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용미생물 발효물의 Struvite 형성과 질소, 인 제거 효과

        이미경 ( Mi-gyeong Lee ),임주석 ( Ju-seok Lim ),김영규 ( Young-kyu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1

        유용미생물(EM) 발효물이 Mg<sup>2+</sup>, NH<sub>4</sub><sup>+</sup>-N, PO<sub>4</sub><sup>3-</sup> -P이 포함된 인공폐수의 Struvite 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질소 및 인의 제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EM 발효물은 Struvite 결정 형성시 알칼리도를 소모하는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Struvite 결정을 이루기 위한 최적 pH는 9정도로 나타났다. pH 9에서의 증류수 Struvite의 Mg<sup>2+</sup>, NH<sub>4</sub><sup>+</sup>-N, PO<sub>4</sub><sup>3-</sup> -P의 제거 몰비는 약 1:1:1로 나타났으며, EM 발효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약 1.0:1.3:1.6로 EM 발효물에 의해서 질소와 인의 제거는 증가하였다. EM 발효물이 포함된 Struvite 결정 형성과정의 질소 및 인의 제거몰수 증가는 EM 발효물내 각종 유기산류가 미세 Struvite 결정입자 형성에 가교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중 클러스터 형성으로 질소와 인의 결합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Sruvite crystallization is good for high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and phostphate in wastewater. In this study, seve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wo kind of artificial wastewater which were added EM(Effective Micoorganisms) activated liquor or not,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uvite crystal formation and their affection on nitrogen and phosphous removal. From the results, though the EM activated liquor was rolled to consuming the alkalinity needed to crystal formation, the amount of alkalinity, demanded to reach pH 9, was enough to optimal EM crystal formation condition. At the time, the removal mol ratio of Mg<sup>2+</sup>, NH<sub>4</sub><sup>+</sup>-N, PO<sub>4</sub><sup>3-</sup>-P was estimated about 1.0:1.3:1.6.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by-products like a organic acid on EM activated liquor support to make a micro crystal formation and a formation of muti-cluster with nitrogen and phosphate.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활력 영향 요인 탐색

        김지선(Ji Sun Kim),임주석(Ju Seok L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3

        본 연구는 학교활력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학교활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학교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교사 수준과 학교 수준에서 각각 배경변인과 과정변인으로 구분하여 변화와 개선이 가능한 과정변인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 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한 중학교 132개교, 교사 1,153명이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선형모형을 사용하여 임의절편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수준의 배경변인 가운데 성별과 연령, 현재직위가 학교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배경변인의 학교활력에 대한 설명력은 2.3% 수준에 불과하였다. 둘째, 교사 수준의 과정변인으로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의사결정권한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설명력 또한 60.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정변인을 투입한 결과 배경변인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셋째, 학교수준의 배경변인을 투입한 결과 설립유형과 지역여건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명력은 5.0% 수준에 그쳤다. 넷째, 학교 수준의 과정변인을 투입한 결과 과정변인(혁신학교 유무,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의사결정권한, 교사의 학교교육 만족도 조사 결과 반영 정도) 모두 학교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47.4%였다. 반면 과정변인을 투입한 결과 배경변인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활력의 제고를 위해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링 리더십의 함양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학교활력에 기반을 둔 학교혁신 역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확대될 때 보다 활발하게 추진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학교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혁신학교의 특성들은 일반학교에도 적용되고 장려되는 방향으로 학교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talit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the data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2015).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53 teachers working for 132 middle schools in Gyeonggi, Kore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below.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individuals have no impact on the school vitality. Second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ecision making impact on the school vital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Thirdly, innovative schoo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ing leadership impact on the school vital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school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school vitality, school policy should be made to cultivat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ecision making.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school innovation can also be actively pursued when the principal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ecision making are encourag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vitality need to be applied to gener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