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과 앎에 기초한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이주영(Yi, Ju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삶과 앎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앎에 기초하고 있다. 삶과 앎의 의미에서, 삶의 가치는 쾌락주의, 객관주의, 욕구이론으로 구분되며 앎의 성격은 객관주의, 상대주의, 간주관주의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각기 서로 다른 이론으로 구분되지만 공히 객관과 주관의 이분법적 경계를 지양하고 양자의 조화를 추구해 왔다. 교육에서의 삶과 앎은, 삶을 우위에 두는 아동중심교육과 앎을 우위에 두는 지식중심교육으로 대별되 는데, 이들은 공히 삶과 앎의 순환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상을 바탕으로 한 초등교육의 방향성은 첫째, 초등교육은 ‘함’을 통해 ‘앎’에 도달해야 한다. 즉, 활동을 통해 교과에 접근해야 한다. 둘째, 초등교육은 아동 자신의 ‘앎의 욕구’를 발견하고 추구 해야 한다. 앎의 욕구는 학령기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욕구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life and knowing. Elementary education is based on the life and knowing. For the meaning of life and knowing, the value of life is separated by hedonism, objective theories, desire theory and the nature of knowing can be divided into objectivism, relativism, inter-subjectivism. Although they are separated by different theories, each of them avoided dichotomy boundary and pursued a blend of them. The life and knowing in education are divided child-centered education emphasized on life into knowledge-based education emphasized on knowing. Both of them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cle of life and knowing. Based on these studies, direc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knowing must be reached through doing . In other words, subject matter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activities. Second, elementary education should seek to discover desires of children. Because the most important desire of school-age children is knowing.

      • KCI등재

        욕구만족이론을 통한 아동기 삶과 앎의 통합

        이주영(Yi, Ju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욕구만족이론을 통해 아동기 삶과 앎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욕구만족이론은 개인적 선호, 간주관성, 실현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쾌락주의의 본능과 객관주의의 경직성을 극복하고 양자의 합치점을 시사한다. 성인들 은 아동기를 아이와 학생으로 구분함으로써 아동들은 서로 다른 삶의 가치와 방식이상충되는 혼란을 겪는다. 자연인으로서 아이는 본능에 충실한 쾌락주의적 삶을 추구하기에 삶과 앎의 구분이 필요치 않다. 반면 사회인으로서 학생은 사회의 이상을 추 구하는 객관주의적 삶을 요청받기에 앎 자체가 중요시되며 그 과정에서 삶과 앎이 분리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아동 욕구에 기반을 둔 학교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교육과정 성취기준 도달 이후에는 상위 성취가 아 닌 아동 개인의 흥미와 관심, 수준을 고려한 선호도를 허용하여야 한다. 교육과정의 방법은 아동기 삶에 근접한 방식으로 실제에 기반한 아동의 경험으로 심리화되어 활동중심의 학습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gration possibility of childhood s life and knowing through the desire satisfaction theory. Desire satisfaction theory characterizes a personal preference, intersubjectivity, feasibility. It overcomes instinct of hedonism and inflexibility of the objectivism as well as suggests possibility to overcome llimits of both. By separating child and student through their childhood and adult, children are suffered by the confusion of conflicting values and different ways of life. As a natural person, child is not required to distinguish between life and knowing due to pursue a faithful instinct hedonistic life. On the other hand, as a member of society, because students is required objectivism life, they is important knowing itself and is separated the life from knowing. For overcome of this limits, the directionality of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children s desire is as follows: First, after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have achieved the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they were allowed preference of individual through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ests of the individual and the child s individual level of interest of the individual. Second, the methods of the school curriculum has to provid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ctivity center that is psychologized into a child experience based on real life as close to the way of childhood.

      • KCI등재

        아동기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및 유형 분석

        이주영(Yi, Ju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아동기 삶의 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삶의 질 유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1차 예비검사(214명), 2차 예비검사(730명), 본검사 및 유형 분석 검사(1,341명)를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아동기 삶의 질 측정도구 최종 28문항이 선정되었고 모형의 적합도는 표준합치도(NFI) .903, 비표준합치도(TLI) .915, 비교합치도(CFI) .922, 기초합치도(GFI) .903, 개략화오차평균(RMSEA) .056으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 지수가 적합 수준으로 판정되었다.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아동 자아강도, 다면적 생활만 족도, 학교 행복감 총 3개의 준거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earson 상관 계수는 각각 .814, .854, .846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들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 .949로 나타났다. 이상을 통해 아동기 삶의 질 구성요인으로 근면성실성, 가족친밀성, 인정추구성, 자유지향성이 최종 도출되었으며, 아동기 삶의 질 측정도구는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아동기 삶의 질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삶의 질은 5개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사후검증 (Scheffe test)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기 삶의 질 유형은 ‘욕구절충형’, ‘자기중심형’, ‘관심요구형’, ‘일상만족형’, ‘가족중심형’으로 명 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아동기 삶의 질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and aim to typify the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The result of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was selected the final 28 question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AMOS 18.0. The values of the idexes were NFI= .903, TLI= .915, CFI= .922, GFI= .903, RMSEA= 0.056, which were judged to be suitable level from results of examining the fitness of the structural model.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it was selected ego strength scale for children,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and school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as a criteria too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re analyzed. As a resul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to respectively .814, .854, .846.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factors was found to be .949 by Cronbach’s α coefficient. From results of this research process, sincerity industry, family intimacy, recognition pursuit and free orientation’s disposition were lastly derived as component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The measurement tool on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was verified. For clustering the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the cluster analysis using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were typified into five clusters in the qualities of life in childhood and were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post verification via Scheffe test. Being based on this study, the groups were named ‘desire eclectic’, ‘self-centered’, ‘interest-centered’, ‘daily satisfacted’, ‘family-centered type’. This study has entrenched foundation and understandng for the quality of childhood life.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에서의 학습자 인식의 중요성을 철학적 관점과 발달심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철학적 관점에서 아동 발달에 대한 인식은 현대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그리 아동중심적이지 않았으며 시대에 따라 아동관이 달라져 왔다. 발달심리적 관점에서는 아동기 발달기제와 발달과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적 의미에서의 발달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발달은 질서정연하게 일어나고 상당기간 동안 유지되는 변화들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 성장, 성숙, 학습의 세 과정이 상호작용할 때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 발달의 원리인 성장 가능성, 개인차, 최적기, 연속성, 맥락성, 통합성을 학습자의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학습자 개별 삶의 성장, 계속적 성장의 수단, 학습에 적절한 시기적 접근, 지속적인 자기주도적 학습력, 통합적 발달의 기초, 통합적 존재로서의 학습자이다. 이는 학습자의 삶과 앎에 중점을 둔 결과로, 발달이 갖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의미를 뛰어넘어 학습자중심의 교육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of all the learner 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was not very child - centered. Bu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childhood development mechanisms and of th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task was confirmed.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development in terms of educational meaning development as a concept that applies only to changes that is maintain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akes place in an orderly manner and is formed when the three processes - growth maturity learning- interac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xploring growth potential of human development individual differences optimum stage continuity contextuality developmental integrity that is principle of human development through learner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learners is learner as a growth of learners individual life means of continuous growth the appropriate timing approach to learning continuou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undation of integrated development| integral being. This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provides educational direction beyond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by focusing on learner s life and knowledge.

      • KCI등재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비교 연구

        신문승(Shin Moonseung),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를 도입 배경, 도입 목적, 교육지원체제, 수업일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적ㆍ제도적 차이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은 교사를 포함한 학부모들의 주5일제 근무를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실시에 관한 사항은 이해당사자들의 토론과 오랜 합의 과정을 거쳐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셋째,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전망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전망에 따라 학교가 이를 충실히 실천해야 한다. 넷째, 토요휴업일에 학생들이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지역사회교육시설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습내용과 양이 적정화되고 증감되어 교과서가 만들어져야 하고, 수업일수는 최대 190일, 1일 수업시수는 최대 6교시 이내로 적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부모와 지역사회 주민들이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의 도입 목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purpose of introduction, curriculum, school days,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s of an elementary school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in China, Japan, France,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spite of differences in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we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discussed on condition of weekly five days work for parent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 matters abou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decided carefully through a process of discussion and consensus of stakeholders. Third, expected educational prospects abou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clearly decided. Fourth, for the students’ saturday off, educational programs and community educational support structures have to be equipped and established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to cooperate and for students to have various experience. Fifth,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contents, and the amount of school days, and also the amount of instruction hours have to be reduced to within 190 school days and properly implemented. Sixth, the various promotional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for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purpose of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 KCI등재

        주요국 초등교사 선발제도 비교 연구

        이정표(Lee JungPyo),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본 글은 우리나라의 선발과 양성을 간단히 논의해보고, 주요국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교사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 역시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일본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선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 선발 과정은 그 단계에 따라 주체가 다르다. 초기 양성 과정에서는 국민 공통교육으로서 국가적 관여가 크지만, 후기 임용 시점에서는 학교의 현장성과 실제성을 감안하여 지역과 단위 학교의 자율성이 커진다. 둘째, 핀란드, 독일, 프랑스가 양성 과정을 강조한 반면, 상대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는 선발(시험)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것은 초등교육의 전문성과 특수성에 대한 정체적 논의와 관계된다. 셋째, 각국의 선발 방식은 다양하지만, 특히 초등교사의 실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면접, 실연 등의 방법이 강화되고 있다. 결국 앞으로의 초등교사교육은 양성과 선발 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Primary teacher is high occupational preference tha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regards to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at of teachers”, such problem cannot come true primary education. Hence it require reflective discussion of Primary teacher selection. So this research examine Primary teacher selection process to Finland, Germany, France, Japan. This give us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of teacher selection and three implication. First, Primary teacher selection change principal agent as each stage. Second, While Finland, Germany, France are emphasis on training, Japan and South of Korea be important to selection(test). Third, though selection mode of each country is various, especially interview and microteaching(demonstration) of primary teacher is being intensified. After all, primary teachers’s education must place emphasis on intention of connection between selection process and training process.

      • KCI등재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Kwon, Dongtaik),이주영(Yi, Juyeong),이정표(Lee,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중심교육과정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결과 향상과 과정 만족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학교중심교육과정은 그 개발부터 실행과 산출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를 요구한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결과 차원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다. 학교교육에서의 ‘질 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성취와 만족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때 TQM은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질 향상과 만족’이라는 조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조직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한 계속적인 개선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TQM을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에 적용하는 문제는 그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으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를 줄 수 있다. TQM의 교육과정 이행의 ‘맥락성’, ‘지속적인 개선’,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지향성’ 등은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vailability of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a comprehensive plan on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management. It s meaning is given in terms of process satisfaction and result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us,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mands the quality management on the entire process from it s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output. But, until now,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ends to treat aspect of result.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reveals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want to be educated. Thus, The TQM in school organization first must consider student as educative recipient. And this demands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dedication, to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and the effort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etc. An application of TQM to the school-based curriculum has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Nevertheless, It offers a various implications about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TQM can operate as a philosophical base for context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ous improvement , orient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