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조차 해빈의 릿지와 런넬 지형 변화

        김찬웅(Chan Woong Kim),이현아(Hyoun A Lee),임종서(Jong Seo Yim),신영호(Young Ho Shin)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대조차 해빈에서 관찰되는 릿지와 런넬의 지형변화를 계절순환과 연계시키고자,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백사장 해빈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단면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해빈 단면의 1차원 경험고유함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3개의 측선을 대상으로, 7년간 총 14회의 단면 측량을 실시하였다. 백사장 해빈 지형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이차 지형인 릿지와 런넬로 이것의 생성, 이동, 소멸이 해빈 지형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릿지와 런넬의 이동을 시각화한 결과 바다 방향의 릿지와 런넬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육지에서 가까운 쪽에 위치하였던 릿지와 런넬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부 해빈과 합쳐져 소멸되었으며, 육지에서 100m 이상 떨어진 곳에 새로운 릿지와 런넬이 만들어져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경험고유함수 분석 결과 릿지와 런넬의 이동이 백사장 해빈에서 중요한 지형변화 기작임을 알 수 있었다. 해빈 지형을 의미하는 제1주성분이 90% 초중반의 낮은 기여율을 보이는 반면, 제2주성분에서 발견되는 릿지와 런넬과 관련된 이동 신호가 뚜렷하였다. 또한 제3주성분에서는 릿지와 런넬의 기복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보였다. 한편, 릿지와 런넬의 이동은 선행 연구들에서 백사장 해빈의 해빈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고 여겨진다.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ridge and runnel in macro-tidal beach and the seasonal circulation, we investigated the long-term cross-section change of the Baeksajang Beach in Anmyeon-do, Chungcheongnam-do, Korea. Three transects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14 topographic surveys were conducted for seven yea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he change of the beach morphology were the ridges and runnels as the secondary morphology. Their formation, migration, and extinction we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beach topography. A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movement of ridge and runnel, we confirmed that the ridges and runnels were moving toward the land direction. Over time, the ridges and runnels that were located nearer to the land were annihilated together with the upper beach, and new ridges and runnels were formed on the far side of the land (more than 100m apart) and moved to the landward direction. EOF analysis showed also that the migration of ridges and runnels was an important topographic change mechanism. The low contribution rate of the first component was shown, whereas the second component related to the ridges and runnels was clear. Also, the third component of weakening the relief of ridge and runnel was shown. The migration of ridge and runnel seems to be a factor that can explain that the beach classification of the Baeksajang Beach was not clear in the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동굴생성물(석순)을 이용한 한반도 고기후 연구

        유근배(Yu, Keun Bae),공달용(Kong, Dal-Yong),이현아(Lee, Hyoun A),김찬웅(Kim, Chan Woong),임종서(Yim, Jong Se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2

        몬순 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에서 확보한 석순에 기록되어 있는 한반도 홀로세 중후기 고기후의 변화 특성과 몬순 변동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절단면의 성장성 분석과 탄소 및 산소동위원소 분석, 그리고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등을 수행하였다. 석순은 약 4580 yr BP에서 660 yr BP 사이에 생성된 것으로, 미약한 중기 청동기저온기, 철기저온기-로마온난기, 중세암흑저온 기가 나타났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당기간 확인된 몬순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에 비해 다소 빨리 발생 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Understanding the variability of the monsoon system require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the past. We revealed the Mid- and Late-Holocene paleo-climate changes and Asian monsoon variations in Korea by the speleothem records from Pyeongchang. To this, we used thicknesses of growth laminae, stable-isotope analysis (carbon, oxygen), and radio-carbon age dating. The speleothem grew between ~4580 yr BP to ~660 yr BP and we identified several weak AM(Asian monsoon) events, such as Middle Bronze Age Cold Epoch, Iron Age Cold Epoch, and Dark Age Cold Period. These events might have occurred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those of o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