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대중문화와 주체성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1 No.-

        이 글에서 탐구하려는 것은 오늘날의 대중문화 속에서 우리가 어떠한 주체의 모습으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현대인의 주체성과 삶을 규정하고 있는 현대 소비문화의 발달과정을 탐구한다. 이어서 본 논문은 현대 소비문화가 갖고 있는 특징들을 밝히고, 현대의 문화가 소비를 통해 우리 삶을 총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소비의 문화임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난 후, 본 논문은 이러한 소비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현대인의 정체성과 삶의 양식이 어떠한 특징들을 나타내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본 논문은 현대 소비문화 속에서 현대인들이 갖는 주체성과 삶의 양식을 비판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우리의 삶에 대한 반성적 통찰을 얻고, 이를 통해 보다 진정한 인간적 주체성을 확립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전망을 제시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we are living in the modern popular culture. In order to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investigates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onsumer culture that defines subjectivities and lives of modern people. Subsequently this paper clarifies features of the modern consumer culture and reveals that the modern culture is consumer culture which totally defines our lives through the consumption. And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of modern people's subjectivities and living modes those are shaped in the consumer culture. On these results this paper critically evaluate the subjectivities and living modes of modern people. And this paper provides reflexive insight into our lives and perspective for more authentic human subjectivity and living mode.

      • KCI등재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현대적 의미 ― 지눌의 선교회통론을 중심으로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오늘날 한국불교는 간화선이 배타적으로 절대화됨으로써 구체적인 삶과 현실의 문제를 불교적 관점에서 해명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며, 불교적 진리를 실현하는 실천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이 글은 선과 화엄사상의 회통을 통해 한국불교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본 글이다. 이 글에서는 지눌의 화엄사상에 대한 견해와 선교회통론의 근본주장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부족한 점을 밝혔다. 지눌은 선 우위라는 시각에 입각해서 제한적으로 화엄사상을 수용하면서도 선을 통해 그 문제점을 극복해 가야 한다는 다분히 편향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진정한 선교회통에는 이르지 못한 점이 있다. 그러나 선과 화엄사상은 부족한 점을 서로서로 메워주는 상보적인 수행의 방편으로 간주해야 한다. 어느 한 쪽을 우위에 두는 차별적 태도를 취할 것이 아니라, 양자를 아무런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로 활용해 나갈 때 비로소 선교회통의 이상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화엄사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어떤 근거와 방법에 의해서 선과 화엄사상을 회통시킬 수 있는가를 밝혔다. 우리는 화엄사상을 통해서 우주적 진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선을 통해서 이를 직접 체득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다시 화엄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일상의 실천으로 닦아나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개인의 깨달음을 완성하고, 모든 존재가 평화롭게 어우러지는 장엄한 화엄세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이 땅에서 선과 화엄사상의 회통을 다시 회복하는 일은 바로 이렇게 중요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첫걸음이 된다.

      • KCI등재

        老莊 美學思想이 中國 畵論에 미친 영향

        이찬훈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5 No.-

        이 글에서는 노장 미학사상을 미론, 심미론, 예술창작론, 예술품평론이라는 예술이론의 기본구조 에 따라 분석하고 중국 화론에 나타난 그 영향을 살펴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혔다. 노장 미론의 영향 을 받은 중국 화론가들은 그림이란 단순히 외적 형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도를 그려내고 자연 그 대로의 천성, 사물의 고유한 성품인 정신을 전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간주하였다. 또한 생 동하는 기야말로 그림이 표현해야 하는 미라고도 주장하였다. 노장 심미론의 영향으로 중국 화론 에서는 참다운 미는 감각을 넘어 마음으로 파악해야 하며, 훌륭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화가는 허 정한 마음으로 대상을 온전히 파악하고 주객이 합일되는 심미적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주장하였 다. 노장 예술창작론의 영향으로 중국 화론가들은 화가는 마땅히 모든 세속적 욕망이나 속박으로 부터 벗어나 그림을 그려야 하며, 옛 사람을 배우되 그것을 뛰어넘어 자신만의 방법을 체득할 것과 바깥으로 자연스러운 사물의 참모습을 파악하고 마음속에 그것을 용해하여 형성한 진실한 뜻과 감 정을 토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훌륭한 화가는 오랜 수련을 거쳐 정신으로 대상을 파악하고 손이 그에 자연스럽게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도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강조하였으며, 허실상생 을 통해 외적 형상을 넘어 높은 의경을 그려내야 한다는 회화창작론을 펼쳤다. 노장의 예술품평론 을 수용한 중국 화론가들은 그림을 품평하는 기준으로서 일, 신, 묘, 능이라든가 기운생동 같은 개 념을 제시하였으며, 서툴고 거친 듯하지만 사물의 본성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자연스럽고 천진 한 작품이 오히려 훌륭한 그림이라는 품평이론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Lao-tzu and chuang-tzu's aesthetic thoughts according to basic structure of the art theory and to clarify Influence of them upon chinese art theories. Many chinese art theorists those who have been affected by Lao-tzu and chuang-tzu's beauty theory regard the purpose of paintings as not to draw external figure but to grasp and transmit Tao and the spirit of the objects. Many chinese art theorists those who have been affected by Lao-tzu and chuang-tzu's esthetic appreciation theory assert that painter must grasp the true beauty by mind and reach the unification of subject and object. Many chinese art theorists those who have been affected by Lao-tzu and chuang-tzu's art creation theory emphasize that painter must get rid of worldly desires and restrictions. And they assert that painter have to master the method of oneself. And they emphasize that painter must express Yi Jing(意境) by the cooperation of substance and blank-space. Many chinese art theorists those who have been affected by Lao-tzu and chuang-tzu's theory of art criticism present the concept of CHI YUN SHENG TUNG as the criterion of art criticism. And they regard a work of art that is rough and simple is a great work.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디지털 사진예술의 활용 가능성 연구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0 No.-

        이 논문은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의 표현과 전달을 위해 사진예술을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본 글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사진술의 발달에 대한 벤야민의 주장을 분석함으로써 사진예술의 발달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기록성과 창조성의 대립과 연관 관계를 둘러싸고 발전해 온 사진예술의 발달과정과 사진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 글은 디지털 사진예술의 발달 과정이 어떻게 창조적인 표현의 가능성을 넓히고 벤야민이 얘기하는 예술의 민주화에 기여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그러고 나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사진예술가들이 개발해 온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진예술을 이용해 온 선구적인 방식을 우리는 베를린 다다이스트(Dadaist)들과 러시아 아방가르디스트(Avant-gardist)들의 포토몽타주, 그리고 브레히트의 사진시에서 찾아보았다. 그리고 그 이후 나타난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진예술의 방식으로 우리는 우선 구성사진과 합성사진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디지털 합성사진을 이용한 디지털 픽토리얼리즘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사진 이미지와 문자 텍스트의 결합, 그리고 연속사진 또는 엮음사진을 살펴보았다. 오늘날에는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들을 마음대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들을 더욱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예술 및 디지털 문화의 발달은 사진예술을 창조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기는 하였지만 그 가능성이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발달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표현기법의 변화 및 다양화 자체가 보다 가치 있고 창조적인 문화를 이끌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깊이 있는 사유와 상상력의 표현이지 단순한 표현기법상의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 사진예술 영역에서는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의 중요한 주제들을 실제로 다루어왔으며,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개발해 왔다. 다만 인문학과의 활발한 교류와 소통이 없었기 때문에 그러한 주제에 대한 사진예술가들의 인식은 깊은 인문학적 소양을 결여한 채 다분히 감각적이고 단편적인 것에 머문 경우도 많았다. 다른 한편 인문학자들은 그동안 고답적으로 문자매체만을 고집함으로써 사진예술과 같은 훌륭한 매체를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의 표현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해 오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문학이 발달한 디지털 매체들을 통해 이 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진예술 영역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방식들을 적극 활용한다면, 좀 더 설득력 있게 인문학적 사유와 상상력을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looks for the methods to utilize photoarts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the humanistic thoughts and imagination. For that goal this paper firstly analyzed Benjamin's opinion on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then looked aroun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Next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photoarts and the role of photography that have developed around the confrontation and association between document and creativity of photography. Next this paper examined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photoarts in what manner enlarged the poss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and contributed the democratization of arts which Benjamin had told. And then this paper examined the methods to express the humanistic thoughts and imagination those photoartists had developed. We found out those pioneering methods in photomontage of Berlin Dadaists and Russian Avant-gardists and in Brecht's photoepigramm. Next we examined the efficient methods of photoarts to express the humanistic thoughts and imagination those had appeared thereafter. Among those methods firstly we looked into constructed photograph, composite photograph and specially digital pictorialism that used digital composite photograph. Lastly We looked into the combination of photographic image and text and sequence photography. Nowadays, because using digital media we can make the images we want, we ca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use those methods. The development of digital photoarts and digital culture have given the possibility of creatively using the photoarts, but that possibility do not be actualized automatically. The change and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 itself can not lead the more valuable and creative culture. The key point is not simply the expression technique, but the expression of profound thoughts and imagination. So far many photoartists deal with the important theme of humanistic thoughts and imagination. However because there have not been active inter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photoarts and humanities, many photoartists had not been abundant in knowledge about those theme. So their understanding often remain in the sensational and fragmentary. On the other hand many scholar of humanities so far have adhered to language text, so they could have not use the useful media like photoarts for expression of the humanistic thoughts and imagination. In these circumstances if scholars of humanities use the various methods of photoarts those we have examined so far, they can express and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imagination more persuasively.

      • KCI등재

        화엄의 불이사상과 과정 형이상학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서구의 실체론적 사고에 대한 대안으로 각광받는 화이트헤드 철학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화엄불교와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을 비교 연구하여 왔다. 그런데 그동안 이런 비교 연구가 주로 화이트헤드의 입장에 서 있는 서구 학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도 드러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화엄불교와 화이트헤드 철학이 보다 올바로 만날 수 있는 길을 열어보려는 시도이다. 스티브 오딘은 화엄철학과 과정 형이상학 사이의 유사점을 인정하면서도 양자의 차이점을 강조한다. 그가 보기에 양자의 중대한 차이점은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방식이다. 그리고 오딘이 보기에는 과정 형이상학의 설명이 화엄철학의 설명보다 더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의 입장에 서서 화엄철학을 비판한다. 그 비판의 핵심은 화엄철학이 인과적 시간구조와 개별자의 독자성을 무시하고 부정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엄철학에 대한 이런 일방적인 비판은 화엄철학의 개념들과 그것을 관통하는 핵심적 사상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화엄철학의 핵심인 불이사상을 해명하고, 이에 기초해서 화엄철학의 근본적 관점을 밝히고 화엄철학에 대한 오딘의 비판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그 바탕 위에서 화엄철학과 화이트헤드 과정 형이상학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Many scholars who studies Whitehead's philosophy which is welcomed as a alternative to western substantialist thoughts have made comparative study of Hua yen Buddhism and process metaphysics. So far these studies generally have been performed by western scholars who have viewpoint of Whitehead. For that reason in these studies many problems have occurred.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examine these problems, and to find a way these two thoughts understand more appropriately each other. Steve Odin recognizes similarity of Hua yen philosophy and process metaphysics, while he emphasizes difference of the two. He regards most important difference of Hua yen philosophy and process metaphysics as explanations for causal relation of the two. Steve Odin regards explanation of process metaphysics as more logical and reasonable than that of Hua yen philosophy. Therefore he criticize from the standpoint of process metaphysics the Hua yen philosophy. The kernel of his critics is that Hua yen philosophy disregards and denies causal temporal structure and originality of individuals. But this one sided critics on Hua yen philosophy originates from misunderstanding about concepts and core thoughts of Hua yen philosophy. Hence this study elucidate that Not Two Thoughts is the kernel of Hua yen philosophy, and explain the fundamental viewpoint. So this study show the problems of Steve Odin's critics on Hua yen philosophy. And this study on this basis freshly elucidat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Hua yen philosophy and process metaphysics.

      • KCI등재

        중국 화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상 연구 ― 神과 氣韻 개념을 중심으로

        이찬훈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이 글에서는 중국 화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인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미학사상의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신과 기운생동론의 계승·발전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과정을 관통하는 몇 가지 공통된 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이 글에서는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회화미학의 특징을 서양회화미학과 대비시키면서 개괄하였다.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은 주객동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예술의 근본적인 역할과 임무는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표현하고 도모하는 일이라고 보면서 전신과 기운생동을 통해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며, 그것을 미적인 가치판단의 기준이자 예술작품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이것은 좁은 의미에서의 ‘미’를 넘어서는 ‘미와 추를 초월한 천연의 미’를 추구하는 것으로서, 회화의 목적을 대상 속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비례관계와 같은 미를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라 보는 서양회화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입장과 대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이처럼 주객이 교융하며 자연의 기운을 관조해서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동양회화에서는 한 시점에서 자연의 외형만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서양의 초점투시법과는 다른 유동적인 투시법을 중시하였다. 또한 동양화에서는 정교한 사실적 표현보다는 주관적인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형은 생략하면서도 사물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는 神似에 치중하면서 사물의 모습과 완전히 같지도 완전히 다르지도 않은 ‘不卽不離’, ‘닮지 않음의 닮음(不似之似)’을 지향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또 전신과 기운생동을 위주로 하는 전통적인 동양화에서는 극히 개인적인 감정의 격렬한 표현은 지향하지 않았으며, 이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유행하게 된 하나의 경향, 즉 회화의 목적을 개인의 주관적 감정의 표현에 두는 경향과 대조를 이루는 것이었다.

      • KCI등재

        현대 사회 구조와 주체성

        이찬훈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5 No.-

        이 글은 현대 사회 구조와 주체성의 특징이 무엇이며, 그것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앤소니 기든스와 크라스토퍼 래쉬의 견해를 비교 검토한다. 기든스는 ‘구조화 이론’을 통해 사회구조와 인간 주체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그러나 ‘규칙과 자원’이라는 그의 구조 개념은 사회구조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고, 구조적 제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으며, 개인의 능동성만을 과도하게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대성과 현대인의 주체성에 대한 그의 논의에도 영향을 미쳐, 그는 소비 자본주의를 비롯한 여러 가지 현대 사회 구조들이 현대인의 삶과 주체성에 미치는 제약이나 영향력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그 결과 그는 현대인들이 처한 삶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주체성을 정립하고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안과 전망을 제공하는데 실패하였다. 래쉬는 현대 사회에서 가족구조의 변화, 소비 자본주의와 관료제의 발달과 같은 사회 구조적 요인들이 현대인의 삶과 주체성에 미치는 영향력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그는 그러한 현대 사회구조 속에서 현대인들이 환상적인 자기도취적 생활 속으로 도피해 들어가는 모습을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주체성과 삶의 모습을 잘 드러내었다. 그의 분석은 현대인들이 올바른 자기 주체성을 기획하고 실현해 나가기 위해 해결햐야할 문제점과 해결의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성찰적인 주체의 기획에 기여하였다. 현대 사회는 어떤 측면에서는 인간을 해방시키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오히려 더욱 더 인간의 주체성과 삶에 대해 제약을 가하고 영향력을 행사한다. 성찰성은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거기에 얽혀 있는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올바른 실천의 방향과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성찰성을 바탕으로 현실을 직시하고 그 모순점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주체적인 삶을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 and compare the views of Anthony Gidden and Christopher Lasch on the question what is the structure of modern society and their interrelation. Giddens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subjectivity through 'the theory of structuration'. But the concept of structure as 'rules and resources' could not grasp meanings of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structural constraints. Therefore he have overemphasized the activity of the individual. His analyses of modernity and subjectivity were influenced by these defects. Therefore he could not grasp the constraints or influences on the life and subjectivity of modern people by the structure of modern society. As a result, he could not undrstand the state of modern people's life. And he didn't provide the method and prospect for construction and realization of right subjevtivity. Lasch have explaind the power of the structure of society such as the change of family life, the development of consumer capitalism and bureaucracy on the life and subjectivity of the modern individual. He have described the life and subjevtivity of the modern individual through the concept of 'narcissism' or 'minimal self'. His analyses contribute to reflexive project and realization of the modern self. On the one hand modern societies have liberated men and women on certain respects. But on the other hand modern societies constrain and influence on the subjectivity and life of the modern individual. Human reflexivity means the ability to understand exactly our situations, to grasp the related problems and to suggest the prospects of right praxis. We have to seek to solve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ety, and to pursuit for the reflexive life.

      • KCI등재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이찬훈 새한철학회 1998 哲學論叢 Vol.15 No.-

        현대 대중문화를 다루는 여러 가지 문화이론 중에서 헤게모니론이 유력한 이론틀 중의 하나이다. 헤게모니론은 대중화 지배와 저항의 힘들이 얽혀 있는 협상과 투쟁의 장으로 파악함으로써,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성격의 대중문화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연한 문화이론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헤게모니론적 문화이론은 대중문화 속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들의 지형을 밝혀내고 어떻게 하면 이를 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머 해방적인 헤게모니가 관철되는 방향으로 접합해 나갈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최근의 대중문화 연구 진영에서는 점차 헤게모니론의 균형잡힌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문화영역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지배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는 대중들의 능동적인 문화적 실천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들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문화 연구들은 대중문화 수용자들의 능동적인 문화소비활동에 주목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지배적인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 그들 나름의 해방적 의미를 생산하면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쾌락과 힘을 획득해 나가는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선 대중문화 연구들은 자연히 대중들의 이러한 능동적인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현대 대중문화의 모습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대중주의적인 문화연구들은 대중들이 문화 소비과정에서 행하는 문화적 실천의 능동성과 창조성을 과도하게 강조한 나머지 대중문화의 생산과 교환, 그리고 소비는 물론이고 대중문화 산물들의 내용과 성격도 규정하는 정치경제학적인 힘이나 계급간의 권력 관계, 그리고 지배적인 헤게모니의 영향력 등을 무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은 결국 오늘날 대중화가 처해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적 지형을 읽어 내는 데 실패하고, 현대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평가하면서 보다 나은 대중문화의 지평을 개척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채, 대중들에게 영합하여 현재 횡행하고 있는 대중문화의 모습을 무분별하게 찬양만 하는 체제 옹호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입장으로 떨어지고 만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체제는 여전히 자본의 지배 헤게모니가 관철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체제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대부분의 대중문화 산물들의 문화적 의미들은 물질적이고 상징적인 수단들을 통제하고 있는 지배블록을 위한 새로운 권력형태들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창조되고 유포된다. 그 때문에 오늘날 지배 권력의 헤게모니는 우리의 일상적인 문화 공간 구석구석에 파고들어 있다. 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오늘날의 지배블록은 대중들로 하여금 패키지화되고 스타일화된 문화상품들을 끊임없이 구매하고 소비하는 데에서 감각적 만족을 얻고 자기욕구를 충족해 나가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것은 결국 개인의 자기추구와 감각적 만족의 통제된 해방을 통해서 대중의 수동적인 소비와 사회적 의존성, 문화적 종속을 조장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진정으로 저항적이고 해방적인 문화적 실천은 소비적인 삶의 양식 자체에 저항하여, 문화상품의 소비가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무언가를 창조하고 생산해 내는 데서 기쁨과 의미를 찾는 일, 그리고 이와 아울러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이용해 대안적인 문화 형식들을 생산하고 교환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문화적 실천은 지배적 헤게모니를 확산시키는 문화상품들을 생산하고 유포하며, 소비적인 삶의 양식을 부추기는 거시적인 정치경제적인 지배구조를 변혁하고자 하는 사회직 실천과 결합되어야만 한다. 올바른 대중문화의 창출은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독해와 대안적인 대중문화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 그리고 문화의 생산, 교환, 소비를 규정하는 거시적인 사회구조의 올바른 변혁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Among the cultural theories of modern popular cultur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y is the hegemony theory. Hegemony theory provides a flexible cultural theory which can grasp contradictory and complex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in which the power of control and resistance are intermingled. It helps u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in popular culture and to articulate the hegemony in the direction to humanistic and democratic liberation. However in current developments of cultural studies, an uncritical poulist drift appears. It emphasizes the autonomy of cultural sphere and uncritically endorse the active role of the popular audience. These theories emphasize audience activity which produce popular pleasures and meanings those liberate them from the control of dominative hegemony. But this cultural populism too emphasizes the creative audience activity in consuming process to forget the power of political economy, power relation between classes, and influential power of dominative hegemony those which determinate the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But for that reason, it fail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today and falls into the populism that uncritically approve popular taste and pleasure. But hegemony of capital dominates contemporary society as before. Therefore ultimately cultural products are created to produce new forms of power for those who control the material and symbolic means of producing and consuming cultural meanings. The ruling bloc in contemporary society seduce individuals to realize their desires in consuming mass produced material and symbolic cultural commodities. And through the controlled emancipation of personal self-seeking and sensual fulfillment, the passive consumption, social dependence, and cultural submission of people are increased. Therefore authentically oppositional and liberative cultural practices are to seek the way of life that attains pleasure and meaning to create and produce something good for life and to create alternative forms of popular culture. And these cultural practices must be combined with social practices those which transform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y and dominative hegemony configuration that urge consuming passions of people.

      • KCI등재

        『화엄경』의 佛陀觀과 기독교의 神觀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다종교사회인 한국사회에서 영향력이 큰 불교와 기독교 간의 이해와 소통은 절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양 종교 사이에는 상호 이해와 소통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글은 불교와 기독교의 궁극적인 깨달음과 신앙의 대상이 되는 불타와 신 개념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양 종교 상호 간의 이해와 소통을 넓혀보려는 노력의 일부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화엄경』의 불타관과 기독교의 신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엄경』의 불타관은 법신불, 보신불, 화신불이라는 삼신불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화엄경』에 나타난 법신불, 보신불, 화신불의 성격을 상세히 분석하고, 삼신불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나아가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불교의 구원관도 해명하였다. 이어서 이 글에서는 불교에 대한 태도에서 양 극단에 서 있는 보수적인 전통적 기독교와 에크하르트의 기독교 신비주의 및 종교다원주의적 기독교의 신관을 분석하고, 이를 『화엄경』의 불타관과 비교하였다. 이런 비교 분석에 의해 기독교의 신관과 그에 기초한 구원관 가운데서 어떤 부분이 『화엄경』의 불타관과 상통하거나 양립하기 어려운가를 해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결국 다문화․다종교 사회 속에서 불교와 기독교가 상호 소통하고 공존하면서 우리의 행복하고 평화로운 삶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로 어떻게 노력해 나가야 하는가를 밝혔다.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Korea which is a multireligious society. However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are insufficient ye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view of buddha in Buddhism and the view of god in Christianity and to widen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view of buddha in Hwa-Eom Sutra and the view of god in Christianity. The view of buddha in Hwa-Eom Sutra contains a theory of the three body of buddha which includes dharma-body buddha, reward-body buddha, transformation body buddha. This thesis analyzed in detail the character of dharma-body buddha, reward-body buddha, transformation body buddha and made clear that three bodies of buddha are the same one, and gave a explanation what is the view of salvation that a theory of the three body of buddha contains. And this thesis analyzed the views of god in conservative conventional christianity, christian mysticism of Meister Eckhart and religious pluralistic christianity, and then made a comparison them with the view of buddha in Hwa-Eom Sutra. This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e view of god and salvation in Christianity can communicate with the view of buddha in Hwa-Eom Sutra. Consequently, this thesis made clear how the Buddhism and Christianity must make a effor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make a contribution to our happy and peaceful life in the multireligious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