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골 종양 절제후 결손부위의 즉시재건술에 의한 치험례

        이충국(Lee C K),심현구(H G Shim),이의홍(E H Lee),이용환(Y H Lee),이정구(J G Le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2 No.1

        Mandibular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 infection and trauma have resulted in manidbular deviation, atrophy of mastricatory muscle and contracture of soft tissue, and so is further complicated by facial deformity and functional disturbance. Because of such a functional and esthetic reasons, needs for the replacement of mandibular defect immediately after the resection of mandible were emphasized. Until now, it is well known that the most favorable replacement material is autegenous bone, but has some technical difficulties and contraindications for it s use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 Prosthetic implant materials have many advantages over the bone graft tn view of stability, need for radiation therapy and adjustability, etc. We have obtained favorable results by replacing the mandibular defect with stainless steel metal reconstruction plate and heat curing acrylic resin implant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상악골 악성종양의 외과적 절제후 즉시재건술을 이용한 치험례

        이충국(C K Lee),한인주(I J Han),이정구(J G Le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2 No.1

        Maxillectomy for the treatment of maxillary cancer is radical surgical procedure and so it has many complications physi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following procedure. Various methods of immediate reconstruction for such a maxillary defect was presented until now. We treated the 48 year old male patient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n maxillary sinus by means of total maxillectomy and immediate reconstruction using the split rib graft on the resected anterior floor of orbit and anterior wall of maxilla. We have obtained good functional and esthetic results by preventing cicartrical contracture of soft tissue and ptosis of eyeball contents.

      • 적층형 압전액추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보상기

        윤소남(S. Yun),김찬용(C. Y. Kim),박평원(P. Y. Park),이충국(C. K. Lee)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05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a stack type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system identification and tracking control. Recently, several printing methods that cost less and are faster than previous semiconductor process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paper and RFID.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prints by spraying the molten metal, and consists of a nozzle, heating furnace, operating actuator, and an XYZ 3-axis stage, As an operating system, the piezoelectric(PZT) method has very valuable uses. However, the PZT actuator has a very big hysteresis characteristic due to the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PZT element. This causes problems in the system position contro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PZT actuator that has an output displacement for the input voltage. The study proposed a inverse hysteresis model, a mathematic modeling method that can express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voltage and displacement, in order to reduce the hysteresis of the PZT actuator. In addition, system identification and PID control methods were examine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control strategy gives good tracking performance.

      • KCI등재

        Differential diagnosis of class Ⅲ malocclusion

        최병호(B H Choi),이충국(C K Le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8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4 No.1

        악교정수술을 위한 각 개인의 두부방사선계측분석에 있어서 절대치보다는 균형과 비례관계에 의한 비율로 평가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며, 특히 한 점으로 수렴되는 네 기준선 (anterior cranial base plane, palatal plane, occlusal plane, mandibular plane)과 그 중심점으로부터 형성된 호를 이용하여 각 호에 대한 각 부분의 위치적 관계를 비율로 평가하는 호선분석법 (sassouni s archeal analysis)이 악교정수술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이 호선분석법을 이용하여 ①균형있는 안모를 가진 정상교합자 한국인 121명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호선분석요소들의 기준치를 구하였고, ②Angle씨 제Ⅲ급 부정교합자 203명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이들의 치아 및 안면부조화의 유형분류를 하였으며, ③이들 유형별로 악골 및 치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평적 형태의 분류를 위하여는 다음 4개의 요소 ; O-A/O-Na에 의한 상악골위치, O-B/O-Na에 의한 하악골위치, ACBP와 상악중절치가 이루는 각에 의한 상악치아위치, MP과 하악중절치가 이루는 각에 의한 하악치아위치를 이용하였으며, 수직적 형태의 분류를 위하여는 다음 2개의 요소 ; 전후안면고경비율(SOr-Me/Si -Go), 전상하안면고경비율(ANS-Me/ANS-SOr)을 이용하였다. 균형있는 안모를 가진 정상교합자와 제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이들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여 6종류의 수직유형 (Type 1,2,3,4,5,6)과 6종류의 수평유형 (Type A, B, C, D, E, F)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6종류의 수직유형은 203명의 전 부정교합자의 95.6%, 6종류의 수평유형은 89.7%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이들 6종류의 수평 및 수직유형의 조합으로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약 85%를 유형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빈도가 많은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유형은 Type B와 Type 1의 조합으로 상악골은 정상, 하악골은 전방위치, 상악치아는 순측변위, 하악치아는 설측변위, mandibular plane · palatal plane · occlusal plane은 정상인 형태이다.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이러한 유형분류는 치아 및 악골의 수평관계뿐 아니라 수직관계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기때문에 악교정수술을 위한 진단과 치료계획수립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