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터치포인트 특성에 관한 연구

        송에스더 ( Esther Song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서비스산업이 확대되고 역할이 중요해 짐에 따라 우리는 수없이 많은 서비스에 둘러싸여 있다. 서비스는 더 이상 상품을 팔기위한 부차적인 요소가 아니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기업들은 소비자와 상호 작용하는 무형의 디자인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식품시장은 일반 소비계층과 고소득계층의 양극화가 심해짐에 따라 높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 받기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상품 고급화와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의``프리미엄 푸드 마켓``을 선보여 가치소비의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터치포인트 분석을 통해 구성 요소들을 세분화 하고 구조화 하여,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사례연구에 적용 후, 결과를 통해 고객과 기업 간의 간격(Gap)을 줄이기 위한 터치 포인트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서비스 산업은 20세기 초부터 확대되어 왔지만 형태가 없다는 특성 때문에 아직까지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서비스디자인에서의 터치포인트와 프리미엄 푸드 마켓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을 정리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터치포인트의 속성을 세분화된 유·무형적 요소들로 분류하여 사례 분석을 위한 매트릭스의 틀로 사용했다. 사례 대상으로는 2012년 이후 하이 콘셉트 라이프스타일을 제안 하는 푸드 마켓을 범위로 선정하여 공간적 환경과 제품, 브랜드 메시지, 인터랙션의 특성에 대해 연구했다. (결과)분석 결과 SSG 푸드 마켓은 고객에게 부티크 형태의 편의시설과 넓고 쾌적한 공간 환경, 제품 차별화, 스토리텔링 식 정보 제공,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함으로써 최고급 마켓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메이 494는 공간이 협소하다는 단점을 스마트한 시스템과 차별화된 고품격 서비스로 보완하였다. 또한 고급 식재료와 맛있는 요리를 한 곳에서 제공함으로써 20~30대 연령층의 고객에게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은 기분 좋은 푸드 라이프스타일을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전략으로, 고객층을 상위 10%에서 30%로 확대하고 대중적 프리미엄의 가치를 구현하였지만, 공간적 환경과 제품을 제외한 부분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각 각의 터치 포인트 요소 특성을 파악했다. (결론)본 연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가 고객만족에 영향 주고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터치 포인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터치포인트 특성을 차별화를 위한 전략으로 활용함으로써 향후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service industry is expanding, and its rol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Today, we are surrounded by many different services, and service is no longer ancillary but rather an indispensable tool to generate interactions with consumers. Companies, therefore, pay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designs that can communicate with consumers. Notably, in the food industry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have made strategic maneuvers to cater to the demand for premium services, not only premium products, by discerning consumers. The result is the prevalence of "premium food markets" being opened by industry gi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sect the elements of touch point analysis to evaluate the premium food market, thereby examining how to minimize the gap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Method)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expanding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due to its intangible nature, a clear definition of service design has yet to be ascertained. In this study, service design touch points and premium food markets are first theoretically analyzed in depth and separated into four main attributes: spatial environment, product, message, and interaction. Then, the attributes of service design are categoriz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which creates a matrix that can serve as the framework evaluating cases. Premium food markets that entered the market after 2012 that offer a high-concept lifestyle were selected and evaluated specifically in terms of spatial environment and product, brand message, and consumer interaction. (Results)Shinsegae``s SSG Food Market scored the highest overall with its boutique-like spatial environment and strategic product differentiation, while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s Gourmet 494 scored high for making successful efforts to overcome the confinements of its existing space with technology and exclusive service. Additionall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ore support for Gourmet 494 comes from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appreciate being able to obtain high quality products and delicious meals conveniently at one place. Unlike how the SSG Food Market and Gourmet 494 targets consumers in the top 10% income bracket, Lotte Premium Food Market targets the top 10% to 30% income bracket and pursues a more approachable level of sophistication. However, Lotte scored the lowest overall except in terms of spatial environment and product choi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forementioned findings,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of service design touch points are ascertained. (Conclusions)This study ascer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ium food market``s touch points by examining the effect intangible service has on consumer satisfaction. The efficient and effective touch points analyz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assist in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premium food markets.

      • KCI등재후보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의 구조에 관한 연구

        김효선 ( Hyoseon Kim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학문적 영역에서 시각 중심적 사고에 비해 비 시각 감각은 그동안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그러나 비 시각 감각은 과거 인간의 삶과 소통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던 만큼 그 중요성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피부를 통해 인지하는 촉각은 인간이 태어나면서 최초로 느끼는 감각으로, 시각을 포함한 모든 감각들을 확장 시키는 중요한 감각이다. 최 근 들어 촉각에 대한 인식이 나아지면서 촉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촉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에 따라 다양해진 인간의 기호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유도하는‘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 전략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것을 유형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대부분의 촉감의 인지는 피막을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피부가 가지는 성질과 역할과 대해 알아보고 촉감의 개념을 정리했다. 다음은 이론적 고찰과 담론을 바탕으로 촉감이 가지는 주요한 3가지 특성을 파악한 후 촉지각과 감각온도, 시각적 촉감으로 분류했다. 또한 촉감이 활용된 체험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3개의 유형으로 정리하고 각 유형에 따른 속성 3가지씩 총 9개를 도출해 낸 결과 감촉체험(기억·지각·반응), 시간체험(과거·순간·가상), 소유체험(신뢰·애착·쾌락)으로 제시했다. 앞서 분석한 촉감의 특성과 체험 유형을 토대로 분석 매트릭스를 설정하고 다양한 매체의 복합적인 체험이 가능한 2000년 이후의 전시 공간을 범위로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 종합적 고찰을 통해 앞서 분류한 촉감의 특성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든 사례에서 두 개 이상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체험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직접적인 피부의 접촉을 통한 촉지각보다 덜 직 접적인 촉감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감각온도와 시각적 촉감을 통한 체험의 빈도수가 더 높았다는 것이다. 이들을 통한 체험은 직접적인 피부의 접촉을 통해 물체의 질감을 느끼고 판단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실제공간이 아닌 과거의 어떤 순간이나 현실에서는 경험하지 못할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가능하게 했다. (결론) 오늘날 촉감의 역할이 단순히 판단을 위한 것에 그치지 않고 감각적 사고와 상상력을 촉발하는 수단으로 작용함에 따라 그에 부응할 수 있는 체험 공간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이다. 다양한 매체들의 출현은 이에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인간이 공간과 상호작용하며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의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의 연구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와 방향성을 검토하는 데 근거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Non-visual senses have not been noticed more than visual thinking in disciplines. However, non-visual senses should be emphasized as central to human life and communication. Among them, the tactile sense is the primal sense of humans at birth; it is the crucial sense that extends all senses, including vision. Recently, active research regarding the “haptic sense”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actile experiences. Accordingly, spatial strategies based on experiences that induce direct contact with objects to fulfill various human tastes and needs are prominent. Thu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and typify haptic experiential spaces. (Method) The first focus of this research was a review of the skin’s characteristics and roles to summarize the concept of the haptic sense, given that haptic perception is typically based on membranes. The next focus was on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ree main qualities of the haptic sense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s and discourses: tactile perception, effective temperature, and visual hapticity. The characters of haptic experiential space were typified into three, and three attributes of each of these were derived; thus, there were nine attributes ultimately identified: touching experience (memory, perception, reaction); temporal experience (past, moment, imagery); and possessive experience (trust, naffection, pleasure). With the analysis model founded on the haptic qualities and types of experiences described above, case studies of exhibition space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00 to examine the complex experiences associated with various media. (Results) By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ll cases showed complex experiences of two or more of the haptic qualities classifi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higher frequencies of such experiences occurred with effective temperatures and visual hapticity, which are probably less direct qualities of the haptic sense than the tactile experience. The experiences through the former two qualities went beyond simply feeling and judging the textures of objects through direct skin contact toward enabling experiences in virtual space, rather than in the past or present reality. (Conclusions) As the roles of the haptic sense go beyond simple judgments to sensuous thinking and imagination, many experiential spaces that reflect such changes tend to emerge. The advent of various media became an important means for them, playing the crucial role of preparing the experiential field in which humans can interact with spa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the grounds to review the elements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haptic experiential space.

      • KCI등재

        패션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 관계 연구-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김문주 ( Moonju Kim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브랜드 사이에서 플래그십 스토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고, 공간을 매개체로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할 때 공간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의 발현으로 인해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은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브랜드 공간에 대한 물성 발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에 대한 구조화이다. 이에 대한 기대효과는 공간을 매개체로서 패션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물성 발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물성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로 물성발현의 특성을 크게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는 재료적 잠재성, 구축적 형태성, 시간성, 지역적 장소성, 공감각적 지각성, 상호관계성, 비물질성이다. 추출된 특성들을 물질적 분석, 환경적 분석, 동시적 분석으로 분류하여 상위 항목을 설정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세분화된 분석을 하였다. 사례 분석 대상은 국내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가 밀집된 청담동, 신사동 일대를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신축 또는 리뉴얼한 9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한 종합 분석을 토대로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 관계에 대한 구조화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본 연구의 사례 분석을 한 결과 물질적 분석에서는 재료적 잠재성이 가장 높은 빈도수와 중요한 물성으로 분석된다. 이에 비해 구축적 형태성은 다소 약하거나 전혀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환경적 분석에서는 자연적인 시간성이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역적 장소성의 지역성과 역사성은 사례마다 격차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동시적 분석에서는 공감각적 지각성은 세 번째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물성으로 확장성이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호관계성은 구조적인 요소를 통한 내ㆍ외부의 관계성이 주로 나타났다. 비물질성은 매개체의 속성 중 투명성과 반사성을 이용해 발현되었다. (결론)본 연구의 종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패션 브랜드 공간의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의 관계성을 코드 다이어그램으로 분석한다.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의 결론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질적 물성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이를 시각적 지각성으로 강하게 인지시키고 있다. 콘크리트와 철재, 목재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환경적 물성은 자연적 시간성으로 강하게 나타난다. 자연광이나 자연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재료 자체의 자연적인 시간 흐름을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로 동시적 물성은 공감각적 지각성과 비물질성은 주로 투명성과 반사의 성질을 가진 재료와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호관계성은 특정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보다 구조, 시각적 대비, 패턴 등 그 외의 요소와 관련성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재료가 갖는 다양한 특성을 이용하여 수많은 의미를 내포할 수 있으며, 물성의 지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패션 브랜드 공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며, 물성을 하나의 조형언어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상호 소통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나 이미지 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brand flagship stores have become prevalent and brands attempt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using the store space as the medium. When brands convey their own identity, various images and messages can be discounted as unilateral communication. Specifically, revealing product properties is a significant factor of communi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express these properties to vitalize multisensory communication between fashion brands and consumers with flagship stores as the medium. (Method)This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shion flagship stores. After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store physical properties, seven keyword categories were determined. Specifically, material potential, constructive configuration, temporality, regional placeness, multisensory perception, interrelationship, and immateriality. The important items are established through material, environment, and simultaneous analysis, and segmented analysis is also conducted by assigning subsection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case study targets are based in the Cheongdam-dong and Sinsa-dong districts in Seoul, Korea where there are many fashion flagship store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nine cases of new or renovated construction within the last five years.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bout the structure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shion brand``s store space. (Results)As a result of the material analysis, material potential has high frequency and is an important material property. By comparison, constructive configuration is weak or not apparent.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natural temporality is strong and regionality and the history of regional placeness reveal some significant gaps. Moreover, in the simultaneous analysis, expandability is a common manifestation of property within multisensory perception. Finally, immateriality is revealed based on continuity. Interelationship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structural elements. Additionally, immateriality is revealed by transparency and reflection in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Conclusions)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fashion brand space as a chord diagram through overal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reaches three conclusions. First, fashion space implies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physical aspect, and this recognizes visual consciousness intensively. Concrete, steel, and wood have deep relevance. Second, environmental properties strongly represent natural temporality, as shown by using natural material and sunlight. Third, simultaneous property is deeply related with multisensory perception, and immateriality is related with the transparency and reflectivity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terrelationship is deeply related to other elements, such as structure, visual contrast, and pattern, more than any material property by specific elements. As a result, using diverse material, brands can invoke various meanings and convey product identity to consumers through the perception of physical properties. This finding is not limited to fashion brands, and property can be commonly utilized as a formative language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to convey brand identity and image.

      • 경험적 상수와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설계

        성백주(Baekju Sung),이은웅(Eunwoong Lee),이재규(Jaegyu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For the optimal design of solenoid actuator which is used as key components in automobile and aircraft industry, general electromagnetic theory and empirical knowledge are simultaneously needed. Designer must perform the out-line design of item within the framework of macroscopic by basic familiarity with physical law and carry out the optimal design through the detail design of item based on the empirical knowledg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optimal design technique of low consumption type DC solenoid actuator using the governing equation for the solenoid actuator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theory and empirical coefficient and constrained optimization technique. Then we design the DC 12V, 0.5W solenoid actuator and present the result of design parameters.

      • 스마트 제어 모듈 개발에 관한 실차 기반 연구

        김도영(Doyeong Kim),김상중(Sangjung Kim),고영진(Youngjin Ko),이재규(Jaegyu Lee),김상우(Sangw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The study is about the function of Smart Control Module using SAE J1939 Protocol for the commercial vehicles. Presently, the load factor of CAN bus is increasing because of one CAN network composition and addition of new ECU’s with thc error of CAN communication. Also, development costs and times arc increasing for the compatibility between non-standard ECUs of commercial vehicle. So, commercial automobile vendor appreciates what CAN Integrated Control System. it is to reduce thc load factor of CAN bus by function what is transmission and block of Smart Control Module. And, to secure compatibility between ECUs in the commcreial vehicle by function what is manufacturing of Smart Control Modulc. When Smart Control Module is broken, it will self-diagnose and recovcr what makes CAN bus to one network. This paper describes the features of a Smart Control Module and verification of performance is described.

      • KCI등재SCOPUS

        상용차용 HILS기반 능동형 공기현가 시스템의 가상 Components 개발에 관한 연구

        고영진(Youngjin Ko),박경민(Kyungmin Park),백일현(Ilhyun Baek),김근모(Geunmo Kim),이재규(Jaegyu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1 No.2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components and environment for developing a controller of an Active Air Suspension System in laboratory that slough off existing development environment using real vehicle test. This paper presents an air spring modeling and analysis of air suspension system for a commercial vehicle. Preferentially, It was performed vehicle test for pneumatic system and an air spring for characteristic analysis of system. Each component of an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emulations and modeling of system for pressure and height sensors in the basis on test results in SILS environment.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air spring are accounted for using the measured data. Also, pressure and volume relations for vehicle hight control is considered. Afte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virtual model was performed, we developed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HILS for an Active Air Suspension System. We studied estimation and verification technology for control algorithm that developed.

      • SAE J1939 프로토콜기반 스마트 제어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도영(Doyeong Kim),김상중(Sangjung Kim),고영진(Youngjin Ko),조상현(Sanghyun Cho),문남수(Namsoo Moon),이재규(Jaegyu Lee),김상우(Sangw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This study is about the functions of Smart Control Module using SAE J1939 protocol for the commercial vehicles. Presently, the load factor of CAN bus is increasing because of one network composition and addition of new ECUs for intelligence of vehicles. System that achieve integration network control function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commercial vehicles because of CAN bus errors by increase of ECU.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SCM(Smart Control Module) that can diagnosis CAN bus errors, fault diagnosis of ECU and basic function that arbitrate CAN bus between ECUs of commercial vehicle. SCM was designed 4channel separation function and Gateway function for load factor decrease.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system that can achieve simulation about CAN Message of all systems on vehicle was applied to evaluate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of designed function and performance. The load factor on CAN bus was decreased at using functions what is delivery, block and process of SCM. Through this, it enabled systematic architecture organization for gate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