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사직과 복직의 경험 : 어린이집 장기 미종사자 직무교육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임희수(Im. Hee Soo),임은미(Im. E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장기 미종사자 직무교육에 참여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사직과 이직의 경험 및 복직을 준비하면서 바라는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2020년 부산 처음으로 실시한 어린이집 장기 미종사자 직무교육에 참여한 교육생 54명 중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각 1회의 집단면담과 개인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폭넓게 들어보기 위해 반 구조화된 면담방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보육교사를 그만 두게 된 이유로는 자녀 육아에 전념하기 위해,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부모들의 무시 등의 이유가 있었으며, 다시 복직하면서 바라는 사항은 보육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처우개선 및 근로복지, 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강화, 인성교육 강화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전히 만연해 있는 보육현장의 문제점을 깨닫고, 우수한 교사가 보육현장을 떠나는 것을 예방하고,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lected eight out of 5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education for long-term unworked worker in child care centers for the first time in Busan in 2020 as research participants to hear about their experiences in resigning and changing jobs and what they wanted while preparing for reinstatement, and conducted one group interview and one in-depth discussion of individual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reasons for quitting child care teachers were to concentrate on child care, stress from work, relationship, and disregard from parents, and what they wanted to do when they returned to work were the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concentrate on child care,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labor welfare, the strengthening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he strengthe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realize the problems of child care sites that are still prevalent,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excellent teachers from leaving child care sit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 KCI등재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임희수(Im Hee Soo),임은미(Im E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중인 학생 총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요 Person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습몰입, 자기주도학,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오라인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affect online classe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74 students attending three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 program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1986) 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flow,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academic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strategies should be used by teachers and learner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에서 영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진성리더십 매개효과

        임희수(Im hee soo),박윤정(Park yun j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 교사 400명 중 최종 선정된 383명을 대상으로 Pearson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첫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권리존중실행 및 원장의 진성리더십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영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들에게는 리더로서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스스로를 돌아보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적절하게 지지해 줌으로써 아동학대를 줄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rector s genuine leadership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of teachers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performed on 383 teachers who were finally selected out of 400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s job stress, the execution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he director s genuine leade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rector s genuine 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of teachers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Conclusions Thi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child abuse by providing directors who operat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with an opportunity to recognize once again how important their role as leaders is and properly supporting teachers job stres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희수(Im, Hee Soo),임은미(Im, E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정서지능, 영유아권리 존중보육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52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 후 통계적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하위 변인 중 운영 및 의사결정 참여만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사고촉진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들은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은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영유아를 위한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있어,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452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Busan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Sobel Test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ft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 s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As a result of data analysis, first, only the operation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f the sub-variables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had an effect on respect for infant and child rights by all sub-variables except for the promotion of thinking.,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임희수(Im. Hee Soo),임은미(Im. E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대학생활적응, 대인관계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인관계 능력을 통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국립대학교 재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Pearson 상관분석과 Baron & Kenny(1986)제시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 대학생활적응, 대인관계 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과보호와 대학생활적응, 대인관계 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능력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적응을 제외하고, 사회적 적응과 개인-정서적 적응은 대인관계 능력의 모든 하위변인인 처음 관계 맺기과 권리주장, 자기노출 및 정서적지지, 대인갈등 다루기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시사해 줌과 동시에 각 대학에서는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및 의사소통과 같은 원만한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과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 Kenny (1986) analysis of 461 students at National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parents who were lat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 s nurturing attitude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interpersonal skills. The data analysis fir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of a mother who was late for college and her ability to adapt to college life, and interpersonal skill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misalignment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protection of a mother who was late for college and the ability to adapt to college life, except for academic adaptation, which is a lower-level variable in interpersonal skills, social adaptation and individual-book adaptation. This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he importance of parents by giving each university at the same time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 program to promote an amicable, such as interpersonal skills.A systematic and concrete programs to improv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s, and requires active efforts to suggest.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이희영(Lee hee yeong),임희수(Im hee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와 유아 자기조절력의 매개적 역할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7곳, 어머니 29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자기조절력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력,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 정적상관이, 거부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인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유아기에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위해 적절한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Methods Two hundred ninety one mothers who have preschoolers from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Baron and Kenny(1986)’s three step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 adjustment. Sobel test was used to test significance.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were positively and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Seco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revealing the mediating role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preschool adjustment which was paid scant attention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아동학대신고의무자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지은(jee eun Lee),임희수(hee soo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매년 들어여야 하는 의무교육 중 하나인 아동학대신고의무자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2022년 부산시청 출산보육과의 주최로 5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된 어린이집 보육교사 맞춤형 아동학대 예방교육에 참여한 부산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경력, 어린이집 유형, 성별을 고려하여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아동학대신고의무교육을 듣었던 방법은 온라인으로 듣었던 교사와 온라인, 대면수업을 병행한 교사로 나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은 듣기 편안한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에 들었던 아동학대신고의무교육은 대부분 비슷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교사들이 희망하는 교육방식은 질의 응답이 가능한 소집단의 대면수업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아동학대신고의무자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점검해보고 아동학대의 예방을 위해 정책적으로나 교육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정책적, 교육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teachers'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which is one of the compulsory education that child-care teachers should take every year. Methods In 2022, 16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Busan who participated in customize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conducted from May to November by the Busan City Hall's Childbirth and Child Care Divisi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first, the method of listening to the child abuse reporting compulsory edu-cation was divided into the teacher who listened online and the teacher who attended both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but most of the teachers preferred the online class which was comfortable to listen to.Second, most of the compulsory child abuse reporting education was composed of similar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method that teachers wanted was a small group face-to-face class that can answer ques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amined the problems of child abuse reporting obligor education and suggested policy and educational measures based on teachers' thoughts on matters that need to be improved politically and educationally to prevent child abuse.

      • KCI등재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Kim. Min Ji),이희영(Lee. Hee Yeong),임희수(Im. Hee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거제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14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 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하위변인 중 정서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은 교사의 정신건강 하위변인 중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하위변인 중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은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의 전인적인 발달과 보육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심리적 소진에 대한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on their mental health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reschoolers. Two hundred fourteen preschool teachers in Geoje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reduction of personal accomplishmen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ir anxiety. Second, dehumanization and the reduction of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d on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However emotional exhaustion was not a influential variable 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event and control psychological burnout which has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for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high quality child-care service.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적 교육과정 재구성 모델 개발

        정대현(Dae-Hyun Jung),신원애(Won-Ae Shin),임희수(Hee-Soo 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2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을 통해 5세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목표, 적용내용, 교사 역할 및 지도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세계관적 교육과정 재구성 모델을 개발한 후, 현장에서 실제를 통해 성경적 재조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 5세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교수모형 개발을 위해 석사과정의 현장경력 10년 이상의 기독교 유아교사 3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NVIVO9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통된 내용을 통합한 후,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성경적 통합교육활동의 수업모형은 만 5세반 2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자료분석은 링컨(Lincoln)과 구바(Guba)의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의 성경적 통합활동 적용과정에서 ‘하나님의 창조성 경험하기’와 ‘하나님에 대한 개념 획득’의 교육적 의미가 나타났다. 따라서 누리과정의 예술경험영역의 성경적 통합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의 훈련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또한 기독교적 조명을 통한 5세 누리과정의 예술경험의 적용은유아가 하나님에 대한 감사함과 경외로움을 찾아가고, 반성적 사고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예술적 표현이 그분을 찬양하고 영광을 돌릴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적극적인 제고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onsider the art experience area, the contents of application, and the role and guidance method of teachers of the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five from the Christian Worldview.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ttempts to develop a teaching model of Biblical integration activities and to review Christian education of the children through practices on site. In this study, the theories of the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five were examined an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2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a master’s degree and having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in order to develop a teaching model.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using NVIVO9 program, followed by commo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Then, the derived lesson model of Biblical integration activities was applied to 21 children aged five, and the data was analyzed in this study using contents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Lincoln and Guba(1985). As a result, the study indicated that those children showed an educationally significant factors in “Experiencing God’s Creativity”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about God” during the Nuri Curriculum. Thus, Biblical integration of activities in the art experience area of the Nuri Curriculum for the children is essential, and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s to be trained and to play a role in the Biblical integrati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art experience area to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actively and positively reconsidered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so that the children are able to search for thanks and wonders towards God and have reflective thoughts because artistic expression helps them stellify God and return glory to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