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웨이파인딩(Wayfinding)이 시지각적정보와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정보처리유형을 중심으로-

        박경하 ( Park Kyoung Ha ),장동련 ( Jang Dong Ryun ),오명열 ( Oh Myung Youl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현대사회는 급변하고 있고, 그에 따른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게 되었다. 복잡다단한 주변 환경 속에서 고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고객관리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화시대에서 사람들의 욕구를 채워주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담은 멀티플렉스몰이 각광을 받는 것은 어쩌면 시대적 요구를 담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멀티플렉스몰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방문자들이 찾게 되는 이유로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고, 많은 상업적 정보가 존재하는 복합 건축물의 증가로 목적지를 효율적으로 찾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방문자들에게 길찾기 정보시스템은 폐쇄된 공간 내에 보다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중심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길찾기 능력에 따른 방문자들의 태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 정보의 처리유형에 따른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적 성향에 따른 정보처리유형과 태도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는 향후 길찾기시스템, 즉 물리적 서비스면에서 고객마케팅 발전 방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근 늘고 있는 지하 복합 상업 시설물에 대한 방문증가와 개인별 공간지각력에 따른 소비자의 인사이트를 분석하여 향후 마케팅 활성과 시장 대처 방안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and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oexist around us everyday. In these complex variety of living space, the pathfinding ability on the visual Perceptual information is the important part of the function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along with an increase i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The type of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ge appears as one of the main ways to find a destination in the architectural space efficiently with increasing complex buildings which have various space. As a part of the way of the Land-Value rising and the conservation of ground, the speed of the underground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rapidly. Most of these types of underground development is kind of complex buildings. Due to the purpose that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entertainment elements such as exhibition, shopping, etc. in the limited space, problems that cause confusion to users may occur because of a provision of the colorful visual attractions. Wayfinding information system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erms of user-centric service designs that can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in a closed space. In other words, It requires new thinking, new approaches to reduce the gaps in their ability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the market. So It would have a significance that this paper establish a foothold that expand wayfinding problem to marketing-related research of the social sciences.

      • KCI등재

        행동지향적 조절모드가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과 사용자 가치의 매개역할과 한,미 간 차이를 중심으로-

        성주염 ( Joo Yum Sung ),장동련 ( Dong Ryun Jang ),김현석 ( Hyun Su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개인차이 변수인 행동지향적 조절모드를 문화적 차원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한ㆍ미 간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행동지향적 조절모드와 스마트폰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한.미 간 소비자 태도의 차이를 지각된 위험과 사용자 가치의 매개를 통해 검증하였다. 미국은 우리나라 스마트폰의 최대 수출국이면서 문화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국가로 디자인과마케팅 전략에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차이 변수 중 하나인 행동지향적 조절모드가 한.미 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변수임을 증명하였으며, 행동지향적 성향이 한국보다 미국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행동지향적 조절모드가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한국집단은 사회적 가치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미국 집단의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행동지향적 조절모드를 독립변수로, 지각된 위험(경제적/기능적 위험)과 사용자 가치(사회적/감정적 가치)를 매개변수로,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에서 각 변수 간의 관계는 경제적 위험과 감정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모두 한.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IT산업에서의 비교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며, 문화나 개인에 따라 제품의 디자인과 소구전략에 차별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e in terms of locomotion mode, one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And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been verified in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and locomotion mode through the medium of perceived risk and user value.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from the comparison with the US, the top export destination of Korea. From this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the Locomotion Mode, a variable among individual differences, has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wo nations, and America has record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Korea. In effects of the Locomotion Mode on purchase intention, the Korean groups responded to the intermediary effect of social values, while the American groups had intermediary effects on higher level of emotional values. A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 of each variable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except for influences of financial risks and emotional value up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will surely help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to develop new products, suggesting a sensible method for design and market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