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자 판별 연구를 통한 자기소개서 대필 검색기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

        임현열(Im Hyeonyeol)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저자 판별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서 대필 검색기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것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저자 판별 연구의 개념을 소개하고, 국외와 국내의 연구사를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를 둘러싼 사회적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 방안 점검하며 자기소개서 대필 분석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저자 판별 연구에서 제안하고 검증한 판별 기준들의 판별 정확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 대필 검색을 위한 저자 판별 연구의 특수성, 자기소개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등을 근거로 자기소개서 개발의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 to develop a self-introduction writer search tool using the results of authors’ discrimination research and exploring its development possibilities. To do this, I introduced the concept of author discrimination research and observed both foreign and local researchers. Based on this observation,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nalyzing the social problems surrounding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the solution to self-introduction. In addition, I propos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self-introduction search tool on three grounds: 1) accuracy of the discrimination criterion proposed and validated in existing author discrimination researches is high. 2) Authors’ discrimination research for the search of the masterpiece is special . 3) There is significant social interest i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authors’ discrimination research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y of linguistics will be applied practically.

      • KCI등재

        자연스러운 TTS 구현을 위한 ㄴ 첨가 처리 방안

        임현열(Im, Hyeonyeol)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3 No.-

        이 연구에서는 먼저 ㄴ 첨가 발음이 수의적 음운현상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과거에 수행된 발음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 ㄴ 첨가 발음의 실현 양상을 점검하였다. 또한, 구글 번역기와 네이버 파파고에서 제공하고 있는 TTS 발화에서 ㄴ 첨가 관련 단어들을 어떻게 발음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TTS 발화의 ㄴ 첨가발음이 비체계적으로 실현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 발음에 얽매여 현실 발음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연스러운 TTS 구현을 위한 ㄴ 첨가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현실 발음 사전을 구축하여 TTS 알고리즘에 반영하고,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현실 발음을 적용하는 비율을 조정하게 하는 방안이다. 즉, 자연스러운 TTS 발음 구현을 위해 ㄴ 첨가 환경에 놓인 단어들에 대해 기본적으로 표준 발음대로 발음을 산출하게 하되, 현실 발음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 ㄴ 첨가의 적용 여부를 달리하는 방식이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 ㄴ 첨가 발음과 관련하여 표준 발음을 선호하거나 현실 발음을 선호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ㄴ 첨가 발음 선호도를 조정하여 TTS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first confirm that n-insertion pronunciation is an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thereafter, we assess the realization pattern of n-insertion pronunciations by examining the results of past pronunciation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 how n-insertion words are pronounced in text-to-speech (TTS) utterances provided by Google Translator and Naver Papago, revealing that the n-insertion pronunciations of TTS utterances are unrealistically realized and that the pronunciation is not properly reflected. Based on this, we propose an n-insertion method for natural TTS implementation. The main content is to construct a real pronunciation dictionary, reflect it in the TTS algorithm, and adjust the rate of applying real pronunciation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In other word, to implement a natural TTS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s placed in the n-insertion environment is basic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However, since the degree of preference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r the degree of preference of the real pronunciation is different in relation to the n-insertion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user, we suggest a method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TTS by adjusting the n-insertion pronunciation preference.

      • KCI등재

        한국어 TTS 외래어 발음 처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임현열(Im, Hyeonyeo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TTS 시스템의 외래어 발음 처리 현황을 점검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국어학적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우선, 한국어 TTS 시스템의 발음 처리와 관련이 있는 선행 연구를 개관하고 특히 외래어 발음 처리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항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어두경음화, /ㄴㄹ/ 연쇄의 유음화와 비음화, 모음의 발음 등이 문제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관한 사례를 네이버와 구글의 TTS 시스템에 입력하여 발음 처리 현황을 살피고, 문제가 되는 항목에 대해 발음 처리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표준 발음이 정해져 있지 않은 외래어를 TTS 시스템이 처리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발음 처리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런 논의는 현재까지 표준 발음의 외부 영역으로 놓여 있는 한국어 외래어의 표준 발음을 제정하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ronunciation of loanwords is well produced in the Korean TTS system, drew up its problems,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problem from a Korean linguistics perspective. Fir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nunciation processing of the Korean TTS system were reviewed, and items that could be problematic in the pronunciation processing of loanwords were extracted. As a result, word-initial tensification,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f /n-l(ㄴ-ㄹ)/ sequence, and vowel pronunciation were selected as problem items. Therefore, in this study, examples of each item were entered into the TTS system of Naver Papago and Google Translate to examine the pronunciation processing status, and a plan to improve pronunciation processing for the problematic i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was propo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a pronunciation processing manual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the TTS system processes loanwords for which the standard pronunciation is not determined. In addition, this discussion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loanwords that have been placed as an external area of standard pronunciation until now.

      • KoBERT, 나이브 베이즈, 로지스틱 회귀의 한국어 쓰기 답안지 점수 구간 예측 성능 비교

        조희련 ( Heeryon Cho ),임현열 ( Hyeonyeol Im ),차준우 ( Junwoo Cha ),이유미 ( Yumi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한국어 심층학습 언어모델인 KoBERT와, 확률적 기계학습 분류기인 나이브 베이즈와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하여 유학생이 작성한 한국어 쓰기 답안지의 점수 구간을 예측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네가지 주제(‘직업’, ‘행복’, ‘경제’, ‘성공’)를 다룬 답안지와 점수 레이블(A, B, C, D)로 쌍을 이룬 학습데이터 총 304건으로 다양한 자동분류 모델을 구축하여 7-겹 교차검증을 시행한 결과 KoBERT가 나이브 베이즈나 로지스틱 회귀보다 약간 우세한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

        공공언어 소통성 평가 개선을 위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윤희(Jung, Yunhee),조윤정(Cho, Yunjeong),임현열(Im, Hyeonyeol)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언어 소통성 평가단의 평가 코멘트 자료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여, 공공언어 소통성 평가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 자료는 평가 대상 공공언어로서의 보도 자료에 대한 평가단의 평가 코멘트이다. 코멘트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를 추출하고, 동시 출현 단어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통성 평가 요소 중에서 평가단들은 정보성과 용이성과 관련한 단어들을 중요하게 다루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반면, 공공성 요소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정확성 요소는 소통성 평가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주목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향후 소통성 평가에서 정보성과 용이성 요소의 비중은 늘리고, 공공성 비중은 낮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소통성 평가의 하위 항목으로 정확성 항목을 설정하고 소통성을 저해하는 정도의 정확성 오류를 검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덧붙여 소통성 평가 체크리스트의 주체가 평가단이 되어야 할지, 연구진이 되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mmunication evaluation comments of a public language evaluation team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techniqu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public language communication evaluation; namely, evaluation comments from press releases were analyzed. The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the comments were extracted and the association among these word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evaluation, the evaluators addressed words that were related to informativeness and ease of use.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frequency of words related to public factors was low. In additi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words was high, even though the accuracy factor was not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