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보이콧 행동에서 감정이입의 역할 : 소비자의 감성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이한석(Lee, Hansuk),주영혁(Joo, Young Hyuc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1 소비문화연구 Vol.14 No.2

        최근 온라인 환경에서 보이콧(불매운동)의 발생빈도와 파급력이 증대되고 있다. 소비자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가능해지고 관련 커뮤니티 증가로 인하여 보이콧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이콧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정 온라인 보이콧 메시지에 의하여 보이콧 행동이 나타나게 되는 과정에 대하여 소비자의 정서적 관점에서 감성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보이콧 관련 연구에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결과 보이콧 메시지에 의하여 유발된 부정적 정서와 보이콧 행동과의 관계에서 감정이입(empathy)이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구성요소 수준에서 검토한 결과 다양한 유형의 부정적 정서는 감정이입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감정이입 역시 두 가지 유형의 보이콧 행동(참여행동 및 구전행동)에 차별적인 영향이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Consumers are becoming more aware and concerned about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uycotting and boycotting related behaviors are intriguing forms of consumer behavior. But some questions remain as to whi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 behavior such as boycotts. Even though boycotts through the internet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management decision mak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f an individual consumer's emotional motiva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Based on empathy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empathy in negative emotionsempathy-boycott behavior ch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mpathy is found to be a mediator in negative emotion-boycott behavior relationship. Second, anger and tension are the important negative emotions on empathy and perspective taking and personal di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 on boycott behaviors(boycott participation and boycott WOM). Additionally, our research explai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firms and suggests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소비자에서 투자자로

        이한석(Hansuk Lee),노민정(Minjung Roh),김송미(Songmi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경영연구 Vol.30 No.4

        온라인을 통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형태인 크라우드 펀딩은 소비자의 역할이 단순히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에서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생산 및 투자 과정의 개입으로까지 확대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크라우드 펀딩의 도입에 따른 소비자 역할의 변화를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의 영향 요인들을 탐색해 봄으로써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세 번의 실험이 크라우드 펀딩 참 여에의 주요 요인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리가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지각된 보상의 공정성이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세번째 실험에 서는 사회적 영향력에 따른 소비자들의 동조효과가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사에는 지각된 보상의 공정성만이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크라우딩 펀딩 프로젝트 기획 시 소비자들의 공정성 지각을 보다 함양할 수 있는 정보 포맷의 개발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Crowd funding, the practice of consumers’ proactive participation via the Internet, has gained significance as the role of consumers has expanded from mere consump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o active intervention in the production and investment proce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sumers’ roles with the introduction of crowd funding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have led them to participate in crowd funding.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first experiment used the construal level theo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distance perceived by consumers on their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fairness of rewards on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third experiment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d consumers’ agreement based on their social influence, and the second.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perceived fairness of rewards has the greatest influence in leading consumers to participate in crowd fund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s an elaborate and delicate theoretical framework towards the future study on crowd funding–related fields, and demonstrates the need to develop an information format that can further enhance consumers’ fairness perception in devising a crowd-funding proj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