jang, Suhyung),김상단(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1

        In this study, a stochastic point rainfall model which uses the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rain cell intensities is applied to downscale daily rainfall data into sub-daily rainfall data. Cluster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vents are simulated by using the Neyman–Scott cluster point process. The model performance in producing sub-daily rainfall time series from daily rainfall time series is evaluated with rainfall data at Gangreung, Busan, Mokpo, and Incheon situated on coastal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Results from generating long time rainfall events show that the model reproduces well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ainfall time series and has better ability than original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in reproducing statistics related to dry period and extreme rainfall events. 본 연구에서는 일 강수량 자료를 시간 강수량 자료로 다운스케일링하기 위하여 강우세포의 강도를 3-변수 지수분포로 모의하는 추계학적 점 강우모형이 적용된다. 강우사상의 군집특성은 Neyman-Scott 군집 점 과정을 이용하여 모의된다. 연안지역에 위치한 강릉, 부산, 목포, 인천 지점의 일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장기간의 여름철 강우사상들을 모의 발생한 결과, 모형은 관측된 강우 시계열의 통계학적 특성을 적절히 재현하고 있으며, 특히 무 강우 및 극한강우와 관련된 통계특성의 재현에 있어서 기존의 Neyman-Scott 구형 펄스 모형보다는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 KCI등재

        해수면온도가 태풍강우 최대화에 미치는 영향

        최정현(Choi Jeonghyeon),이옥정(Lee Okjeong),장수형(Jang Suhyung),조덕준(Jo Deok Jun),김상단(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태풍 매미를 대상으로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모형을 이용하여 초기 및 경계조건의 해수면온도 및 상대습도의 변경을 통해 태풍 강우량을 최대화하고, 해수면온도가 태풍 강우량의 최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전연구를 통해 수치적으로 재현된 태풍 매미를 기반으로, 태풍으로 유입되는 수증기량을 증가시켜 태풍강우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형의 초기 및 경계조건 중 상대습도를 100 %로 고정하고 해수면온도를 0.0 ℃에서 5.0 ℃까지 증가시켜가며 태풍 강수량이 모의되었다. 모의된 태풍의 강우를 살펴본 결과, 해수면온도의 증가에 따라 모의된 총 강우량의 공간적인 분포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해수면온도의 변화는 육지에 떨어지는 강우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해수면온도의 증가와 육지에 떨어지는 강우량은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풍강우 최대화를 위해서는 무조건적으로 해수면온도를 증가시켜 WRF를 구동하기 보다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수치실험을 반복하여 모의하고자 하는 태풍에 가장 적합한 최적 해수면온도 증가량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model was used to maximize typhoon rainfall depth by changing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The effects of SST on maximizing typhoon rainfall depth were analyzed. Typhoon MAEMI’s rainfall depth, which was numerically reproduced by pre-study, was maximiz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vapor entering the typhoon. For thi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del was fixed at 100 %, and the typhoon rainfall was simulated by increasing SST from 0.0 °C to 5.0 °C. The simulation of typhoon rainfall under various SSTs indicate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mulated total rainfall depth varies with increasing SST.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SST greatly affects the rain falling on the lan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total rainfall depth on land and changes in SST do not exhibit a linear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optimal increase in SST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typhoon by carrying out repeated numerical experiments using various SST conditions, rather than unconditionally increasing SST to maximizing typhoon rainfall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