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절역량 기반 코칭 효과척도 개발

        임정섭 ( Joung-soup Lim ),최영임 ( Young-imm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자기조절역량에 초점을 둔 코칭효과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1에서는 코칭척도의 문항 개발 및 기본적인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대학생 53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독립적인 표본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 확인된 행동계획, 자기탐색, 정서조절, 대안탐색 및 목표조절의 5개의 자기조절 역량요인은 연구 2에서 심리측정적 속성에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MSEA=.040(90% CI=.035, 046), CFI=.959, TLI=.955]. 이러한 결과는 이 척도가 코칭 효과 척도로서 사용되기에 적절하며, 자기조절 역량에 초점을 둔 코칭 척도의 개발은 특정 영역이 아닌 코칭의 전 분야에 걸쳐 경험적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wo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aching effect scale based on self-regulation. Research 1 was conducted with 533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and develop questionnaires for the coaching scale, research 2 identified the factors found in research 1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a independent sample to verify its validity. research 2 validated target control, action planning, self-discovery, emotion regulation, alternative plan selection from research 1 as appropriate in a psychometric element [RMSEA=.040(90% CI=.035, .046), CFI=.959, TLI=.955]. Such result suggest that this scale is appropriate as a coaching effect scale, and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ion based coaching effect scale make it possible to preform empirical research across all fields of coaching.

      • KCI등재

        진로추구단계 척도(CSS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임정섭(Joung-soup Lim),이수정(Su-Jeong Lee),안은샘(Eun-Saem Ahn),신현지(Hyun-Ji Shi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28 No.3

        To assess the level of undergraduate students, we developed a Career Search Stage Scale (CSS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preparation and action stage. 12 questions 4 factors were and total variance was 55.62%. Furthermo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Career Search Stage Scale (CSSS) identif our model as appropriate valid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We expect this scale to provide differentiated career services to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