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본 음악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일본 전통음악교육의 현황

        이지예(Jeeye Lee)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1

        본고의 목적은 일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전통음악과 관련된 내용 분석을 통해 일본의 전통음악교육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전통음악교육의 하나의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통음악 비율 분석, 장르별 분석, 영역별 분석, 주요활동 분석으로 나누어서 살펴보 았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모든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전통음악 내용을 포 함하고 있었다. 둘째, 장르별로 살펴본 결과 성악곡이 가장 많은 비중을 수록하고 있었고, 영역 별 분석을 통해 성악곡을 가창 활동을 하기 보다는 감상이나 기악과 같은 다른 영역과 같이 제 시되고 있었다. 셋째, 학습지도요령에 ‘전통악기를 1개 이상 연주할 수 있도록 할 것’ 내용을 반영하여 전통 기악과 관련된 내용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n exampl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Japa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in Japanes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t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ratio of traditional music, analysis by genre, analysis by area, and analysis of major activiti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Japanes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contained all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genre, vocal music contained the largest portion, and through analysis by area, vocal music was presented with other areas such as appreciation and instrumental music rather than singing. Third,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were included in detail, reflecting Japanese’ government course guide’s “to allow more than one traditional instrument to be played.”

      • KCI등재

        김기수 『한국민요오십곡집』의 장단 및 오선 박자표기에 관한 연구

        이지예 ( Lee Jeeye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4 공연문화연구 Vol.48 No.0

        본고에서는 김기수의 초기 민요 오선 기보방식을 살펴보고자 『한국민요오십곡집』에 정간보로 표기된 장단과 오선보의 박자표를 비교하였다. 『한국민요오십곡집』에는 50곡이 수록되어 있고, 같은 곡이 정간보와 오선보 두 가지 기보법으로 기보되었으며,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타령장단, 중모리장단이 있었다. 세마치장단의 경우 3분박 3박자, 2분박 3박자로 나뉘며, 각각 8분의 9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하였으며, 기준음표는 속도에 따라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굿거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12박자, 4박자, 2박자로 나뉘었다. 이 중 12박자의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8분의 6박자, 4분의 6박자, 4분의 3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되었다. 기준음표의 선택은 첫마디의 선율과 속도가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자진모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4박자의 경우 8분의 12박자, 12박자의 경우 4분의 12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되었는데 기준음표의 선택은 속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타령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중모리장단은 3분박이며 12박자이며, 이를 4분의 6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첫마디의 선율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살펴본 결과, 굿거리장단의 민요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세마치장단의 민요가 많았다. 『한국민요오십곡집』은 각 장단별로 다양한 장단 유형과 오선보 박자표 표기가 있었는데, 이는 민요 오선 채보의 초기이고, 민요의 즉흥적인 성격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악보집은 첫째, 오선보를 사용했지만, 정간보와 병기함으로써 서양음악에서 해석한 것이 아니라 장단을 기반으로 박자표에 접근했다는 점, 둘째, 최초로 특정 민요 악곡에 장단명을 표기했다는 점, 셋째, 민속악 장단의 이론적인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Kim Gi-Soo's early method of staff notation for folk songs in his work Collec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It compares the rhythmic patterns and beat notation between Jeongganbo(traditional Korean score) and Western staff notation in the collection, which includes 50 songs notated in both systems. The study focuses on different rhythmic patterns such as Semachi, Gutgeori, Jajinmori, Taryeong, and Jungmori. It highlights how these patterns are represented in Western staff notation, with variations in beat and rhythm, reflect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folk songs.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approach to rhythmic pattern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marking a pioneering effort in notating specific folk songs and lay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lk music rhy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