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rans-[FeH(NCS(Me)-S)(dppe)2]I 화합물의 trans-[FeNCS)2(Ph2P(O)CH2CH2P(O)Ph2)2][I3]로 산화

        이지화,이순원,Lee, Ji Hwa,Lee, Soon W. Korean Chemical Society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4

        The Fe(II)-isothiocyanato complex $trans-[FeH(NCS)(dppe)_2]$ (1) eactedwith iodomethane(Mel) to give methyl isothiocyanide-Fe(n) complex, $trans-FeH(NCS(Me)-S)(dppe)_2]I(2)$. Compound 2 was oxidized to $trans-[Fe(NCS)_2(Ph_2P(O)CH_2CH_2P(O)Ph_2)_2][I_3]$ (3), which was structurally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The molecular structure of 3 showed a bent Fe-NCS group, Crystallographic data for 3: triclinic space group P1,a=11.071(2) A,b=12.054(2)A,c=12.121(1)A, $\alpha=101.02(1){\circ}C{\beta}=95.887(9){\circ}Cr=110.34(1){\circ}C$, $Z=1R(wR_2)=0.0567(0.1294)$.

      • KCI등재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문성배,김미혜,이지화,김윤석,Moon, Seong-Bae,Kim, Mi-Hey,Lee, Ji-Hwa,Kim, Yoon-Seok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 방법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도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3개 반을 대상으로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과 교사가 배부한 학습지의 문제를 풀도록 하였고, 실험 집단 1, 2는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후 문제를 생성하고 동료에 의한 피드백과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각각 받도록 하였다. 수업 전 자기 효능감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업 후에는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가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공분산분석, 다변량 공분산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성취도에 있어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들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p<.01), 실험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자기 효능감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p<.01), 실험 집단 1은 자기 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 자기조절 부분에서(p<.01), 실험 집단 2는 과제 난이도 선호 부분에서(p<.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문제를 생성한 후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2가 동료에 의해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1에 비해 수업에 대한 인식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examined for the effects of question generating strategy and feedback(teacher feedback and student peer reviews) on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iency and perception of the class in the middle school. Three classes of middle school 1st grade in a city were sampled for the study. The students in comparative group took traditional lessons and solved questions presented on worksheets distributed by a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1 and 2 generated and solved questions by themselves after traditional lessons and then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with peer's feedback and teacher's feedback, respectively. A self-efficiency test had been conducted before the treatments and the various tests such as achievement, self-efficiency and the perception of the class were carried out after treatment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analysed by ANCOVA, MANC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p<.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p>.05). Second, both of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enhanced self-efficiency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p<.01). In sub-areas of self-efficiency, there were also meaningful results in the area of self-efficiency for control experimental group 1(p<.01), and in the area of difficulty preferences for experimental group 2 (p<.01).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1, given teacher's feedback,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class than the experimental group 2 that was given peer's feedback (p<.01).

      • KCI등재
      • KCI등재

        문제생성훈련 수업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문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

        류수진 ( Soo Jin Ryu ),김윤석 ( Yoon Seok Kim ),이지화 ( Ji Hwa Lee ),문성배 ( Seong Bae Mo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는 과학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질문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문제를 만들어보게 하는 훈련을 실시한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해 학업성취도, 메타인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과 함께 만들어낸 문제의 수준이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남자 중학교 2학년 65명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수업이 끝나기 전15분 정도 1인당 3개의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보고 동료 간에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는 문제생성훈련을 통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실시된 형성평가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상위·중위·하위의 3개 집단으로 나누고 사전 메타인지 검사와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가 끝난 후에는 학업성취도 검사, 메타인지 검사,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문제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문제생성훈련은 메타인지나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상위수준의 문제를 만드는 학생들의 수가 점차 많아짐을 통해 학생들은 성취수준에 상관없이 보다 많은 사고를 필요로 하는 좋은 문제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compared with traditional scienc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is to give students chances to make questions by themselves based on what they learned before the end of the classes. The four effects of the instruction were studied: students` achievement,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the questions created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Research data was gathered from 65 second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Busan. The comparative group was instructed in traditional lecture-type teaching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make 3 questions by themselves and then, to solve their peers` questions about 15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classes. Both group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proficiency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ast semester`s science test. Before the research, a metacognition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fter the research, an achievement test, a question level test, a metacognition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earch data for question level was analyzed by one-way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question-cre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self-efficiency. It also showed most of the students have gained an ability to make higher-level question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who made higher-level questions. It also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could gain an ability to make higher-level question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made higher-level questions increased in every proficienc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