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 『조선공론』 영화란의 탄생과재조선 일본인 영화문화의 태동

        임다함 ( Da Ham Yim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에 거주했던 ‘재조선일본인의 영화문화’에 대해 처음으로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영화계와 재조선일본인 영화인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최근 한일 양국의 영화사 연구분야에서 연구성과가 나오기 시작했지만, 주로 영화의 제작과 흥행 측면에 한정되어 있어 실제로 조선의 영화관에서 영화를 관람하고 있던 재조선일본인 관객의 영화문화가 어떠한 것인지 밝혀낸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13년 4월 창간 당시부터 영화관련기사에 주력했던 재조선일본인을 위한 종합잡지 『조선공론』에 영화란이 개설되기까지의 배경을 상세하게 파헤침으로써, 지금까지의 한일영화사 연구, 그리고 재조선일본인 연구에서도 간과되어왔던 재조선일본인의 영화문화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았다. 재조선일본인을 위한 영화전문잡지가 존재하지 않았던 일제강점기의 조선에서, 『조선공론』 영화란은 영화잡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재조선일본인의 영화문화를 선도하고 있었다. 특히, 마쓰모토 데루카(松本輝華)라는 기자가 영화란을 담당했던 시기(1921~1928)에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영화의 선용과 관객문화의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attempt to bring light to the movie culture of Japanese Settlers who lived in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cent researches have successfully shone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ilm history of Joseon and Japan, most of which focus on the aspects of production or box office results, yet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about the real-life movie culture of Japanese settlers who watched movies in the theaters of Joseon. Therefore, this paper thoroughly investigates the progress of establishing the movie section in “Chosen Koron (KR: Joseon Gongron)”, a magazine which mainly targeted Japanese settlers in Joseon and focused on movie articles from its first issue in April 1913. This paper aims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about the movie culture of Japanese settlers in Joseon, which has been neglected not only in the Korean-Japanese film studies, but also in the studies of Japanese settlers, by considering the movie section in “Chosen Koron” as a starting point. As there were no film magazines for the Japanese settlers in Joseon, the movie section in the magazine “Chosen Koron” carried out the role of a film magazine and led the movie culture of the Japanese settlers. Notably, the years of Matsumoto Teruka as the editor of the movie section (1921~1928) saw how the magazine made endeavors to create audience culture in Joseon and to make good use of movies by devoting a good deal of space to cover movie related content.

      • KCI등재

        대중 선전 장치로서의 미디어 이벤트

        임다함(Yim, Da-ham)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31년 경성일보 가 진행한 미디어 이벤트「경성고우타」가사 현상 모집과 그 배경 및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경성일보 의 기사와 더불어 어떠한 미디어 이벤트를 기획하고 실행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이 신문이 식민정책의 선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해나갔고, 나아가 식민지 조선의 독자들의 의식 및 사상 형성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는지를 다각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931년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취지를 선전하기 위해 시작된 이 이벤트는, 1920년대 들어 등장한 ‘신민요’가 ‘지역 노래’로서 인기를 얻은 데 착안한 경성일보 가 일본어로 조선을 대표하는 민요를 만들어내기 위해 기획한 것이었다. 현상공모를 통해 탄생한「경성고우타」와 「대경성행진곡」은 “조선 특유의 정서”를 살린 노래였지만, 「대경성행진곡」은 ‘남성적이고 스케일이 큰 힘차고 명랑한 곡’으로, 「경성고우타」는 ‘섬세하며 감정이 풍부한’ 일본 전통민요 풍의 곡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들이 만들어낸 경성의 대조적인 이미지는 레코드, 라디오 방송, 무용공연 등 복수의 미디어를 통해 국내외로 확산되어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dia event “Keijo-Kouta” hosted by the Keijo-nippo in 1931,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As Keijo-nippo was the official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t is essential to look into the media event to find out how this newspaper unfolded the propaganda of colonial policy and the role it played on shaping the readers’ thoughts and ideas. The event, which began in 1931 to promote the purpose of local autonomy by Keijo-nippo, was inspired by the popular song “Sinminyo” which appeared in the 1920s, in order to create a folk song representing Joseon in Japanese language. “Keijo-Kouta” and “Great Keijo March” were produced through the prize con-test and they both reflect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however, the mood of each song is in complete contrast to one another : “Great Keijo March” is a mas-culine large-scale song, on the other hand, “Keijo-Kouta” is a delicate emotional song of traditional Japanese folk style. The contrasting images of the two songs representing Keijo spread throughout Korea and abroad via multiple media out-lets such as records, radio broadcasts and dance performances.

      • KCI등재

        1920년대 말 조선총독부 선전영화의 전략

        임다함(Yim Da Ha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1

        본 논문은 1920년대 후반에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미쓰나가 시초(光永紫潮)가 쓴 조선총독부의 선전영화 시나리오에 주목한 연구이다. 식민지 조선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의 영화 활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1920년대 후반의 민간 영화제작사가 관여한 선전영화 시나리오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영화 활동이 총독부 선전영화와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었는지를 밝혀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미쓰나가가 쓴 선전영화 시나리오는 단순히 총독부의 시책을 선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일본 대중문화의 유행을 반영하는 전략을 시도했다. 『도쿄행진곡』으로 비롯된 일본의 ‘지역행진곡’ 대유행은 거의 동시적으로 식민지 조선에도 유입되었고, 식민지 조선에서도 각종 ‘행진곡’이 파생되며 ‘지역행진곡’ 유행이 확산되었다. 미쓰나가는 이러한 일본 내지의 유행을 조선박람회 집객을 위한 총독부의 선전영화 『조선행진곡』에 도입함으로써, 미디어간의 상호 연계를 노린 일종의 미디어 믹스 전략을 실천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propaganda film scenarios written by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 Mitsunaga Shicho in the late 1920s. While little research on film activities by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s has been done, this paper analyses the propaganda film scenarios produced by the private film companies so as to explain their relation to the propaganda films commissioned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The propaganda film scenarios written by Mitsunaga do not only promote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but also attempt to strategically reflect the trend of contemporary Japanese pop culture to attract more audiences. The craze for Japanese "local march songs" almost simultaneously flowed into colonial Joseon, and a variety of "marching songs" were born and the trend became widespread. Mitsunaga adopted such trend in the propaganda film Joseon March, commissi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imed to attract more audiences to the Joseon Exposition. His attempt can be valued as a strategic media mix between film and music.

      • KCI등재

        비대면 환경에서의 일본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영화를 활용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임다함 ( Daham Yim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1 日本語敎育 Vol.- No.98

        In this paper, the advantages and improvements of non-face-to-face teaching are considered by comparing with the same examples of face-to-face Japanese culture classes using film content. Through this process, ways to promote effective Japanese culture education will be presented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Real-time online lessons have two advantages : First, real-time interactive conversation is possible. Many students participated in class expressing their opinions through ‘live chat’. Second, interaction with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is possible. Although real life interaction with Japanese is key to learn Japanese culture, it is difficult to meet in person. Whereas real-time online classes may realise interaction with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orm of online joint lectures and special lectures. Due to the prolonged corona situation, university education can be promoted in the hybrid form of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which will resul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