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해 진행자가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 · 가해학생의 화해와 회복의 요인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임재연(Jaeyoun L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화해 진행자의 화해모임 경험을 토대로 갈등 관계에 있는 학생들의 화해와 회복을 이루는데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해모임 진행 경험이 풍부한 교사 및 학교 외부 전문가 13명과 면접하고 CQR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화해한다는 것의 의미, 화해를 위한 선행요건, 화해의 방해요인, 화해의 결과, 화해와 관련된 학교요인 등으로 분류되어 총 11개의 영역과 42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학생들 “화해의 의미”는 상대방과의 관계가 새롭게 변화 · 정립되는 것이며, “화해모임의 의미”는 학생이 갈등 해결의 주체가 되어 배워가는 인간적 성장의 기회이자, 재발방지의 장치이다. “화해 진행의 선행요건”은 해당 학생과 학부모의 동의, 개별적 사전모임을 통한 소통과 준비, 학생 당사자의 욕구 반영, 시간확보와 안전한 분위기 등이며, “학생 개인차원의 화해 선행요건”으로 학생 감정의 해소, 상대방에 대해 알게 됨, 자신의 책임에 대한 자각 등이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화해 방해요인”은 학교가 화해모임을 행정적 절차의 방편으로 진행함, 교사의 인식과 이해부족 및 무관심, 불명확한 사안파악, “학부모의 화해 방해요인”은 학부모가 사안과 화해모임을 잘 모름, 자녀의 친구관계 문제를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회피함, 자녀의 화해를 수용하지 못함, “학생이 가진 화해 방해요인”은 학생 개인의 심리정서적 문제 등이다. “화해의 결과로서 성장과 개선”에서 학생 내면의 힘과 대인관계에서 힘을 갖게 되고 갈등의 해결책을 찾는 등의 성장과 개선을 가져왔다. 이밖에 “화해에 대한 학교의 인식 · 문화”, “교육 구성원 간의 연계 · 협력”, “화해모임 운영을 위한 학교의 책무” 등이 학교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화해 · 회복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탐색함으로 학교 내 효과적 화해모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인을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reconciliation and restoration of conflicting students, based on experiences of a reconciliation meet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and external experts highly experienced in reconciliation meeting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QR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11 domains and 42 categories including the meaning of reconciliation, precondition for reconciliation, obstacles to reconciliation, results of reconciliation,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reconciliation. “The meaning of reconciliation” is the change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e meaning of a reconciliation meeting” is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and learning self-managed conflict resolution, and is a strategy for preventing reoccurrence of conflict. “Precondition of reconciliation” includes: agreements between relevant students and parents; communication and preparation through individual pre-meetings; reflection of the students’ needs; and the arrangement of a sufficient time period and a safe space. “Preconditions of reconciliation at the individual student level” includes: relief of negative personal emotions;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awareness of the student’s own responsibility. “The obstacles to reconciliation in school” consists of: the attitudes of school faculty, who hold meetings as a mere administrative procedure;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indifference of teachers; and the insufficient examination of issues. “Parents’ disturbance to reconciliation” comprises: parents’ incomprehension about issues and reconciliation meetings; excessive interference or ignorance of children"s friendships; and failure to accept settlement between children. “Students’ obstacles of reconciliation” referred to the psychological issues of individual students. “Growth and improvement as a result of reconciliation” showed that the reconciliation meeting enhanced the inner strength of each student, their compet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ability to find solutions to conflict. School factors affecting reconciliation included: “the perception and culture of the school surrounding reconciliation,”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faculty,” “responsibilities of the school for reconciliation,” etc. This study explored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ive reconciliation meetings at school by examining the context of reconciliation and restoration of students.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재연(Lim, Jaeyoun),이선숙(Lee, Sunsook),박종효(Park, Jonghy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적응을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 패널자료(2차조사, 3차조사)를 활용하였고, 피해유형을 무피해, 일회 피해, 지속?중복 피해로 구분한 후, 이들의 학교적응 수준에 대한 집단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중복 피해집단은 무피해 집단에 비해 2학년, 3학년 학교적응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일회 피해집단은 무피해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2학년 피해가 3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 성별, 2학년 학교적응과 3학년 피해유형을 통제한 상태에서, 2학년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2학년 피해경험은 3학년 학교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특히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회 피해유형의 경우, 교우관계가 좋으면 높은 수준의 학교적응을 보인 반면에 교우관계가 나쁘면 학교적응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교우관계의 조절효과가 지속?중복 피해유형보다는 일회 피해의 학생에게만 유의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피해의 유무로만 구분하기 보다는 피해의 빈도나 지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고 피해학생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지원과 교육적 개입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current research sought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victimized students. To fulfill this research aim, data from the 2nd and 3rd wav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was used. The victim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follows; those with no-experience of victimization, those with one-time/type experience, and those with persistent and multiple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victims with persistent and multiple experiences had a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Grade 2 and Grade 3 than non-victimized students. Those with experience of one-time/type of victimization, who also ha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tended to demonstrate better school adjustment 1 year later than no-victimized students. However, since some persistent victims remained in the same status of victimization 1 year later, we suggest that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is at-risk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