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부처 내 신뢰와 공정성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대별 팀제문화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이혜림 ( Healyim Lee ),이효주 ( Hyojoo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2

        본 연구는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상사신뢰, 동료신뢰, 인식된 절차공정성이 조직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 신뢰와 조직 수준 신뢰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를 조직신뢰와 같은 수준에서 분석하여, 조직 내 대상 별 신뢰 간의 위계성, 역동성 등을 간과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신뢰를 상사신뢰와 동료신뢰의 결과변수이자, 궁극적으로 조직몰입을 제고시키는 매개변수로 가정하여 신뢰 간의 역동성을 규명하고, 관리적 차원에서 조직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세대 간 팀제문화 인식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신뢰와 조직몰입 사이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함으로써 세대 간 차별화된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개의 정부소속 부처에 종사하는 50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된 절차공정성과 동료신뢰는 조직 수준 신뢰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사신뢰는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지 않았다. 또한, 팀 기반 문화에 대해 세대 간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제도적 함의와 세대별로 다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on Korean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team-based culture on the link between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did not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trusts because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were analyzed at the same level.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model taking organizational trust as the mediating variable. It played the role of outcome variable for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rocedural fairness; it also acted as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re were generation gap differences between in their 20s and 30s and 40s and 50s to identify team-based culture and its moderating effects so that the requirements for differentiated approaches could be suggested. The data for the research model comprised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505 officials in 15 government ministr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and co-worker trust had positive (+)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meanwhile, supervisor trust had no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levels among the different generation groups regarding team-based culture.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discussed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public officials.

      • KCI우수등재

        비동일방법편의(Un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박원우(Won-Woo Park),박수빈(Soobin Park),이혜림(Healyim Lee),오민주(Minju Oh),맹준성(Junsung Maeng) 한국경영학회 2023 經營學硏究 Vol.52 No.1

        Common method bias(CMB) occurs when the measurement of all variables within a conceptual framework is done with a single i.e. common method. The importance of overcoming CMB as a key way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by most scholars, that it is often treated as a basic condition to be fulfilled in doing an empirical study. Thus, the use of uncommon methods became a fad to overcome CMB. By recognizing that uncommon method also has problems, this paper describes uncommon method bias(UMB) thoroughly: What it is, why it happens, and finally the six ways to overcome it. Furthermore, 1,529 empirical papers published in past 14 years (2008~2021) in three prominent Korea journals were analyzed in detail to see to what extent they recognized the issue of CMB and/or UMB, and how they tried to overcome them. Unlike growing recognition and effort to overcome CMB, none of the 1,529 papers has mentioned anything about UMB, not to mention any efforts to overcom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