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중 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평판형 마이크로파 바이어스-티의 설계

        장기연(Ki-Yeon Jang),오현석(Hyun-Seok Oh),정해창(Hae-Chang Jeong),염경환(Kyung-Whan Yeom) 한국전자파학회 201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집중 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평판형 마이크로파 바이어스-티의 설계를 보였다. 설계된 바이어 스-티는 DC 블록과 RF 초크로 구성된다. DC 블록용 커패시터는 광대역으로 동작하는 커패시터를 사용하였고, DC 공급 및 RF 초크용 인덕터는 서로 다른 자기 공진 주파수(SRF: Self Resonance Frequency)를 가지는 인덕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였다. RF 초크에서 집중 소자들의 직렬 공진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호의 손실을 병렬의 저항과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해결하였다. 설계된 바이어스-티는 1608 칩 형태의 집중 소자들을 이용 조립하여 제작하였다. 측정은 커넥터의 손실과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Anritsu 3680K jig에 연결하여 측정하였다. 제작된 바이어스-티는 10 ㎒~18 ㎓의 광대역에서 동작하고, 측정된 반사 손실이 ?15 ㏈ 이하를 가지며, 삽입 손실은 ?1.5 ㏈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design of planar microwave bias-tee using lumped elements was presented. The bias-tee is composed of 2 blocks; DC block and RF choke. For this design of the bias-tee, a wideband capacitor was used for DC block. For a RF choke, a series connection of inductors which have different SRFs is used for a RF choke. In the RF choke, a series connection of resistor and capacitor was added in shunt to eliminate a loss from a series resonance. The designed bias-tee was implemented by using 1608 SMT chip components. The fabricated bias-tee was measured using Anritsu 3680K fixture which enables to remove an effect of a connector. The fabricated bias-tee presented ?15 ㏈ of return loss and ?1.5 ㏈ insertion loss at 10 ㎒~18 ㎓.

      • KCI등재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홍장우(Jang-Woo Hong),유찬욱(Chan-Uk Yoo),강미영(Mi-Yeong Gang),장기연(Ki-Yeon Cha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4

        목적 : 본 연구는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2명으로 실험군(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작업치료 프로그램 및 전통적인 작업치료) 11명과 대조군(전통적인 작업치료) 11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1회당 30분씩 주 3회 6주간 총 18회의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1회당 30분씩 주 2회는 12회의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아 총 30회의 치료를 시행 하였다. 대조군은 1회당 30분씩 주 5회, 6주간 총 30회를 작업치료사를 통하여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 후로 손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Nine-hole pegboard test와 뇌졸중상지기능검사(MFT)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과 후 Nine-hole pegboard test와 MVPT-3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p<.05). 두 군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Nine-hole pegboard test와 MVPT-3결과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시각 및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시․지각기능의 향상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gital pegboard training program wi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on hand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enty two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using a digital pegboard training program wi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n=11), whil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n=11). Hand function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the Nine-Hole Peg Test and manual function test (MFT), while visual perception was assessed using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rd edition (MVPT-3). Results : Following the interventio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rformance in the Nine-Hole Peg Test and MVPT-3 (p<.05). The improvement on both test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pegboard training wi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may improve hand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in stroke patients.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in occupational therapy to aid the recovery of strok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