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다문화시대 조선족 이주노동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고찰

        이장섭(Lee Jang Sub),김해란(Jin Hai Lan),양양(Yang Ya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Under the impact of globalization, South Korea, a country with the myth of ‘single nation’ for thousands of years and trying to keep its own tradition and social identity, also has enter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multi-cultural policy status of Korean Chinese migrant labors in South Korea. Meanwhile, it is also hoped to set the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to make and implement the multi-cultural policies.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under the multi-cultural era, the South Korea government has carried out a complex policy to the Korean Chinese migrant labors, which including the inclusive policy, exclusive policy and informal complicated pluralism policy. Therefore,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should carry out an open migration policy.

      • KCI등재

        중국조선족 소학생과 대학생의 조선문 활용실태 비교연구: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이장섭 ( Jang Sub Lee ),김정희 ( Jeong Hee Kim ),지충남 ( Choong Nam Ji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연변조선족 자치주에서 소학생과 대학생 등 조선족 청소년들이 조선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조선족 청소년들이 조선문 정보자원을 어떻게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에 관한 정보수집은 어떻게 획득하고 있는가, 또한 조선어 사용빈도는 어떠하며 조선문 활용능력정도는 어떠한지를 연변조선족 소학교 학생과 대학 및 전문학교 학생과의 비교를 통하여 차세대 조선족들의 민족정체성의 유지정도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분석결과를 통해 연변조선족 소학교 학생과 대학 및 전문학교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학교에서 정기구독하거나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조선문 신문 또는 도서가 있다는 설문에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조선문을 주로 일기나 레포트를 쓰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문에 대한 자긍심과 긍지를 가지고 조선문을 계속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하였다. 반면에 정보획득경로에 대해서는 소학생들은 주로 잡지를 통해 대학생들을 인터넷을 통해 한다고 응답하였고, 소학생들보다 대학생들이 조선문 독서량이 더 낮았으며, 한국에 대한 정보접촉시간은 대학생들이 소학생들보다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소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정보획득환경의 차이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소학생들이 대학생에 비해서 조선문 활용에 대한 자부심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런 현상을 어쩔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치부하기 보다는 소학생들의 교육에 대해서 한국정부와 조선족 학자들이 좀 더 정책적으로 접근해 나가야 될 부분이라는 것이 연구결과 밝혀졌다. 위의 조사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연변조선족 소학교 학생과 대학 및 전문학교 학생과의 비교를 함으로써 차세대 조선족들의 민족정체성의 유지정도를 살펴보고, 그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조선족들의 민족정체성 향상을 위한 우리들의 노력의 향방을 제시하고, 재외동포들의 한민족 공동체형성을 위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가질 수 있겠다.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ethnic primary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the commons we get are: first, the reading level of Korean newspapers, books, Korean language-related books and magazines is low; second, Korean ethnic primary school and college students used to write diaries and reports in Korean; third, they wish to keep Korean language and Korean good culture by studying hard in Korean language and reading Korean books. The differences are: first, primary school students read new Korean information from magazines, but college students from internet; second, primary school students read do more Korean readings than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read more Korean news and listen more Korean musics; third, college students use internet to get Korean information more and take longer time on it than primary school students do; forth, college students` using Korean ability is much higher than primary school students, which makes me think whether it is because of the assimilation, and college students think Korean language as an advantage more than primary school students do; fifth, normally, primary school students use reading and writing to improve their Korean, but college students prefer to use audio-visual textbooks. According to all the research, in current status of using Korean language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college students get more confidence in using Korean and attach more importance to it than prim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is status, Chinese government and scholars need to provide more strategic and systematic steps to make primary school students closer to Korean studying.

      • KCI등재후보

        중국 동북진흥정책에 따른 흑룡강성 조선족기업네트워크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이장섭 ( Jang Sub Lee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중국정부의 동북진흥정책에 따라서 우리기업의 동북 3성 진출에 흑룡강성 조선족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룡강성 조선족기업에 대한 네트워크의 특성을 파악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흑룡강성 조선족기업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네트워크는 지연, 업연, 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흑룡강성의 조선족기업들이 중국내의 한국투자기업과의 상호협력이나 교류 비율이 중국내의 다른 지역 조선족기업보다는 적었으며 교류내용은 판로개척이나 기술제휴, 사업정보교환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한국에 있는 기업과의 교류내용을 보면 주로 판로개척과 기술제휴, 원재료나 제품의 조달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한국에 있는 기업과의 교류성과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6.4%로써 이는 다른 지역 조선족기업과 비교 시 현저히 낮은 비율임이 나타났다. 넷째, 흑룡강성의 조선족기업은 중국기업과는 강한연대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음으로써 한국기업의 동북진흥계획 참여나 내수시장 확장에 흑룡강성 조선족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흑룡강성 조선족기업만의 네트워크실태조사를 통하여 중국동북진흥정책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가질 수 있겠다. The government of China has launched a policy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Through exhib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and the entrance of Korean business to the market of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this paper tries to grasp the features of Korean Chinese business network in Heilongjiang, and then to investigate the current utilization of networks. First, the most frequent utilized network for Korean Chinese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business and matter relationship. Second,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 Chinese business and Korean business invested in Heilongjiang is lower than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 Chinese business in Heilongjiang and Korean Chinese business in other regions of China, and the survey result also shows that the cooperation content between Korean Chinese business and Korean business in Heilongjiang is mainly in the order of developing sales channel, technique cooperation and then business information exchange. Third,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 Chinese business in Heilongjiang and the enterprise in Korea mainly lies in technique cooperation and the purchasing of raw and parts materials, and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the cooperation shows that the satisfaction rate was 36.4%, which is lower than the cooperation of Korean Chinese business in other regions of China. Fourth, depending on the solid construction of Korean Chinese business network, there is possibility for Korean business to take part in the program of developing the northeast three province, meanwhile enlarge Korean business market in China. In spite of varied limitations, this paper through surveying the network status of Heilongjiang, exhibits a great significance of the utilized networks in developing the northeast of China.

      • KCI등재
      • KCI등재
      •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연구

        이장섭(Lee Jang Sub)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Vol.2019 No.6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1)을 대상으로 한 2017년도 설문조사를 토대로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2)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시사점을 보면 첫째,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과 인도네시아 현지 중소기업과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특성으로는 사업정보 교환, 판로개척, 원재료나 제품조달, 기술제휴 순으로 긴밀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도네시아 내에 있는 한상기업이나 한국에 있는 기업과는 사업정보 교환과 원재료・제품조달, 판로개척 순으로 상호협력이나 교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도네시아 내 한인단체와의 네트워크를 보면 사업상 참여하고 있는 단체나 조직으로는 동종업종기업인협회와 기업인친목단체 그리고 골프협회 등의 조직이나 단체와 상호협력이나 교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넷째,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을 대상으로하여 비즈니스 네트워크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는 향후 인도네시아 진출 한상기업의 영속적 생존을 위한 상생방안으로 인도네시아 현지기업과의 지역생산네트워크3)를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zed the business network of Korean enterprises in Indonesia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017. The main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business network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and Indonesi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closely linked to business information exchange, market opening, raw materials or product procurement and technology partnership. Secondly, it has been shown that they are cooperating and exchanging business information, raw materials and product procurement, and market opening with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and Korea. Third, in terms of network with Korean organizations in Indonesia, businessmen’s association of the same kind of business, friendship businessmen organizations and golf associations are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 Fourth, as this paper has studied the business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i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a local production network with Indonesian companies as a win-win method for the survival of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