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옥내위치기반 VOD 앱 설계

        임재걸(Jeageol Yim),이강재(Kangjai Lee),우진석(Jinseok Wo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 SNS 및 VOD의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VOD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서 유용한 정보를 추론하고 이에 맞은 비디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VOD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역시 상당히 높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도로 또는 거리가 아닌 지하철, 쇼핑몰 등의 건물 내부에 있을 때에는 GPS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위치기반 VOD 시스템은 작동을 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와 진행 방향을 판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정함으로 옥내위치기반 VOD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폰용 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옥내측위 안드로이드 앱 프로토타입 설계

        임재걸 ( Jeageol Yim ),우진석 ( Jinseok Woo ),원정완 ( Jungwan On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마천루를 비롯한 지하상가와 같은 거대한 건축물 내에서 일을 보는 경우가 흔해짐에 따라, 옥내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존의 컴퓨터에 버금가는 계산 능력과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양한 센서까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소지품이기 때문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는 스마트폰이 제일 적당하다.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는 당연히 측위 컴포넌트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와 진행방향을 판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정하는 안드로이드 앱을 설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