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 결정

        이의훈,최현석,김중훈,Lee, Eui Hoon,Choi, Hyeon Seok,Kim, Joong Hoo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9

        최근 기후변화는 짧은 시간의 지역적인 집중호우와 예상치 못한 폭우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생명과 재산의 손실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술평균방법, 가중평균방법,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침수위험도에 따른 순위를 결정하였다. 재해연보 및 도시계획 현황에서 선택한 인자들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단위를 통일시켰으며 표준화를 통한 산술평균방법,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가중평균방법, 상관도가 높은 인자들을 묶어 분석한 주성분 분석방법을 통해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고 그 순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술평균방법의 경우 간단하기는 하지만 각각의 인자들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중평균 방법의 경우 각각의 인자들이 다른 가중치를 갖기는 하지만 많은 변수들 때문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의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를 결정하였다. Recently,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hort time concentrated local rainfall and unexpected heavy rain which is increasingly causing life and property damage. In this research, arithmetic average analysis, weighted average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used for predicting flood risk. This research is foundation for application of predicting flood risk based on annals of disaster and status of urban planning. Results obtained by arithmetic average analysis, weighted average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many factors affect on flood are compared. In case of arithmetic average analysis, each factor has same weights though it is simple method. In case of weighted average analysis, correlation factors are complex by many variables and multicollinearty problem happen though it has different weights. For solving these problem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used because each factor has different weights and the number of variables is smaller than other methods by combining variables. Finally, flood risk assessment considering flood control ability and urban environment risk in former research is predicted.

      • KCI등재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독립호우 결정

        이의훈(Lee, Eui Hoon),유도근(Yoo, Do Geun),김중훈(Kim, Joong-H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독립호우의 결정은 월류수 처리시설의 설계에서 필수적이다.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총량을 결정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결정된 독립호우에 의해 1회 평균강우량, 평균강우강도, 평균지속시간 등의 강우특 성의 분석이 실시되어야만 한다. 독립호우의 결정은 무강우 지속시간의 산정(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에 따라 분리 할 수 있으며 이를 결정하기 위한 기존의 분석방법에는 자기상관 분석, 변동계수 분석, 연강우 평균발생횟수 분석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IETD 분석방법에 따라 무강우시간을 산정한 후 방법별 문제점을 고찰하고 새로운 IETD 결정방법으 로 지수함수 검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정방법을 통하여 결과값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Interevent Time Definition(IETD) is essential in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tank design for the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However, existent rainfall analysis can not calculate total amou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deviding continuous rainfall events, therre are several IETD calculating methods. In this research, After calculate IETD by existents methods, problem of results is identified as existents method.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new method using exponential decay function is suggested. The confidence range of λ is estimated.

      • KCI등재

        시스템 탄력성을 고려한 빗물저류조 운영수위 결정

        이의훈(Lee. Eui Hoon),이용식(Lee. Yong Sik),정동휘(Jung. Donghwi),주진걸(Joo. Jin Gul),김중훈(Kim, Joong H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최근 도시 지역에서 엄청난 집중 호우의 빈도가 높아지고 불투수면적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침수 발생 횟수 및 침수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시의 침수를 방어하기 위해 빗물펌프장 설치, 우수관거 개량, 빗물저류조 설치 등의 구조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치수시설의 포화로 치수대책의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홍수 예보 및 내배수시설 운영 등과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인 대책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행 빗물저류조 운영방법이 아닌 새롭게 제시된 빗물저류조 운영방법의 펌프정지수위를 결정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빗물저류조 운영에서 펌프정지수위 결정을 위해 Huff 분포에 의해 생성한 총 48개의 강우를 생성하였다. 먼저 생성된 강우를 빈도, 분위 및 지속시간 별로 구분하였다. 생성된 강우를 적용하여 실시한 강우-유출 모의를 토대로 평균 탄력성을 산정하고 1.2 m에서 1.5 m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범위에서 하수도 시설 기준에 의한 안전율 1.25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2 m를 적정 펌프정지수위로 결정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inundation and the severity of flood damage has increased rapidly as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and the ratio of impervious area increased in urban areas. Most local governments focus on employing structural measures (e.g., the construction of detention reservoirs/pump stations, rehabilitation of drainage and sewer pipe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such structural measures is being dimished because there are already many inundation prevention facilities. The limitation of structural measures can be overcoming by employing non-structure measures, such as flood alerts and the operation of drainage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pump operation rule (i.e., suggesting pump stop level) for a new detention reservoir operating method, which triggers the operation of a pump based on the water level at the monitoring node in urban drainage system. In the new reservoir operation, a total of 48 rainfall events are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for determining the proper pump stop level. First, the generated rainfall events are distributed as frequencies, quartiles, and durations. The averaged system resilience value was determined to range from 1.2 m to 1.5 m is based on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with rainfall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In this range, 1.2 m was identified considering the safety factor of 1.25 by the Standard on sewer facilities in 2011.

      • KCI등재

        자가 적응형 메타휴리스틱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Self-Adaptive Vision Correction Algorithm

        이의훈(Eui Hoon Lee),이호민(Ho Min Lee),최영환(Young Hwan Choi),김중훈(Joong Ho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 개발된 Self-Adaptive Vision Correction Algorithm (SAVCA)은 광학적 특성을 모방하여 개발된 Vision Correction Algorithm (VCA)의 총 6개의 매개변수 중 자가 적응형태로 구축된 Division Rate 1 (DR1) 및 Division Rate 2 (DR2)를 제외한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Rate (MR), Astigmatic Rate (AR), Astigmatic Factor (AF) 및 Compression Factor (CF) 등 4개의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시되었다. 개발된 SAVCA의 검증을 위해 기존 VCA를 적용하였던 2개 변수를 갖는 수학 문제 (Six hump camel back 및 Easton and fenton) 및 30개 변수를 갖는 수학 문제 (Schwefel 및 Hyper sphere)에 적용한 결과 SAVCA는 비교한 다른 알고리즘 (Harmony Search, Water Cycle Algorithm, VCA, Genetic Algorithms with Floating-point representation, Shuffled Complex Evolution algorithm 및 Modified Shuffled Complex Evolution)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공학 문제인 Speed reducer design에서도 SAVCA는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복잡한 매개변수 조절과정을 거치지 않은 SAVCA는 여러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Self-Adaptive Vision Correction Algorithm (SAVCA)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ggested for improving usability by modifying four parameters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Rate, Astigmatic Rate, Astigmatic Factor and Compression Factor) except for Division Rate 1 and Division Rate 2 among six parameters in Vision Correction Algorithm (VCA). For verification, SAVCA was applied to two-dimensional mathematical benchmark functions (Six hump camel back / Easton and fenton) and 30-dimensional mathematical benchmark functions (Schwefel / Hyper sphere). It showed superior performance to other algorithms (Harmony Search, Water Cycle Algorithm, VCA, Genetic Algorithms with Floating-point representation, Shuffled Complex Evolution algorithm and Modified Shuffled Complex Evolution). Finally, SAVCA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e engineering problem (speed reducer design). SAVCA, which has not been subjected to complicated parameter adjustment procedures, will be applicable in various fields.

      • KCI등재

        노인부양활동에 있어 Information Technology의 보완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의훈(Lee, Eue Hun),한세미(Han, Sae Mee)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현상에 따른 노인부양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부양활동의 보완재 혹은 도구로써 Information Technology (IT)의 활용을 제안하며, 이의 실행가능성 파악에 있다. 조사방법으로 예비와 현재 노인부양자 대상의 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여 부양활동에 대한 부양자들의 의견 및 욕구를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노인부양활동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IT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노인부양자는 노인을 부양할 때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노인의 건강, 안전, 위치를 확인하길 바라며, 이러한 욕구는 유비쿼터스 속성을 가진 IT의 부양활동 보완역할을 통해 충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FGI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노인부양문제 해결을 위한 IT의 활용 및 보완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언하여 IT의 부양활동 보완역할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IT는 기존 부양서비스와 접목되어 부양활동을 지원하고 보완하여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무조건적인 IT 적용 및 기술 강조는 오히려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elderly caring issues and proposes Information Technology (IT) as the complementary tool of care activities, and it was aimed to identify application and feasibility of complementary IT for elderly care activities.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current and potential caregivers respondents to explore caregivers' opinions and needs of care activities, and to suggest roles of IT which are helpful for elderly caregiving. The results showed that caregivers desire to check elderly care receivers' health, safety, and location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and these caregivers' needs can be satisfied with IT by supporting caring ubiquitously. Moreover, this article provided more specific guidelines of IT applications for elderly caring services, so it expected positive roles of IT for elderly caring activities. However, this paper consequently emphasized IT must focus on only supporting and complementary roles of caregiving activities rather than alternative roles to enhance caregivers' caring efficiency and reduce their caring bu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