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인과 서명 1970년대 문화 검역과 문인간첩

        임유경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se of the literary spy which occurred in 1974, and to identify the social meaning of the distinctive symbol of ‘writer’ and the political effect of the stigmatization of ‘literary spy’.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literary spy’, this paper intends to show that the control of power, which started to control the literary field by the name of ‘law’ in the mid 1960’s, changed in the 1970’s. In addi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ases of spy incident that began to take place in the late 1960’s, this article attempted to characterize the case of the literary spy and to describe the palimpsest of the genealogy of the spy incidents which various intellectuals were involved in the 1960’s and 1970’s. The concept of ‘cultural quarantine’ presen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a series of spy cases including ‘the case of the literary spy’ and to reinterpret the cultural control of the Park Jeong hee’s regime. Park Jeong-hee’s regime of cultural control did not take the form of local punishment to perform censorship on specific texts. Instead, the cultural control of the Park Chung-hee’s regime was diffusive in that it made the incident spectacular and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causing the public to consume it. The government tried to extensively manage the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texts through ‘investigation and trial’ and ‘publicity and reporting’, and changed the regulation system by arresting the editors and publishers of the media as well as the creator of the text. This type of regulation can be said to take the form of a quarantine. As it was not only about sanctions or dispositions of texts, but also the imprisonment of the writer, who was involved in producing and disseminating of those texts, and the management of inflammatory ideas which were spreading through texts. In addition, it created the punitive function and the effect of prevention by giving intellectuals the experience of the anxiety and hysteria caused by the gaze of power. This perform of power was both repressive and productive in that it actively engages in the production of discourse and knowledge, capturing events and subjects in a particular network of meanings, and creating a oppressive viewpoint or model of interpretation. The literary spy incident in 1974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which demonstrates the emergence of quarantine authorities and the transition of cultural control. 이 논문의 목적은 1974년의 ‘문인간첩단사건’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아 ‘문인’이라는 독특한 표상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문인간첩’이라는 낙인의 정치적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을 기하여 ‘법의 이름’으로 문학장을 통제하기 시작한 권력의 통제 방식이 1970년대에 접어들어 또 다른 양상을 보이며 변화해갔음을 ‘문인간첩단사건’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간첩단 사건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문인간첩단사건의 특징을 고찰하고 1960∼70년대 지식인 간첩단 사건의 계보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창출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화 검역’이라는 개념은 ‘문인간첩단사건’을 비롯한 일련의 간첩단사건을 분석하고, 나아가 박정희 정권기의 문화 통제 방식을 새롭게 재해석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박정희 정권기 문화 통제 방식은 특정한 텍스트에 대한 검열을 수행하는 국지적 처벌의 형태를 띠지 않았으며, 사건을 스펙타클화하고 사회 전역으로 퍼트려 대중으로 하여금 소비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확산적인 성격을 가졌다. 당국은 ‘수사와 재판’ 그리고 ‘공표와 보도’라는 방식을 통해 텍스트의 생산, 유통, 소비를 포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으며, 텍스트의 창작자는 물론이고 매체의 편집자와 발행인을 구속 기소함으로써 문화적 생산물에 대한 통제 방식을 전환시켰다. 이러한 통제 방식은 텍스트에 대한 제재나 처분을 넘어 그것을 생산하고 유포하는 데 관여한 인물들의 일신을 구속함으로써 텍스트를 통해 형성되고 확산된다고 간주된 불온한 사상을 전방위적으로 관리한다는 목적을 가졌다는 점에서 검역의 형태를 띠었다. 또한 전범의 생산을 통해 처벌받는 자만이 아니라 처벌의 바깥에 있는 이들까지도 시선에 의한 불안과 히스테리를 경험하게 한다는 점에서 처벌적 기능과 함께 예방의 효과를 창출했다. 이러한 권력의 작용은 유관 담론과 지식의 생산에 적극적으로 관여함으로써 사건과 주체를 특정한 의미망 속에 포획하고 지배적 관점이나 해석의 모델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억압적인 동시에 생산적이기도 했다. 1974년에 발생한 문인간첩단사건은 이러한 검역 당국의 출현과 문화 통제 방식의 전환을 인상적이면서도 분명하게 드러내준 대표적 사례에 해당했다.

      • KCI등재

        ‘오뻬꾼’과 ‘조선사절단’, 그리고 모스크바의 추억 - 해방기 소련기행의 문화정치학

        임유경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7 No.-

        This paper focused on "visiting to the Soviet Union" of people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ircles in 1946, when North Korea’s propaganda projects were in full swing, and examined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positions surrounding this event as well as the way the literary people then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the image of the Soviet Union at the time of liberation. Such people’s visit to the Soviet Union showed that although the power and influence of the Soviet military administration then was instrumental in creating the North Korean regime, the positive image of the Soviet Union could not have been so vastly expanded only within the domain of the political norm but also within cultural areas and within the realm of daily life, without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Moreover, the image of the Soviet Union that was created at that time was initially proposed to explore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but ultimately, it was what came about when North Korea’s political system was in th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and adjusted. The narrative of self-planning was being formed in line with the shift to cosmopolitanism, through the medium of new spatial discussions and emotional support that was created while partly monopolizing the political imagination formed under the colonial rule. On the other hand, the travelogue writers struggled to reestablish "Joseon" as an independent local entity and assumed that the "other democratic countries" and "the world" belong to a higher dimension, but the representations of the others were incessantly distorted and oscillated and were presented in the text as a mirror reflecting the representations of Joseon. In addition, the leakage of the gap between clear rhetoric and realistic description could not be completely prevented. In short, "Sovietism" was the present that was stuck between the struggle to cut off the relations with the past and the efforts to figure out the future that had not yet been determined then, and the travelogues on which such political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ere projected were more of "a narrative of the will" than a record of realities. 이 글에서는 북조선의 선전사업이 본격화되던 46년에 추진된 정치․문화계 인사들의 ‘소련행’을 집중 조명함으로써, 이 사건을 둘러싼 개인 및 단체들의 입장과 해방기 소련의 외양 조형 과정에 당대 문인들이 관계되던 방식/양상을 살펴보았다. 소련행은 무엇보다도 북한 정권 창출에 있어 소련(군정)의 영향력이 압도적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긍정적인 소련상(像)이 정치규범의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문화적 차원에서, 아울러 일상의 삶이라는 광범한 영역으로까지 확산되는 데에는 조소 양자 간의 협력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그리고 이때 만들어진/지던 소련상은 일차적으로 조―소 간의 정치적․문화적 우호 관계를 도모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었으나, 보다 궁극적으로는 북조선 정치체가 문화적 차원에서 자기상을 정립하고 조정해나가는 도정에서 생산된 산물이었다. 방소사절단의 일원이었던 필자들은 소련기행을 통해 ‘무수한 조선인들’이라는 복수의 주체를 응집하고 있는 대표로서 ‘나’를 옹립했고 조선인을 주변부 담론에 복속시킴으로써 세계 안의 방외적 존재로 규정하는 것은 물론, 이로써 새로운 연대에 대한 상상력을 개진하고자 했다. 즉 식민치하에서 형성된 정치적 상상력을 일정부분 전유하면서 창출된 새로운 공간담론과 심정적 지지를 매개로 한 세계주의로의 이행이 맞물리면서 자기기획의 서사가 생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텍스트 안에서 필자들은 ‘조선’을 그 자체로 독자적인 로컬이면서 보다 상위의 차원인 ‘민주주의 제국가들’, 나아가 ‘세계’가 상정된 특수로 재확립하려는 분투를 보여주었으나, 타자의 표상은 (표상을 확정하려 애쓰는 동안에도) 끊임없이 뒤틀리거나 요동쳤고 조선(인)의 표상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이 텍스트에 현현했다. 또한 분명한 수사와 핍진한 묘사 간 간극의 누수 역시 온전히 방지할 수 없었다. 말하자면, ‘소비에티즘’은 과거와의 관계를 끊어버리려는 분투와 (과거는 그럼에도 현재에 붙들려 있었고) 아직 결정되지 않은 미래를 그려내려는 노력 사이에 붙들려 있는 현재였고, 이러한 정치적 무/의식이 투사된 소련기행은 사실의 기록이기보다는 ‘의지의 서사’였다.

      • KCI등재

        ‘메이퀸’과 페미니즘 - 1960∼1970년대 한국의 대학문화와 여성 담론의 변천

        임유경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문제연구 Vol.23 No.2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festival culture of universities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history of ‘May Queen,’ and discussed the context in which the ‘May Queen controversy’ was raised in the 1960~1970s and its meaning in terms of the change of women’s discourse. The history of May Queen and disputes on its maintenance are important research subjects. For it reveals early modern women’s education and university culture and allows us to examine the feminist discourse expressed in the women's movement. In particular, the May Queen debate and the process of abolition of the festival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growing interest in feminism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eminism study in Korea.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May Queen’ needs to be noticed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changes in the women's movement and the discourse of women in the 1970s. Based on the approach, this paper focused on the research area with new point of view that the previous research did not sufficiently identify. In other word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university’s festival culture was formed and changed by analyz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May Queen festival was settled, spread, and abolished.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female discourse’ were formed and changed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social change and subjective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1970s, by illuminating May Queen,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70 years since the early modern times, in terms of ‘institution,’ ‘event,’ ‘subjectivity.’ This approa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enrichment of study on cultural history of Korean university and women’s studies. 이 논문은 ‘메이퀸’의 역사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대학의 축제 문화가 형성된 과정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1960~1970년대에 ‘메이퀸 논쟁’이 제기된 맥락과 그 의미를 여성 담론의 변천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메이퀸의 역사와 그 존폐를 둘러싼 논쟁들은 한국의 근대적 여성 교육과 대학 문화가 형성되던 초기 모습에서부터 여성운동의 형태로 점증하던 페미니즘 담론의 창출 과정을 폭넓게 조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특히 메이퀸 논쟁이 제기되고 해당 제도의 폐지가 결정되는 일련의 과정은 한국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여성학의 제도화가 이루어지는 맥락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었다. 즉 ‘메이퀸’이라는 연구대상은 197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의 흐름과 여성 담론의 변천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왕의 연구가 충분히 규명하지 못한 분야를 새로운 연구사적 관점에 입각하여 조명했다. 즉 메이퀸 제도가 정착, 확산, 폐지되었던 일련의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일을 통해, 대학의 축제 문화가 형성되고 변화해간 양상을 규명하고, 한국사회에서 ‘여대생의 표상’과 ‘여성 담론’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형성되고 변화해갔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는 근대 초부터 약 70여 년간 지속되어온 ‘메이퀸’을 하나의 ‘제도’, ‘사건’, ‘주체’로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1960~1970년대 한국의 사회변동과 주체화의 경험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의 ‘대학 문화사 연구’와 ‘여성학 연구’를 한층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의 기억과 고유명의 정치: 김은국의 『잃어버린 이름』(1970) 연구

        임유경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이 글은 한국문학연구의 장에서 여전히 낯선 작가로 남겨져 있는 김은국과 그의 작품들에 주목하였다. 특히 1970년에 출간된 장편 『잃어버린 이름』은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에 많은 주목과 찬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충분히 다뤄지지 못했다. ‘김은국 연구가 시도된다면 『잃어버린 이름』이 가장 먼저 분석되어야 할 것’이라는 도정일의 지적처럼, 김은국의 작품세계, 나아가 그의 생애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 소설은 우선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작가 자신이 겪은 식민지의 삶을 토대로 하여 쓰여진 자전소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잃어버린 이름』에 대한 밀도 있는 독해를 통해 작가에게 식민지를 재현하는 일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고찰했다. 이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어인 ‘고유명’에 대한 해석을 매개하여 작가가 말하는 ‘기억’과 ‘생존’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식민의 시간을 주체적으로 다시 사는 일을 가능케 하는 인식적 방법이 마련되는 과정을 살핀 것이다. 이 소설이 감행하는 시도가 일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문학의 공간을 언어적 금기가 야기할 수 있는 결과를 상연하는(enact) 무대가 되게 하였다는 점과 이때 고유명을 부재하는 것인 동시에 실재하는 것이 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부끄러움을 안고 식민의 시간을 지나온 식민지인의 삶과 그(들)에 의해 수행되는 탈폭력화를 재현함으로써 탈식민을 위한 “작은 시작”을 개시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of the colony by reading Lost Names written by Richard E. Kim. By interpreting the key word ‘proper-name’, this paper tries to discuss the result of linguistic prohibition which literary space could present. Lost Names,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experimental work among his three novels, has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because of it’s narrative features. Especially the deletion of the proper name is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 of his work. The proper name has relevance to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of the colony and the post-colonial issue. It is a crucial resource for constructing subjectivity and the stage of performativity. For this reason, discussing the politics of the proper name means the implication of studying the way of living subjectively in the colonial period, which Richard Kim describe as ‘the awakening from the nightmare of colony.’

      • KCI등재

        ‘북한 연구’와 ‘문화 냉전’-1960년대 아세아문제연구소와 『사상계』의 북한 연구

        임유경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58 No.-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Cold War were linked to changes in discourse of North Korea and the recognition of division by exploring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North Korean studies in the 1960s.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s that North Korean studies could have emerged reveals the early moment of the newly formed knowledge of North Korea, which has long been regarded as ‘improper knowledg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cultural cold war that has develop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1960s is notable because it is the moment that the power which wa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North Korean discourse had been redistributed and the new paradigm of North Korea had been formed. In other words, from this period in Korean society, "experiential knowledge" (experience) and "academic knowledge" (theory) began to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and the two knowledges cooperated or conflicted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spread of North Korean discourse. And behind the rise of North Korean research as an ‘challenging problems,’ there were the ‘communism discourse’ and ‘unification discourse.’ The research subject called ‘North Korea,’ combined with these two issues, triggered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improper knowledge’ and ‘academic knowledge.’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focused on Asiatic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and the ‘Sasanggye’, the agents that led the initial North Korean research. These two agent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phere by providing conditions for the discourse on North Korea to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On the one hand, behind the rallying of South Korean intellectuals and the developing of the North Korean research, there were the struggle over cultural hegemony and the reality of the Cold War order and the division system, which were linked under the name of sponsorship and cooperation.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need to remember that North Korean research was also a ‘product of the Cold War’ and a ‘policy knowledge.’ In short, the complex context of the North Korean research provides a glimpse of the new period situation as it access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global Cold War knowledge, while it is link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nd war. 이 논문은 1960년대 한국사회에서 북한 연구가 시작된 배경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일을 통해 북한 담론과 분단 인식의 변화에 냉전의 정치역학이 어떻게 연동되어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북한 연구가 태동할 수 있었던 대내적ㆍ대외적 요인에 대한 분석은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불온한 지식’으로 간주되었던 북한에 대한 앎이 새롭게 구성되던 초기 장면과 한반도에서 전개된 문화 냉전의 구체적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가 주목할 만한 시기였던 까닭은 북한 담론의 생산을 둘러싼 권력의 재분배가 이루어지며 북한에 관한 새로운 인식의 체계가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즉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한국사회에서는 ‘경험적 지식(체험)’과 ‘학술적 지식(이론)’이 동시에 개발되기 시작하며, 양자는 서로 공조하기도 하고 갈등관계를 맺기도 하며 북한 담론의 형성과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북한 연구가 하나의 ‘시대적 과제’로서 부상하였던 배경에는 ‘공산주의 담론’과 ‘통일 담론’이 자리하고 있었다. ‘북한’이라는 연구 대상은 이 두 가지 이슈와 접목되는 가운데, ‘불온한 지식’과 ‘학술적 지식’의 형성과 분화를 촉발시켰다. 이러한 특징에 주목하여 이 논문은 초기 북한 연구를 주도한 주체들과 그들의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여기서 다룬 첫 번째 주체는 1957년 6월에 창립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로, 이 연구기관은 냉전 지식으로서의 공산주의와 북한 문제를 접목시키며 제도적이고 학술적인 차원에서 북한 지식 생산의 토대를 만들어나갔다. 아연이 북한 및 공산권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미국의 학계와 민간재단에 원조를 요청하고 한국정부를 상대로 협상을 벌이며 연구허가권을 획득하는 과정은 1960년을 전후한 시기에 북한 연구가 어떠한 맥락 속에서 발의되고 개진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한국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오피니언 리더로 부상하고 있던 매체인 『사상계』 역시 ‘북한’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새롭게 발견하고 있었다. 『사상계』는 다양한 기획들을 통해 매체의 주요 독자였던 학생과 지식인, 나아가 사회 일반에 유관 지식을 보급하며 대중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이해가 재구성되는 데 관여했다. 그리고 아연과 『사상계』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던 김준엽은 이 두 그룹을 매개하며 초기 북한 연구를 이끌었다. 이 민간 주체들의 움직임은 통치 권력의 논리를 일정 부분 전유함으로써 위축되어가던 공론장을 확장시키고 북한에 대한 담론이 이전에 비해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한국의 지식인들이 규합하고 북한 연구가 개진된 배경에는 문화적 헤게모니를 둘러싼 투쟁과, ‘후원’과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연결된 냉전질서와 분단체제의 현실이 가로놓여 있기도 했다. 북한 연구가 ‘냉전의 산물’이자 ‘정책화된 지식’의 성격을 가졌으며, ‘문화적 근대화의 실현’이라는 인식론적 기획의 결과이기도 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북한 연구의 형성기’에 대한 고찰이 갖는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북한 연구를 둘러싸고 있던 복잡한 맥락들을 이해하고 북한 연구의 역사성을 사유하는 기회를 마련해준다는 데, 나아가 1960년대 학술사와 지성사에 대한 이해를 두 ...

      • KCI등재

        '신원'의 정치-권력의 통치 기술과 예술가의 자기 기술

        임유경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horough analysis of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y Incident") from various angles, which shocked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60s. So fa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incidents on public security has given an important result regarding the realistic level of approaches and investigation of governmental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e of the recent investigations is related to the study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se incidents. In this paper, I will attempt to deal with the two categories of governmental technology and self-technology by examining the Spy Incident via the three persons involved, namely, Seokjin Lim, Ungno Lee, and Isang Yun. This attempt would have an expected significance in two respects. First,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punishments, which cannot be fully covered by a language of law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communist Law), and the suffering, which is derived from those punishments. This study seeks to define the government power that is influential on the life of the aforementioned persons by exploring three concepts, namely, a standstill order, a deportation order, and a presidential pardon. Second,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reason for the decisions that the persons involved make that changed their lives.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context, different punishments were not carried out by the powers of the government with regard to the National Security Law violation of the persons involved in the Spy Incident, but instead, the punishments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parties themselves who went through different decis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Spy Incident, which cannot be summarized in a single definition, with a new approach and to suggest argumentative points that have not been fully disclosed through research and historical revaluation. The Spy Incident is notable for the involvement of Seokjin Lim, as he was the first informant. However, this piece of information is of little importance to a discussion regarding ethics. The important fact is the influence of government power over a person’s image upon voluntarily turning himself in to the authorities, and the complexity of the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look into facts that have affected such outcome, such as the place where the person has confessed, and the involvement of the two regimes, name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e was not imprisoned due to his confession; however, he was given terms of condition while leading a normal life. He was not allowed to go abroad or to interact with his fellow European scholars. He was also prohibited from speaking about the Spy Incident. A standstill order was a tacit agreement, which h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power, whereas a gag order was considered as a self-regulation. On the one hand, two famous artists were forcibly summoned to Korea after the confession made by Seokjin Lim. The reason why the Spy Incident became a worldwide sensation was due to the involvement of Ungno Lee and Isang Yun.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the symbolic meaning behind the Spy Incident, as well as the attention that it has received. As a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imposed the necessary restrictions in order to deal with this incident. These two people became known as famous artists. Ungno Lee and Isang Yun were given special pardons by President Chunghee Park.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life outside of prison refers to outside Korea’s borders and away from their families, relatives, hometown, and homeland. They were simultaneously included, relieved, and seized by a deportation order, which essentially permitted the right to lead something to a person who was deported, or the power to maintain relations with something that was assumed to be irrelevant to him. The life of Ungno Lee showed h...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후반 한국사회를 뒤흔들었던 ‘동백림 사건’의 의미를 다각도에서 고찰해보는 데 있다. 그간 공안사건에 관한 연구는 넓게 보아 사실적 차원에서의 접근과 통치성의 규명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중요한 성과를 낳았다. 그러나 이들 사건에 관한 연구는 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사건의 한가운데에 서 있었던 인물들을 조명해보는 일이다. 이 글은 세 인물-임석진, 이응노, 윤이상-을 매개로 해당 사건에 접속하여, ‘박정희 정권의 통치 기술’과 ‘불온한 지식인·예술가의 자기 기술’이라는 두 가지 연구 범주를 함께 다뤄보고자 한다. 이는 특정 사건을 가해와 피해, 강제와 동의의 구도로 읽거나 억압적 권력의 작용에 무게중심을 두는 연구 패턴으로부터 벗어나, 권력과 주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양자의 상호작용적 영향관계를 관찰하려는 모색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하나의 의미로 환원될 수 없는 사건의 ‘의미들’을 밝히고, 진상규명이라는 렌즈를 통해서는 충분히 포착되지 않는 ‘논쟁적 지점들’을 개시해줄 것이다. 이상의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이 글은 ‘금족령’, ‘추방령’, ‘사면권’이라는 세 가지 개념으로 논의를 구조화했다. 이 개념들을 통해 통치 기술과 이에 관계된 자기 기술을 살피는 작업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이 개념화가 갖는 이점은 국가보안법과 반공법이라는 법의 언어로는 충분히 포획되지 않는 ‘처벌들’과 여기서 파생되었던 ‘고통들’에 대해 논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둘째, 개개의 주체들이 내린 결단의 의미와 이로 인해 그들의 삶에 생겨난 변화를 적극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의 맥락을 끌어와 보자면, 상이한 처벌은 단지 인물들을 ‘국보법 위반자’로 포착하는 권력의 시선 속에서 태동하지 않았다. 그것은 서로 다른 선택을 감행하고 있었던 인물들 자신에게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했다. 이 점에 착목할 때, 우리는 동백림 사건에 관해 더 논의해야 하고, 또 더 논의할 수 있는 것들이 아직 남아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동백림 사건에 관한 연구는 개인들에게 권력의 힘이 덮쳐왔던 순간들을 구체화하여 보여주는 동시에, 이 순간들마다에서 그들이 어떠한 결단을 내리고 그럼으로써 그 힘에 개입하고 있었는지를 드러내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