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유사도를 이용한 MMORPG 게임봇 탐지 시스템

        이은조(Eun-Jo Lee),조원준(Won-Jun Jo),김현철(Hyunchul Kim),엄혜민(Hyemin Um),이지나(Jina Lee),권혁민(Hyuk-min Kwon),김휘강(Huy-Kang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6 No.1

        다중 접속 역할 게임(Massively Multi-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에서 게임봇은 게임 밸런스에 악영향을 끼치고 일반 유저들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게 하여 게임 수명을 단축시키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그 동안 게임 봇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특정 게임 컨텐츠의 특징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신규 게임이 출시될 때마다 탐지 기법 개발이 필요하거나 혹은 게임 및 봇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따른 유지 보수 방안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봇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특징인, 설정된 패턴에 따라 행동을 반복하는 자기유사성을 주요 특질로 이용한 기계 학습 기법을 제안하고 이렇게 학습한 모델을 자동으로 유지 보수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한 방법은 엔씨소프트의 대표 MMORPG인 리니지, 아이온, 블레이드 앤 소울에 대해 성능을 테스트하였으며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전에 적용하였다. Game bot playing is one of the main risks in Massively Multi-Online Role Playing Games(MMORPG) because it damages overall game playing environment, especially the balance of the in-game econom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tect game bot. However, the previous detection models require continuous maintenance efforts to train and learn the game bots’ patterns whenever the game contents change. In this work, we have proposed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using the self-similarity property that is an intrinsic attribute in game bots and automated maintenance system. We have tested our method and implemented a system to major three commercial games in South Korea. As a result, our proposed system can detect and classify game bots with high accuracy.

      • 온라인 게임 보안을 위한 머신러닝 시스템 연동 방안

        이은조(Lee, Eun Jo)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情報保護學會誌 Vol.26 No.3

        온라인 게임에는 해킹이나 악성 코드와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알려진 위협뿐만 아니라 계정 도용이나 자동 사냥프로그램 사용과 같은 온라인 게임에서만 볼 수 있는 위협들이 존재한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 유저의 다양한 활동을 데이터로 기록하기 때문에 이런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 러닝 기반의 탐지 기법을 적용하기 적합한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보안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탐지 모델링 단계에 집중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에 기반한 온라인 게임 보안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연동 구조와 실전 적용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소개한다.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IEEE 802.21 MIH를 이용한 이기종간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전송 방법 연구

        고준호(Ko Jun-Ho),이은조(Lee Eun-Jo),박승권(Park Sung-Kw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

        최근 유/무선 통신망과 접속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다양한 네트워크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종류의 접속 기술은 접속 기술간 서비스 이동에 따른 이동성 보장이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핸드오버 시 부가적인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접속 서비스로의 비디오 전송 시 Qos 보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망에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MIH Function에서 각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과 Qos 정보를 MIH 정보 서버로부터 얻어 비디오 스케일링 레이어를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스케일링 레이어를 이용하여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수행한 후, 각각의 단말기에게 비디오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스케일러블 비디오 전송 모델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해상도, 화질, 프레임 전송률을 갖는 영상을 다양한 네트워크의 다양한 디바이스로 적응적인 비디오 전송이 가능하다.

      • 캐릭터 이름을 이용한 MMORPG 봇 탐지 기법

        강성욱(Kang, Sung Wook),이은조(Lee, Eun Jo)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情報保護學會誌 Vol.27 No.4

        온라인 게임에서 불법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 봇을 대규모로 운영하는 전문 사설 업체를 속칭 ‘작업장(Gold Farming Group, GFG)’이라고 부른다. 기존에 작업장에서 운영하는 게임 봇은 24시간 쉬지 않고 반복적인 파밍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했으나 최근 온라인 게임의 계정 가입이 쉬워지고 무료 플레이가 보편화되면서 개개의 게임 봇 계정이 수행하는 플레이 시간이나 취득 재화 수준을 낮추는 대신 수만 개의 계정을 번갈아 가며 운영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 활동 패턴에 기반한 기존의 탐지 모델들이 점차 무력화되고 있으며 진입 초기에 게임 봇을 빠르게 탐지하고 제재하는 방안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는 게임 봇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정 및 캐릭터의 이름이 갖는 특성을 활용한 게임 봇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북미에서 서비스 중인 엔씨소프트의 MMORPG인 ‘블레이드 앤 소울’의 약 20만 개 계정 정보를 이용해 탐지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캐릭터 이름에 대해 간단한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AUC 기준으로 약 0.901의 성능을 기록하였다.

      • 국내 공공번역 정책에 대한 고찰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강미영 ( Kang Mi-young ),이은조 ( Lee Eun-jo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5 No.0

        이 글은 국내 공공번역 정책 현황을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국내에 번역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관련 기관들이 공공번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담하면서 분야별로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번역과 관련한 국내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립국어원의 공공번역 업무의 방향을 알아본다. 2014년 국립국어원은 공공번역 중에서 공공 용어 번역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2020년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문체부 훈령 제427호)을 제정함으로써 공공 용어 번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훈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공공번역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lations of public terms and explores the policy status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in Korea.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in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 monitoring the translation, it requires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licy status of the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ince 2014,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as been in charge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and the standard for translation of public terms has emerged with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irective No. 427. The paper thus critically examines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while seeking the measures to improve public sector 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