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성학십도 VR >에서의 3D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한 철학적 개념 시각화 연구

        이원진 ( Lee Wonjean ),이현진 ( Lee Hyun Jean ),김지연 ( Kim Ji Y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즉 성인에 이르는 공부에 관한 열 개의 도(圖)를 현대적 맥락으로 재해석한 가상현실 작업인 < 성학십도 VR >에서 한국 철학이 제시하는 복합적 개념과 시공간적 사유를 효과적이고 함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3D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3D navigation interface)에 대하여 논한다. 구체적으로 < 성학십도 VR > 프로젝트에 사용된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는 < 성학십도 VR > 10개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탐험할 수 있게 돕는 병풍 형식으로 디자인된 마크로-내비게이션(macro-navigation), 그리고 열 개의 각 도 내부의 콘텐츠를 보다 자세히, 그리고 선택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내비게이션(micro-navigation)로 나뉜다. 특히 이 마이크로-내비게이션은 사용자가 각각의 VR 상의 구체적인 내러티브의 흐름을 비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그 도상적 특성을 시각적인 방식으로 인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이들은 각 도에서 담고 있는 한국적 공간 미학의 특성인 중첩성, 순환성, 상호작용성을 담아낼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본 논문은 < 성학십도 VR > 각 도에 사용된 마이크로-내비게이션이 어떻게 고안되었는지 구체적인 디자인 맥락과 함께 소개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역시 한국 철학적 사유의 핵심적 가치를 시공간적이고 인지가능한 메타적 이해를 돕기 위해 설계된 것임을 밝힌다. Based on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a virtual reality work, < Sunghaksipdo VR > presents the complex concept and spatio-temporal thought of Korean philosophy by reinterpreting them in a contemporary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the 3D navigation interfaces used in < Sunghaksipdo VR > and how they are designed to convey its complex concept of spatial and temporal Korean thought implicitly and effectively. We currently created two types of navigation interfaces: Macro-navigational and Micro-navigational interfaces. The macro-navigation interface which is designed as a form of a ten-folding-screen is to allow the users to explore Ten Diagrams(圖) of < Sunghaksipdo VR >. The micro-navigation helps explore each VR content in more detail. In particular, this micro-navigational interface enables the user to control the flow of each narrative in a non-linear way while also visually representing the abstract philosophical concept through its iconic 3D object. We have also tried to conve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atial aesthetics contained in each Diagrams: multi-layering, circulation, and interactivity in the design of this micro-navigation interface. By introducing how we apply the specific design context to each navigation design, this study explains that this interface design is to help understand the core values of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in more meta-cognitive ways.

      • Virtual Reality for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Hyun Jean Lee(이현진),Wonjean Lee(이원진),Hyungsin Kim(김형신),Jun Park(박준),Sungsil Kim(김성실),Soko Jang(장석호),Jeong Han Kim(김정한)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In this paper, we describe a virtual reality(VR) project which creates an experience of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First, we introduce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en, we report VR design process and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ge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Ultimately, people today are able to experience a similar environment where the king transformed the self to the original good nature. Moreover, the space-time experience in this VR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users with self-reflection like looking oneself in the mirror.

      • 3D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한 〈성학십도 VR〉 시공간 내러티브 연구

        김지연(Ji Yun Kim),이원진(Wonjean Lee),이현진(Hyun Jea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콘텐츠의 시공간적 내러티브(narrative)를 진행·결정할 수 있다. 선택(클릭 혹은 터치 등)이라는 행위는 단순히 가상공간 속 대상이나 환경과의 물리적 상호작용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의 내용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계를 만들고 내러티브를 전개시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적 행위를 통해 그들이 경험할 수 있는 비선형적 구조의 탐색 가능성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 예로, 본 연구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성학십도 VR〉 프로젝트에 활용된 3D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3D navigation interface)에 대해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프로젝트에 사용된 마크로 내비게이션(macro-navigation)과 마이크로 내비게이션(micro-navigation)에 대해 서술한다. 특히 〈성학십도 VR〉에서 한국적 공간 미학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중첩성 · 순환성 · 상호작용성을 내비게이션에 어떻게 녹여냈는지 그리고 VR 상에서 그것들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VR 내러티브에서 내비게이션의 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 멀티미디어로 구현된 『주역(周易)』과 「태극도(太極圖)」

        김매훼(Mae-Hwe Kim),양영주(Yeongju Yang),이원진(Wonjean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주역(周易)』은 3000여년 전부터 유교문화권에서 세상과 자연만물의 형성 원리를 논하는 동양사상으로 우리 삶 속에 긴밀히 스며들었다. 그간 『주역』의 핵심적 원리를 멀티미디어의 시각화로 시도했던 연구는 종종 살펴볼 수 있었지만, 「태극도(太極圖)」 는 이미 『주역』의 우주론을 재형상화한 것으로 그 의미와 가치가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 시각화로 구현해낸 컨텐츠가 부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주역』의사상을 멀티미디어로 구현해낸 미디어아트 작품과 연구 사례를 분석하며 기존의 동양 고전 사상의 시각화 연구가 갖는 의미와 한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선행연구로 하여, VR 형식으로 접근된 「태극도」를 통해 우주론과 인간의 존재와 형성의 원리를 어떻게 시각화하고자 하였는지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