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카야수 동맥염과 동반된 망막분지동맥폐쇄

        임재완(Jae Wan Lim),이승욱(Seung Uk Lee),이상준(Sang Joon Lee),남기엽(Ki Yup Na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타카야수 동맥염은 주로 대동맥과 그 주 분지를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여러 가지 안소견이 동반될 수 있으나 망막분지동맥폐쇄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이러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3세 여자 환자가 내원 2시간 전 우안의 하측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을 느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양안 모두 1.0으로 측정되었다. 전안부 및 동공반사에서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안저 검사에서 우안 상측 망막이 창백하게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등 보조적 검사를 통해 우안 망막분지동맥폐쇄로 진단한 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과거력상 20년 전 타카야수 동맥염을 진단 받고 내과적으로 경과 관찰하던 환자로 내원 시 38.7℃의 발열과 전신 쇠약감이 동반되어 있었고 혈액검사에서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등의 염증 관련 수치가 증가하여 동맥염의 재발로 판단하고 내과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발병 3개월째 우안 망막의 창백은 소실되었으나 시야는 초진 시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결론: 타카야수 동맥염에서 분지망막동맥폐쇄가 동반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드물지만 두 질환의 연관 가능성에 대해서 인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akayasu’s arteritis generally involves the aorta and its main branch. Various ocular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have been reported, but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BRAO)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BRAO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Case summary: A 53-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t emergency room for an inferior visual field defect of the right eye that had presented 2 hours earlier. Visual acuity was 1.0 in both eyes. There were no abnormalities of the anterior segment or pupil reflex. On fundus examination, superior retinal whitening was observed in her right eye. Through ancillary study includ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she was diagnosed with BRAO and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s. She had received previous treatment and had been followed-up for Takayasu’s arteritis for 20 years. She complained of general weakness, and body temperature was 38.7°C. On blood analysis,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were increased compared to previous levels. She was medically treated on the assumption of relapse of Takayasu’s arteritis. After 3 months, the retinal whitening in her right eye was resolved, but the visual field defect remained similar to that at the initial visit. Conclusions: We report this rare case of BRAO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indicating the need to consider an association between the two diseases.

      • KCI등재

        안구 둔상에 의한 안구합병증과 동반된 안와골절에 대한 분석

        임재완(Jae Wan Lim),유재호(Jae Ho Yoo),남기엽(Ki Yup Nam),이승욱(Seung Uk Lee),이상준(Sang Joo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안구 둔상에 의한 안구합병증 및 안와골절에 대하여 조사하여 안구합병증의 정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을 방문한 안구 둔상 환자 168명 16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나이, 키, 체중, 안구 둔상의 원인, 안구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안와골절 유무에 따라 ‘안와골절군’, ‘안와좌상군’으로 나누었다. 안와골절의 위치, 앞뒤길이, 너비, 넓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안와골절군의 40.2% (27/67)에서 안구합병증이 관찰되었고 안와좌상군에서는 73.5% (75/102)에서 안구합병증이 관찰되어 안와 골절군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p<0.001). 안구 둔상의 원인에서는 ‘물체가 날아와 눈에 부딪힌 경우’에서 안구합병증이 85.1%(40/47)로 다른 원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안와골절군에서 안구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골절의 위치, 앞뒤길이, 너비, 넓이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안구 둔상 환자에서 안와골절이 있을 경우 안와골절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안구합병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안구 둔상의 원인 중 ‘물체가 날아와 눈에 부딪힌 경우’에서 안구합병증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o help predict the severity of ocular complications in orbital blunt trauma by analyzing clinical features of ocular complications and orbital wall fracture.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consisting of 169 eyes of 168 patients with orbital blunt trauma who visited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was performed. The patients’ age, gender, height, weight, cause of accident, and ocular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The patients were imaged using computer tomograph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orbital wall fracture: the orbital contusion group and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Variables of orbital wall fracture, including the location, length, width, and area were measured using computer tomography in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Results: The incidence of ocular complication was 27 of 67 eyes (40.2%) in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and 75 of 102 eyes (73.5%) in the orbital contusion group; ocular complications were foun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the orbital contusion group than in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p < 0.001). Among causes of the accident, ‘flying object’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ocular complication at 40 of 48 eyes (85.1%). In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bital fracture location, length, width or area between the ocular complication group and the non-ocular complication group. Conclusions: Ocular complications were foun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the orbital contusion group than in the orbital wall fracture group, and ‘flying object’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ocular complication among causes of the accident.

      • KCI등재

        단일 환아에서만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한 쌍둥이 간의 관련인자 비교 분석

        임재완(Jae Wan Lim),유재호(Jae Ho Yoo),이승욱(Seung Uk Lee),이상준(Sang Joon Lee),남기엽(Ki Yup Na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0

        목적: 쌍둥이 미숙아 중에서 한 환아에게만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한 쌍을 비교하여 미숙아망막병증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미숙아로 태어난 쌍둥이들 중 한 환아만 미숙아망막병증(1단계 이상)으로 진단 받은 13쌍 2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 유무에 따라 쌍둥이를 ‘미숙아망막병증군’과 ‘미숙아망막병증이 없는 군’으로 나누었다. 태어날 당시의 임신나이, 성별, 몸무게, 아프가점수, 시행된 치료, 혈액검사 결과, 신생아 황달, 패혈증,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형성이상, 동맥관개존증, 신생아괴사성장염 등 신생아 합병증 여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출생 시 시행된 다양한 처치들과 미숙아망막병증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출생 후 합병증들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나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액 검사상에서는 혈소판이 미숙아망막병증군에서 191 (±46) ×103/μL, 미숙아망막병증이 없는 군에서 240 (±77) ×103/μL로 나타나 미숙아망막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p=0.046)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는 미숙아 망막병증군에서 36 (±26.6) IU/L, 미숙아망막병증이 없는 군에서 22 (±5.9) IU/L로 미숙아망막병증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9). 결론: 한 환아에게만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생한 쌍둥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혈소판 수치와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가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선별 검사 시에 고려해야 할 인자로 생각되나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후 더 많은 환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92-1597> Purpose: To analyze related factor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by comparing between premature twins in which retinopathy developed on one twin.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consisting of 13 premature twins in which retinopathy of prematurity (stage 1 or more) developed on one twin was performed. All twins were born in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The twin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retinopathy of prematurity: the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group and non-ROP group. The twins’ gestational age, weight, sex, Apgar score, treatments, blood tests, and neonatal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ins except platelet coun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Platelet count was 191 (±46) ⅹ103/μL in the ROP group and 240 (±77) ⅹ103/μL in the non-ROP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46). 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36 (±26.6) IU/L in the ROP group and 22 (±5.9) IU/L in the non-ROP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9). Conclusions: In conclusion, we found platelet coun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b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t is thought that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screening for ROP, although a larger prospective study is be needed before the results can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92-1597

      • KCI등재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 개발 및 실증

        임재완(JAEWAN LIM),이세준(SEJUN LEE),윤상진(SANGJIN YOON),임옥택(OCKTAECK LIM)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23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34 No.6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tandard model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substantiation of small hydrogen powered vessel in order to respond to the alternative fuel-using vessel market that requires the use of low-carbon/carbon-free fuel as a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 The hydrogen fuel cell-based electric propulsion system developed through this is optimized through performance and durability tests on the land-based test site (LBTS), and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applied to this result is mounted on a small hydrogen propulsion vessel and operat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digital twin technology between the LBTS and the hydrogen-propelled vessel on the sea, the technology that can predict and diagnose the problems that can occur in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the vessel is applied to carry out the empirical study of the hydrogen-propelled vessel. In addition, we propose a commercialization model by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emonstration vessel.

      • A Study about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in technologies for small electric vehicles in major ASEAN countries

        Jae Wan Lim(임재완),Le Trong Hieu,Jang Hyeok Won(원장혁),Chun Beom Lee(이춘범),Ock Taeck Lim(임옥택)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chain for the supply of small electric vehicles in ASEAN and presents the results of analyzing technologies and product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ailand, Indonesia, Indi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implement the electric vehicle supply and policy of the countries concerned. We tried to get opportunities to enter the market and gain technical advantage by confirming the regulatory response or related procedures of the country. In addition, by establishing a recycle support environment for technology development, individual companies have confirmed opportunities for product promotion and export market.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mall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in ASEAN countries and the analysis of their factors along with the Green New Deal policy were able to confirm the urgency and necessity of joint research by value chain with Korea.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training of manpower, government support and technical support that are necessary and necessary for this study as the necessary factors.

      • KCI등재

        변화하는 인도 방위산업 시장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인도-러시아 관계 중심으로

        홍석진(Hong, Seokjin),임도현(Lim, Dohyun),임재완(Lim, Jae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1 남아시아연구 Vol.27 No.2

        인도는 세계에서 2번째로 무기를 많이 수입하는 국가이다. 인도 정부는 현재 파키스탄과 중국을 상대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또한, 인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어가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인도의 성장하는 방위산업 시장은 개척할 필요성이 있다. 소련은 과거 냉전 시대에 인도의 방위산업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이후 러시아 또한 인도와 높은 수준의 방산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렇지만 인도 방위산업에서 러시아는 그 우위를 잃어버리고 있다. 인도 방위산업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인도가 서방의 무기체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서방 무기체계를 사용하고 수출하는 한국의 방위산업체에 기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어떻게 러시아가 인도와의 방위산업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원인과 현재 러시아의 인도 방위산업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흔들리는 현상에 대해서 두 가지 부분으로 분석한다. 첫 번째로는 과거와 현재의 인도 대외정책을 중심으로 어떠한 특징들이 인도 무기 수입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한다. 두 번째로는 러시아와 인도의 구조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인도의 방산 협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분석할 것이다. 과거 인도 방위산업에서 러시아가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 러시아의 방위산업체들만이 가지는 특징을 통해 분석한다. 이후, 인도 방위산업에서 러시아의 입지변화에 대해서는, 인도의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통해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과거 러시아는 인도 방위산업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지만, 러시아의 입지는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그 빈 자리는 서방 국가가 채울 것이며, 이것은 한국에는 호기(好機)가 될 것이다. India is the second largest global importer of weapons. The Indian government is currently at odds with Pakistan and China. Additionally, India is a country that continues to bring forth significant economic growth.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ets there is a strong need to pioneer India"s growing defense market. The Soviet Union had maintained to preserve an overwhelming influence in India"s defense industry during the Cold War. Since then, Russia has also continued this practice,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defense cooperation with India. However, Russia is currently losing its edge in the Indian defense industry. Russia"s position and general stake in the Indian defense industry is decreasing, and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inue. This means that India is actively implementing western-built weapons systems, which will be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n defense companies which primarily use and export these systems. This paper analyzes what led to Russia"s dominance in the Indian Defense Industry and the current phenomenon of Russia"s pertaining a rather shaky position, in two distinct parts. First, by focusing on both past and present Indian foreign policy, it analyzes what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Indian arms imports. Second, the paper will focus on the structural parts of Russia and India, analyz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Russia-India defense cooperation. Russia"s past dominance in the Indian defense industry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Russian defense compan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Russia"s changing position will be analyzed through Indian Prime Minister Modi"s Make India policy. In conclusion, in the past Russia has had an overwhelming position in India’s defense industry, but nowadays their influence is fading. This vacuum will be filled in by Western countries, which will present itself as a grand opportunity for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