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처드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에 입각한 인터렉티브 아트의 세 가지 유형과 그 가치에 관한 연구

        정하원 ( Hawon Jeong ),장민한 ( Minha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논문의 목적은 리처드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을 통해 인터렉티브 아트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것이 지닌 예술적 가치를 명확히 규명하는 것이다. 슈스터만의 경우 철학에서 무시되었던 몸의 분야에 주요한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인간의 감각적 지각을 미적 경험의 주된 능력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슈스터만의 미적 경험과 ‘신체(soma)’의 관계 측면에 주목하여, 그의 이론이 어떻게 인터렉티브 아트의 유형을 나누는 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신체미학을 위한 문헌 연구 및 신체미학의 관점에서 본 인터렉티브 아트 대표 사례 연구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자의 신체적 지각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 인터렉티브 아트이다. 둘째, 관람자가 스스로 미적인 고양을 경험하도록 유도하는 인터렉티브 아트이다. 셋째, 관람자가 자기 자신을 창조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욕구를 갖도록 만드는 인터렉티브 아트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인터렉티브 아트의 가치평가 문제에 있어서 유용한 기준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types of interactive art through Richard Shusterman’s Somaesthetics, and to clarify the artistic value it has. For Shusterman’s perspective, human sensory perception is regarded as the main a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by attaching major value to the area of the body that had been ignored in traditional philosophy. Thu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aspect of relationships between Shusterman’s aesthetic experience and ‘soma’, analyzing how his theory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in dividing the types of interactive art. The research method was done with the literature study for somaesthetics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 study of interactive art from the point of view of somaesthe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is interactive art that is aimed at improving the viewer’s physical perception. Second, it is interactive art that induces viewers to experience aesthetic uplifting on their own. Third, it is interactive art that makes viewers desire to improve themselves creatively. Through such consider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a useful criterion in the valuation of interactive art.

      • KCI등재

        디지털 추상 이미지의 유형과 가치에 대한 연구

        소나영 ( So Na Yeong ),장민한 ( Minhan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예술의 제작방식이 크게 변화하였다. 디지털 기술과 예술이 결합하면서 디지털 추상 이미지도 새로운 형태의 예술작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매체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등장한 디지털 미디어로 구현된 추상 이미지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 글에서는 추상미술의 개념과 전통적 매체의 추상미술 원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디지털 추상 이미지의 유형과 가치를 고찰한다. 본 연구자는 디지털 추상 이미지는 전통적인 매체에서의 추상미술과 다른 미학적 특성을 지니며, 전통적 매체의 추상미술의 유형 구분과는 다른 구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전통매체에서의 추상의 원리를 한편에서는 자연에서의 추출과 변형을 통한 이미지의 구성, 다른 한편에서는 기하학적 구성과 감정의 무의식적인 자발적 표현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다. 그에 반해 디지털 매체에서의 추상의 원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창발성에 기반을 둔 생성 예술로서의 추상,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의한 이미지의 변형과 복제가 주는 미적 구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추상 이미지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첫 번째는 디지털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가상적 세계를 창조하거나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생성 예술로서의 디지털 추상`이다. 두 번째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자연 이미지의 추출과 이미지의 합성(복제(조합을 통한 `미적 구성으로서의 디지털 추상`이다. `생성 예술로서의 디지털 추상`은 디지털기술이라는 매체가 더욱 강조되는 반면에, `미적 구성으로서의 디지털 추상`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예술가의 미적 개입이 강조된다. 전자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창발적 이미지 자체에 주목하여 그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가시적 가상세계를 상상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면, 후자는 디지털 이미지가 지닌 무한 복제와 변형의 가능성을 이용하여 작가의 의도에 부합하는 미적인 형태의 가상 이미지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Recent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have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art creation. As art fused with digital technology, digital abstract images have emerged as a new art form. In this study, we examine such abstract images, realized throug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rapid development of relevant media. The types and value of digital abstract imag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abstract images in traditional mediums is analyzed. We propose that digital abstract images have distinct aesthetic properties compared to abstract images using traditional mediums, and state that digital abstract images call for a set of distinctions different from those applied to abstract images using traditional mediums. When using traditional mediums, the principle of abstraction may be defined as the composition of images through extraction from or modifications of nature, geometrical constructions, or a spontaneous expression of subconscious emotions. In contrast, the principle of abstraction in the case of digital mediums refers to generative art, based on the emergent nature of computer programming. It also refers to aesthetic construction realized through the modification and duplication of images using digital technology. We identify two broad types of digital abstract images: (1) "digital abstraction as generative art" where digital technology is used to create virtual worlds or to visualize data and (2) "digital abstraction as aesthetic construction" where digital technology is used to extract or synthesize/duplicate/combine natural images. While the former emphasizes the medium of digital technology, the latter emphasizes the artist`s continued aesthetic involvement despite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hile the value of stems from its focus on the emergent image created by computer programming and prompts the viewer to imagine the non-visual virtual world that generates that image, the value of stems from the construction of aesthetically formed virtual images that accord with the artist`s intentions, created through endless possibilities for duplication and modification inherent in digital images.

      • KCI등재

        동시대 아카이브 미술의 세 가지 유형과 그 가치에 관한 연구

        김혜민 ( Hyemin Kim ),장민한 ( Minha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의 목적은 비평 담론을 통해 동시대 아카이브 미술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것의 예술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이다. 아카이브 미술은 아카이브 자료를 활용하는 미술로, 근대적 아카이브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서 등장했다. 연구자는 동시대 미술 실천의 한 방법으로 자리 잡은 아카이브 미술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것들이 각기 다른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아카이브 미술에 주목해온 대표적인 이론가들의 담론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카이브 미술 유형 분류 및 사례 분석을 시도했다. 첫째, 문화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아카이브 미술이다. 둘째, 대안 서사를 탐색하는 아카이브 미술이다. 셋째, 근대적 역사관을 해체하는 아카이브 미술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아카이브 미술 비평과 가치평가 문제에 있어서 유용한 기준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types of contemporary archival art through critical discourses and to clarify its artistic value. Archival art is a form of art that utilizes archive materials, and has emerged as a counter discourse against modern archives. Archival art has now become a method of contemporary art practice.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found that archival art appears in various forms, and tried to clarify that they have different artistic value. The study was done with a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er studied the discourses of representative theorists who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archival art and tried to classify the types of archival art and analyze the examples of archival art. First, it is archival art that explores cultural identity. Second, it is archival art that explores new alternative narratives. Last, it is archival art that deconstructs the modern view of his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providing useful criteria for criticism and valuation of archival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