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관상동맥 질환 및 맥압이 신부전 진행에 미치는 영향

        권순길 ( Gwon Sun Gil ),김상현 ( Kim Sang Hyeon ),이정익 ( Lee Jeong Ig ),서장원 ( Seo Jang Won ),장재원 ( Jang Jae Won ),김순배 ( Kim Sun Bae ),박정식 ( Park Jeong Sig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3

        배 경 : 만성신부전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정상인에 비해 증가되어 있으며 죽상경화증이 신기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되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정확한 보고는 되어있지 않다. 맥압은 죽상경화의 정도를 반영하며 신부전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어, 이에 저자들은 죽상동맥경화에 따른 관상동맥 질환과 맥압의 변화가 신부전을 진행시키는지에 대한 관련성을 비교 검토하고자한다. 방 법 : 서울아산병원에서 3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경증의 만성신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혈관조영술로 관상동맥질환 여부를 검사하였고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및 여러 변수들을 추적 관찰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유무에 따른 신부전의 진행 여부를 비교하였으며,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해 신부전을 진행시킬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의 관련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맥압의 증가가 신부전에 주는 영향 및 이와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87명 (남자 54 여자 33명)의 환자들 중 45명이 관상동맥질환이 있었으며 42명은 없었다. 관상동맥질환이 있던 45명 중 34명 (76%)에서 신부전이 진행되었으며,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42명 가운데는 22명 (52%)이 신부전의 진행을 보였다. 여러 요인들 중 신부전의 진행과 유의하게 관련된 요인으로는 평균 동맥압, 맥압, 당뇨병성 신증, 24시간 요단백,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있었으며 들 중 특히 맥압이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 죽상경화에 의한 관상동맥질환 및 맥압의 증가는 경도의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신부전의 진행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have farther excess rate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than nonuremic popul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therocslerosis may aggravate renal insufficiency, but it is not certain. Pulse pressur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disese (CRD), and had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atherocclerosis. The purpose fo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atherosclerotic CAD and pulse pressure with renal disease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mild CRD Method : The patients with mild CRD who had been followed up more than 3 years in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were included. We evaluated their CAD via coronary angiography, and followed up their serum creatinine levels and other parameters assumed to b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CRD. All clinical and laboratory parameter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logictic method. And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ulse pressure and progression of CRD with related factors via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Results: Total 87 patients (54 were men and 33 were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45 patients had coronary heart disease and 42 had not. Comparison of CRD progression between the patients who had CAD (n=45) and those who not (n=4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76% vs 52%, p<0.05). Mean arterial pressure, pulse pressure, presence of diabetic nephrophthy, 24hour urine protein, total cholesterol were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CRD. Among of them, proteinuria an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nal disease progression. Therer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AD and pulse pressure. Conclusion: Atherosclerotic CAD and increased pulse pressure were associated with renal disease progression in the patients with mild renal insufficiency. (Korean J Nephrol 2003;22(3):313-320)

      • SCOPUSKCI등재

        현성 단백뇨가 있는 당뇨병성 신중 환자에서 혈청 VCAM-1의 증가

        서장원 ( Seo Jang Won ),민원기 ( Min Won Gi ),김유미 ( Kim Yu Mi ),권순길 ( Kwon Sun Gil ),김상현 ( Kim Sang Hyeon ),이정익 ( Lee Jeong Ig ),장재원 ( Jang Jae Won ),양원석 ( Yang Won Seog ),박수길 ( Park Su Gil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3

        배 경 : 가용성 세포부착분자 (sVCAM-1)는 죽상동맥경화증 같은 염증성 과정 동안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증에서도 sVCAM-1의 발현이 증가되어 나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의의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하루 300 ㎎ 이상의 현성 당백뇨가 있는 제 2형 당뇨병성 신증 환자 64명 [24시간 요단백 중간값 (범위) : 2.2 (0.2-18.7) g/day] 및 정상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혈청 sVCAM-1을 효소면역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sVCAM-1과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oxidized LDL 및 죽종형성 단백질 (atherogenic protein)인 lipoprotein(a) (Lp(a))를 포함하는 지단백들 및 혈청 hs-CRP를 포함하는 염증성 인자들, 혈청 알부민 및 섬유소원, 그리고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포함하는 신기능과 관련된 인자들 및 혈증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자들은 남자 37명, 여자 27명이었으며 평균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2.5±1.3 ㎎/dL이었다. 당뇨병성 신증 환자군에서 혈청 sVCAM-1의 중간값 (범위)은 561 ng/mL (183-1304)이었으며, 정상대조군의 중간값(범위) 324 ng/mL (213-76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당뇨병성 신증 환자군에서 혈청 sVCAM-1은 단변량 분석상 혈청 크레아티닌 (r=0.31, p=0.025), 혈청 Lp(a) (r=0.29, p=0.043) 및 24시간 요단백양 (r=0.37, p=0.008)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회귀분석에서는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Lp(a) 농도가 혈청 sVCAM-1 농도의 증가와 유의성이 있었다 (r²=0.22, p=0.003). 결 론 : 현성 단백뇨가 있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 혈청 sVCAM-1 농도가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Lp(a)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혈청 sVCAM-1의 증가가 진행된 신손상에 의한 sVCAM-1의 생산 증가 및 동반되어 나타나는 죽상경화성 병변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Soluble adhesion molecules including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sVCAN-1) are released during in infalmmatory process such as artherosclerosis. Elevated sVCAM-1 also has been reported in diabetic nephropathy. Bu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devated of sVCAN-1 is not certain. We measured serum sVCAM-1 for the purpose to validate the clinical usefulness in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In this study, we measured serum sVCAM-1 in normal subjects and 64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proteinuria over 300mg/day [median 24-h urint protein (range):2.2 (0.3-18.7) g/da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serum sVCAM-1 with lipoproteins including total cholesterol, LDL, oxidized LDL (oxLDL), HDL, and lipoprotein(a) (Lp(a)), with markers of inflammation including high-sensitivity CRP (hs-CRP), serum albumin and fibrinogen, and with renal parameters including 24-h urine protein, seurm creatinine and homocysteine. Results: In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median sVCAM-1 was 561 ng/mL(range 183-1304),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subjects (324 ng/mL: 213-760, p<0.05). In the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sVCAM-1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reatinine (r=0.26, p<0.05). I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24-h urine protein and srrum Lp(a)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evel of sVCAM-1 (r^(2)=0.22, p=0.003). Conclusion : In summary, a positive correlation of sVCAM-1 with 24-h urine protein suggests that high sVCAM-1 may reflect increased production of sVCAM-1 due to more advanced renal injury. A positive association of sVCAM-1 and serum Lp(a) also suggests increased release of sVCAM-1 from associated atherosclerotic lesions in these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VCAM-1 may be closely related with the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overt diabetic nephrophthy. (Korean J Nephrol 2003; 22(3):294-3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