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체 여성 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임수원(Suwon Yim),박혜형(Haehyoung Park),박윤희(Yoonhee Park)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기업의 여성 리더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여성 관리자들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 모델을 채택하여 11개의 하위 요소들을 개발 과정에서 유연하게 적용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성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리더십 역량 22개를 도출하였고, 국내 공공기관, 대학, 민간 교육 기업에서 운영하는 여성리더십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관리자 11명과 여성 리더 6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설문조사하여 여성 관리자와 여성 리더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리더십 역량과 현재 수행 수준에 대해 파악하였다. 1:1 인터뷰를 통해서는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에 바라는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최종적으로 리더십 역량 16개를 도출하였다. 이 그 결과를 토대로 여성 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Intro>, <Self-leading>, <Work-leading>, <Organization-leading>, <Team-leading>, <Outro> 총 6개의 모듈로 구성하였고, 각 모듈에는 주요 리더십 역량을 강조하고, 조별 활동, 자기 진단, 발표 등 다양한 교수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상호작용 모델의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고, 국내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을 새롭게 도출하여, 사회적 요구에 따른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female managers with the potential for growth as female lea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dopted an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and developed a program with 11 sub-elements flexibly appli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We extracted 22 leadership competencies for female managers from the literature. We analyzed the case of female leadership programs operated by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private education companies. In addition, we surveyed 11 female managers and 6 female leaders to identify the leadership competencies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s t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e confirmed the requirements for the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Finally, we identified 16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ased on these findings, developed a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for female managers. The program consists of six modules, <Intro>, <Self-leading>, <Work-leading>, <Organization-leading>, <Team-leading>, and <Outro>, an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such as presentations, facilitation, and self-testing. This research extends the theoretical domain of the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and indic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Korean female managers. In addition, we developed a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to meet social needs. Finally, the paper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 인력양성 사업에 대한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

        송낙현(Song Nakhyun),박윤희(Park Yoonhee),임수원(Yim Suwon),정동훈(Jung Donghu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대상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197명, 훈련기관 담당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인식 분석 및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는 해당 사업이 학생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취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되며, 학생들의 신기술 역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전공능력, 진로 및 성장경로 설계 수준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사업운영의 한계로 교사는 행정지원, 업무 부담, 훈련기관 담당자는 학생들의 수준 고려와 흥미 유발 촉진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분석 결과로, 고교 졸업 후 좋은 기업으로의 취업, 미래유망분야 인재 양성, 학교-훈련기관-기업 간 협력 강화, 그리고 학생의 중장기적 성장경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의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training institution managers about the training program of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ne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197 teachers and 69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ward, the perceptions of both teachers and managers was analyzed, and need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ere derived using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managers respond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o students,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and strengthening new technology capabilities.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responded that their major ability, career path design level had changed positively. Third, as the limitation of program operation, the increased work burden due to administrative support by teachers and the facilitating of students interest by managers were suggested. Finally, as a result of needs analysi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employment at a good compan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high schools, institutions, and companies, and mid-to long-term growth paths for stud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program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