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댄스게임에 내재된 학습과 재미요소 분석

        이지설(Lee, Ji Seol)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댄스게임에 내재된 유익한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학습과 재미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댄스센트럴2의 분석은 게임행위를 통한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댄스게임이 가질 수 있는 교육적 기능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댄스게임을 통해 학습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요소와 몰입을 통해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재미요소로 살펴보았다. 학습요소에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재미요소는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보상, 목표설정 및 난이도, 제어로 분석하였다. 댄스센트럴2의 연습 공연모드를 잘 활용한다면 플레이어의 댄스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댄스게임은 플레이어의 목표와 목적에 따라 게임 참여행태와 효과측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참여자의 실력과 의지 그리고 댄스게임의 활용이 지속될 때 댄스게임의 학습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and fun aspects of dance games by examining their instructive values. Dance Central 2 was analysed with a focus on its educational functions by observing dance move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game's educational elements that create learning effects and fun elements that attract continuou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for Learning elements and the aspects of graphics, sound, video, rewards, target-setting, difficulty levels, and control for fun elem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modes of Dance Central 2 have elements that can improve players dance skills. Of course, there may be difference in players' participation and effects depending on their goals and objectives. Consequently, the continuous use of the dance game supported by player's dance skills and commitment will improve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태 연구

        이지설(Ji-Seol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는 지역별 문화예술교육 예산 및 조례제정에 따른 세부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지역문화예술교육의활성화를 위한 향후 발전적 방향의 모색에 그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도별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현황자료를 참고하여 지역별기관의 예산 총액, 예산의 출처별 내역 및 편성항목별 상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센터사업운영의 법적 근거인 조례에 대한 제정 시기와 현황, 세부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향후 진행될 문화예술교육의 연구에 대한 객관적이며 정량적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revitalizing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confirming the details of the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udget and ordinance enactment. The data of the study were examined by referring to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by year provided by the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In addition, as a public institution, its influence was confirmed by grasping the timing, status, and details of the ordinance, which is the legal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upport center. Through this, this paper has significance a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for future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