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송용 대중매체 드라마의 분석과 서비스 디자인

        이정교(Jungkyo Lee),지해성(Haeseong Jee) 한국IT서비스학회 2009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8 No.3

        The successful mass media drama, 'The 1st Shop of Coffee Prince', has received lots of supports from the audience by showing them a vivid life and also enabling them to dream a real fantasy. One among the most powerful strategies that made this drama stay successful is the marketing value of the drama space fully maximized when doing the production. This study, introducing a unique representation of 2-D cell matrix with x-y plots of drama space set along the time stream following the scenario, first proposes a quantitative way of uncovering the hidden relation between drama space and scenario using nonlinear matrix filtering method and, secondly, suggests possible service designs mainly constrained by economical standpoints of the stakeholder in producing the drama. The methodology may invoke a plausible contradiction with art instincts that hardly been supposed to be affected by financial debate, which, nevertheless, must sometimes be allowed under the circumstance of pursuing optimality in programming and producing the drama that must survive in the world of competitive market of service business

      • 옥외광고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분류사례를 중심으로

        이정교(Jungkyo Lee),이예승(Yeseung Lee),강미성(Misung Kang),구은연(Eunyeun Ko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4 OOH광고학연구 Vol.1 No.2

        옥외광고물은 사회시스템과 연관된 것으로써 도시경관을 결정하고 때로는 도시 매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 그 수준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옥외광고물이 도시경관 속에서 자리 잡기 위한 검토가 더욱더 요구되는 시점이다. 또한, 현대 옥외광고물의 무질서한 사용은 옥외광고물의 궁극적 목적인 정보전달 기능을 방해하고 있다. 일상생활 공간인 사적인 영역의 경관정리와 공적인 영역의 미관 유지를 위해 옥외광고물 분야의 체계를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관계자들(광고주, 제작자, 소비자)간의 명확한 의사소통과 품질의 향상, 균일성의 유지를 위한 체계적 이해를 갖는 합리적인 기준 설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적으로 옥외광고물 분야의 내용과 영역에 따른 분류에 대하여 비체계적인 나열식 설명이 아닌, 그 목적에 맞는 내용과 역할을 수행하는 명확한 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옥외광고물 분류체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법령의 옥외광고물의 종류를 가능한 한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앞으로 발전 가능한 항목들을 고려하여 그 일반 범위를 기준화하였다. 연구범위는 미국, 일본, 영국 등 관련 학회, 협회의 국외 자료와 국내외 문헌 및 관련 사업 협회 등의 자료, 전문가의 의견과 협의회 등의 제안을 내용으로 하여 일반 기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utdoor Advertising, which is associated with social systems, has an impact on the cityscape and sometimes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to make a city more attractive. Therefore, in this point, there are more requested reviews to make outdoor media combine aesthetically with an urban landscape. Also, the chaotic use of the outdoor signs in recent years obstructs the information delivery effect and functio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outdoor advertisement. There is a need to clearly establish a system for the full extent of controls over outdoor advertising to ensure both the well-arranged private areas of daily life space and the beauties of public area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r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for clear criteria suited to the purpose and role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while eliminating an unsystematic array of explanations.

      • KCI등재

        원목을 활용한 아파트 실내디자인

        후이판(제1저자) ( Yifan Hu ),이정교(교신저자) ( 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아파트는 현재 하나의 주거 형태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사회 발전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의 소득이 증가하고 문화 수준이 향상되면서, 현대인의 생활형태 및 주거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아파트 소유가 증가하고 아파트 거래도 활발해졌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현대인들의 주거 공간에 사용되는 실내디자인의 재료가 다양화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실내디자인의 추세이기도 하다. 소비자의 요구가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아파트 실내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파트 실내디자인의 대표적인 재료인 원목을 중심으로, 원목이 현대의 아파트 실내디자인에 활용된 기법을 찾고 분석할 것이다. 또한 향후 원목을 활용한 아파트 실내 디자인을 할 때, 본 연구를 참고재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조사와 선행조사를 통해 전통요소를 도입한 한국과 중국의 현대적인 아파트 실내디자인에서 원목을 활용하는 사례를 선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시민의 생활수준이 비교적 높고 물가가 비슷한 한국의 서울시와 중국의 북경시(北京市)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더불어 서울시와 북경시에 소재하는 건설업체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선정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8개의 아파트 실내디자인을 사례로서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한국과 중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은 원목을 활용함에 있어서 전통요소를 도입하여 장식적인 면과 공간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특히 실내디자인에서 색채와 재료의 조화, 공간의 가변성에 중점을 두었다. 중국은 한국과 유사하게 전통적인 요소를 도입하면서도 비교적 전통문양이나 패턴에 더 많이 활용했으며, 선적인 목구조나 격벽 등을 통해 공간의 깊이 감을 더 강조했다. 분석결과를 통해 현대의 원목 인테리어가 시각적인 심미성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면을 강조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한국과 중국의 원목 인테리어는 유사하면서도 상이하며, 서로의 사례를 참고하여 실내디자인에 적용한다면 색다른 원목 실내디자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원목은 친환경적인 재료로서, 소비자가 추구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소비자의 삶의 질을 높을 수 있다. 전통요소를 도입한 현대의 아파트 실내디자인은 전통적인 철학과 사상을 내포하고 있어 더 가치 있으며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요소를 도입한 현대의 아파트 실내디자인에서 원목 활용 기법을 이해함으로써, 아파트 인테리어에서 원목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원목 인테리어는 현대인의 다양한 소비요구에 부응하면서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거주자의 만족도나 반응 등을 조사한다면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이상적이고 실행 가능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apartments are the most popular type of accommodation. With social development and structural changes, people`s income and cultural competence have improved. Further, their lifestyle and accommodation preferences have diversified. Moreover, apartment sales have considerably increased. Along with the improvements in standard of living, consumers` choices have expanded as the materials used in designing the interior of residential spaces have diversified. This is the latest trend in interior design. As consumers` demands are changing, the apartment design techniques need to be explor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modern apartment design technique that uses hardwood as the main material. Furthermore, if any apartment is designed using hardwood, this study can be used for reference. (Research Scope and Metho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elects modern Korean and Chinese apartment designs that incorporated hardwood. Specifically, this study selects the most recognized model apartments in Seoul, Korea and Beijing, China that offer similar standard of living. In addition, these apartments were offered for the same price from 2013 to 2015. This study selects eight apartment designs used in Korea and China. After the analysis, this study leads to several results. (Results) After analyzing Korean and Chinese designs, this study confirms that Korean culture emphasizes decorative and spatial style by adding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hardwood. I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harmony between color, material, and variability of space. China uses traditional patterns more often and emphasizes the sense of depth, using wooden structures and partitions. After 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at modern hardwood-based interior design emphasizes the utility of visual aesthetics and space. The hardwood-based interior designs in Korea and China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f hardwood is skillfully incorporated into the interior design, it can create unique hardwood interior design. (Conclusion) As an eco-friendly material, hardwood will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that consumers seek and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Modern apartment designs with traditional elements are based o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at emphasizes value and continuity. This study reviews the use of hardwood in modern apartment design with traditional elements. The field of hardwood-based interior design needs to keep up with the varying demands of consumers,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dvance this field. In addition, research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responses will help to create ideal and feasible interior designs that meet their demands.

      • KCI등재

        중국 직장인 여성을 위한 스포츠 체험공간 디자인 연구 -프로슈머 마케팅 4P를 중심으로-

        박초화 ( Chuhua Piao ),이정교 ( 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및 소비의 발전에 따라 생활수준과 소비층이 증가하면서 프로슈머 마케팅(참여형 소비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프로슈머 마케팅은 소비자의 의견을 기업에 반영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체험을 통해 소비자들의 정신적 수요를 높이며, 개인의 욕구도 충족시켜 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장과 경제를 좌우하는 프로슈머는 신상품 개발이나 판매에 직접 참여하는 생산자적인 성격을 가진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기업의 생산에 능동적으로 참여해 소비물을 창조하는 등 사회, 문화에 반영될 것이다. 이러한 소비문화 환경 속에서 수요 창출을 위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생산 상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에 연구를 통해 프로슈머 마케팅 4P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스포츠 체험매장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체험공간에 대하여 연구하며, 미래의 중국 스포츠 시장에 적용하여 공간 디자인을 선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프로슈머 마케팅의 정의와 유형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체험공간의 유형, 구성요소 및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직장인 생활을 하고 있는 20,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중국 스포츠 시장에서 인지도가 있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스포츠 매장을 고려하고 선정하여 사례분석 하였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스포츠 체험공간 요소 중 엔터테인먼트 체험의 활용도가 높이 평가 되었고, 소비자가 스포츠 매장에서 체험을 함으로써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체험요소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도피 체험에서는 소비자들에게 이색적인 분위기 연출과 같은 체험을 통해 흥미로운 공 간이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슈머 마케팅 4P(제품, 가격, 유통, 촉진) 유형이 스포츠 체험공간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적용한 스포츠 체험공간의 특성 중 주목성, 창조성, 지속가능성, 상호작용성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 스포츠 매장의 이미지를 차별화 시키고 프로슈머들 간의 소통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다. 스포츠 체험특성이 약하게 나타나는 유동성, 집합성, 이동성, 무형성과 같은 요소에서는 인상적인 체험을 적용한다면 스포츠 체험공간을 더욱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프로슈머 마케팅의 4P를 적용한 스포츠 체험공간의 표현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나아가 공간기획과 연출을 접목시켜 새로운 체험공간에서 효과적으로 보여주자고 하는 특성임을 밝힐 수 있었다. 향후 중국 직장인 여성을 위한 스포츠 소비시장을 늘리고, 스포츠 체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 시장경제 및 기업 활동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economy and consumption, living standard is increasing and consumer level is expanding. As such, prosumer marketing (participating consumer) is actively introduced. Prosumer marketing reflects consumer``s opinion to company, since prosumer marketing maximiz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aises the need of psychological demand after experience and fulfills individual desire. Also, prosumer who dominates market and economy will be reflected in our society and culture. Here, prosumer refers to not ordinary producing consumers who are engaged in development or sales of new product but proactive consumers who are actively engaged in production and creation of company. To create demand in this consumer culture environment, consumers are directly engaging in new product product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and sharing the inform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4P prosumer marketing and to study new experiential space after applying those characteristics to new sport experiential shop and to lead space design after applying those characteristics to future Chinese sport market. (Research Scope and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definition and type of prosumer marketing and draws type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space after theoreticall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sports shop that is popular to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cognized in Chinese sports market with possibility to develop. (Results) Result of study analysis shows that entertainment element was highly evaluated among sports experiential space elements. Experience in sports shop gave joy to consumer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 of escapism where experiencing level is low allows consumer to enjoy exotic atmosphere. Also, it was confirmed that 4P prosumer marketing(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had positive effect on expanding sports experiential spac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experiential space with 4P prosumer marketing, noticeability, creativity, sustainability and interconnectivity were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confirms that those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 the image of sport shop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prosumer by providing tailored service to customers. In elements with low sports experiencing traits such as fluidity, collectivity, mobility and intangibility, it is confirmed that introduction of impressive experience can continuously develop sports experiential spa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haracteristics need to be actively adapted by consumer and furthermore need to integrate space planning with presentation to effectively show experiential space. Henceforth,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sport consumption market for female office worker in Beijing, China.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more continuous research on sport experiential space design to add important value to market economy and business operation.

      • KCI등재후보

        교외형 쇼핑몰의 자연 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

        최나현 ( Nahyun Choi ),이정교 ( 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나라 인구의 절반이 도시 환경에 사는 현재, 도시 생활은 인간에게 위생적인 환경과 편리한 삶을 제공해 주었지만 이와 더불어 인간의 근본적인 자연 친화적 삶을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상황을 야기 시켰으며 이에 환경학자들은 현대도시인들이 가진 가장 광범위하고 심각한 질병이 ``자연 결핍 증후군``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답답한 도심의 일상을 벗어나 자연환경이 좋은 곳에서 여가 생활을 하며 웰빙과 힐링을 즐기는 트랜드가 형성되었으며 쇼핑 공간 또한 단순히 쇼핑만을 위한 공간이었던 과거에서 벗어서 쇼핑과 더불어 자연 체험을 하고 삶의 풍족감을 누리는 공간이라는 인식이 확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쇼핑 공간이 쇼핑과 더불어 현재의 라이프 스타일 트랜드를 반영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으로 기획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교외형 쇼핑몰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연 요소를 쇼핑 공간에 도입시키는 방법들을 구체화 하여 추후 교외형 쇼핑몰 초기 기획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먼저, 개발 초기 단계로 아직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쇼핑몰에 대한 개념과 교외형 쇼핑몰의 공간 배치 특성을 이론적 고찰 하였다. 다음으로, 자연 속에서 공간에 도입시킬 수 있는 4가지 요소를 선정하여 공간 속에 표현하는 방법과 도입하는 시키는 방법을 구체화 시켜 이론적 고찰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만들어진 분석 모형을 통해 국내, 외 교외형 쇼핑몰을 조사하였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자연 요소를 쇼핑 공간에 도입시킬 때 고객은 쇼핑과 더불어 다양한 자연 친화 체험으로 쇼핑 공간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었다. ``빛``은 개방형 구조가 특징인 교외형 쇼핑몰에 가장 빈번하게 도입된 자연 요소이다. 또한 ``식물``은 쇼핑몰 실내, 외 공간에 조경을 조성하거나 휴게 정원을 배치하는 등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도입이 가능한 자연 요소이다. 특히 ``물`` 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교외형 쇼핑몰의 경우, 쇼핑 공간 전체에 ``물``이 특징적인 컨셉으로 자리 잡았고 고객의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자연 친화 체험을 제공하여 쇼핑 공간의 만족을 높였다. 또한 ``개방``과 ``배치``는 사례의 모든 쇼핑몰에서 도입되었던 방법이다. 자연 속에 개방되어있는 쇼핑 공간과 동선 흐름에 따라 배치된 자연 요소들은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자연 친화 경험을 유도하였다. (결론) 기존의 리테일 환경과 비교하여 교외형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적인 장점은 입지적 자연환경을 부각해 쇼핑 공간에 자연을 도입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쇼핑몰이 서로 다른 특징적인 컨셉을 가질 수 있으며 쇼핑 공간에 대한 고객의 탐닉을 배가시켜 고객의 만족을 이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owadays, more than half of Korea’s population lives in a city. City life provides healthy surroundings and many conveniences but also brings disadvantages resulting from the destruction of nature. Hence, environmental scholars define nature-deficit disorder as the most severe disease of urbanites. Lately, people’s desire to leave downtown areas to see the natural environment has created a trend of well-being and healing. Following the trend, shopping mall shave become places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njoy an affluent life, which differs from the past when people just considered shopping malls as places to purchase things. This study examined space planning of shopping malls that reflect lifestyle trends and fulfill customers’ needs along with providing satisfactory shopp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troduce natural elements into the first stage of planning suburban shopping malls b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se malls and the materialization of natural elements. (Method) First,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indefinite sequence of the spatial distribution theory of shopping malls and suburban shopping malls needed to be studied. Next, four natural elements were selected that could be applied in spaces and that materialized the theory of presentation in actual space. An analysis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research of domestic and suburban shopping malls was used to draw a conclusion. (Results)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into shopping spaces 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 Light is a natural element frequently used in suburban shopping malls with an open structure, and plants are the most efficient natural element that can be used in both inner and outer resting spaces and gardens. Suburban shopping malls where water is use das a natural element especially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y creating an eco-friendly space. Moreover, the open-arrangement method was used in every shopping mall studied. Open shopping spaces and natural elements placed in human-traffic areas create eco-friendly experiences naturally. (Conclusions) Compared to a standard retail environment, the biggest advantage of suburban shopping malls is that they can highlight their environmental position by introducing natural elements into the space. Overall, this can give the concept of shopping a different and distinctive character and can lead to higher levels of custome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