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효온도가 사과와인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곽한섭(Han Sub Kwak),서재순(Jae Soon Seo),배혜정(Haejung Bae),이화정(Hwajong Lee),이영승(Youngseung Lee),정윤화(Yoonhwa Jeong),김미숙(Mi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사과와인의 제조 시 술덧의 발효 온도에 따른 발효 기간 동안의 이화학 특성, 알코올 생성량, 발효 후 메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량을 분석하여 사과와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저온발효(15°C)의 경우 알코올 생성량이 낮게 나타나 20°C 및 25°C의 발효보다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산의 함량이 높아 사과와인의 향미가 강할 것으로 생각된다. 20 및 25°C의 발효 온도에서 pH, 총산함량, 알코올 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유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생성량이 15°C에서의 발효보다 높아 사과와인 생산비가 절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메탄올의 생성은 발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생성과정의 일부로 0.68 mg/L에서 1.69 mg/L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3.43 mg/L에서 1.02 mg/L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및 유해물질 생성량을 고려할 때 20°C 내외의 발효가 사과와인 제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wine. Apple wine mashes were fermented in 15, 20, and 25°C water bathes for 9 days. The pH levels of all samples were below 4 from 24 h of fermentation until the end. Total acidities of 0.05% acetic acid solution were 7.8, 7.4, and 7.0%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The evaporation of esters generated by combining alcohol and organic acids might be the reason for lower total acidity for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Alcohol contents of the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were 6.5 and 6.6% (v/v),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the 15°C fermented sample was 5.6% (v/v)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s (P<0.05). Methanol contents were 0.68, 0.82, and 1.69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Fermentation at higher temperatures generated higher methanol content in apple wine. On the other h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3.43, 2.39, and 1.02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due to the lower boiling point of acetaldehyde (20.2°C). Based on the results,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25°C is effective for apple wine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