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신뢰가 공식적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귀희(Kwi Hee Bae),임승후(Seung Hoo Lim) 한국정부학회 2009 한국행정논집 Vol.21 No.4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정부신뢰와 공식적 시민참여 활동의 대표적 형태인 투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정부신뢰 이외에 시민참여의 중요한 독립변수인 정치효능감, 정치적 인지도, 자발적 결사체 활동수준 등도 포함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는 2000년에 수행된 National Election Studies(NES)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제3의 설명가능성들을 제거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보다 정확한 인과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설명변수 이외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변수들과 인구·사회적 배경변수들을 통제한 후, 이항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 미국대통령 선거에 있어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은 시민일수록 투표 행위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효능감과 정치일반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고, 사회조직활동에 많이 참여하는 시민일수록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장 커다란 의의는 정부신뢰와 자발적 결사체 혹은 조직에의 참여, 그리고 정치적 인지도가 공식적 시민참여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Trust in government is essential to democratic governance and democracy in 21st century. Trust in government has been steadily declining since the mid-1960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formal citizen participation, many scholars have conducted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citizen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and trust in government. However, many scholars have tackled this subject and shown the mixed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rust in government exert influence on formal citizen participation. For solving this research question, employing National Election Survey(NES) data of 2000, we showed that trust in government statistically make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formal citizen particip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