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교과 간 통합 방식을 중심으로

        이운영(Lee WoonYoung),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수업 관련 자료로 수업 계획서, 수업 활동지, 학생 산출물을 수집하여 수업의 설계⋅실행⋅반성의 3단계로 나누어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검토를 거쳐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설계 단계>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접근한 배경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범교과적 성격을 고려하고, 충분한 시수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교사가 가장 먼저 한 일은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것이었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교과로 국어과를 꼽았다. <실행 단계> 수업 자료로서 교과서의 활용은 낮은 편이었고, 수업 자료 수집의 경로는 다양했으며, 수업 자료의 체계적 정리 및 통합 사이트 운영을 통해 수업 자료의 접근성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수업 진행 방식으로는 모둠 협력 방식을 선호하였고, 학습자 중심 수업을 전개하였다. 수업의 실행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사 표현, 통합한 교과에 대한 학생의 호감 상승, 학생의 정보 검색 능력의 질적인 변화를 꼽았다. <반성 단계> 학생 평가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호 평가와 과정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역량에 대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과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및 지원이 필요하고,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및 자료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교과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경험과도 통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have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way between subjects, and to seek directions for integrated approach of media literacy class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manner, class plans, class activity sheets, and student output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three stages, and the analyzed data were reviewed by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plan step> The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of media literacy was to consider the pan-textural nature of media literacy and to secure enough time. To this end, the first thing the teacher did was to analyze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was selected as the subject most related to media literacy. <practice step> The use of textbooks as class materials was low, the paths for collecting class materials varied, and it was propos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class materials through systematic organization of class materials and the operation of integrated sites. As a way of conducting classes, the group cooperation method was preferred and the learner-centered class was developed. Among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lass were student s active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of intentions, student s growing fondness for integrated subjects, and qualitative changes in student s ability to search information. <evaluation step> Student evaluation was facilitated by mutual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online platform, and it was derived that teachers competence requires efforts to improve media literacy class expertise an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class. Conclusions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operation of media literacy classes requires efforts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ers capabilities, enable research and data sharing on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integrate with learners experiences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 KCI등재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이운영(Woon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오늘날의 지식 융합 시대에서 학교 교육의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는 통합 수업에 주목하여,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동시 텍스트는 음악성과 회화성이 두드러지고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교과와 공통되는 요소가 많으며, 통합 수업의 매개로서 뛰어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국어과에서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통합 수업을 운영하면 효과적인 언어 학습, 지식의 총체적 이해, 학습 동기 부여와 기억력 강화, 창의성과 인성을 신장시켜 미래 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통합 수업의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고, 통합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통합 수업의 유형은 동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무엇을 통합하느냐에 따라 교과 내 통합, 교과 간 통합, 범교과 학습 주제와의 통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과 내 통합은 국어과 내에서 문학 영역과 다른 영역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이고, 교과 간 통합은 국어과 문학 영역과 타 교과를 통합하는 방안이며, 범교과 학습 주제와의 통합은 국어과 문학 영역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통합하는 유형이다. 각 유형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동시 텍스트를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통합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설계한 통합 수업 방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거치면서 통합 수업 방안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integrated classes, which are the core tasks of school education in today's knowledge convergence era, and attempted to propose a plan for integrated classes centered 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using poetry texts. Methods Poetry texts have many elements in common with various subjects in that they are prominent in musicality and conversationality and reflect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and have excellent potential as a medium for integrated classes. If you run an integrated class using poetry text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effective language learning, total understanding of knowledge, motivating learning and strengthening memory, and solving future social problems through creativity and character enhancement. Results Accordingly, an integrated instructional pla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integrated classes using poetry texts. First, according to what is integr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s centering on the poem text, it was classified into intra-subject integration, inter-subject integration, and cross-curricular integration with learning topics. In-subject integration is a plan to integrate and operate literature and other areas with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ter-subject integration is a method to integrat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s with other subject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Poetry texts suitable for use in each type were presented, and a Korean language department-centered integrated class was designed and proposed based on thi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an integrated teaching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using poetry texts.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integrated teaching plan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y applying these measures to actual classes.

      • KCI등재

        PE-ALD를 이용한 SnO<sub>2</sub> Thin Film의 특성

        박용주,이운영,최용국,이현규,박진성,Park Yongju,Lee Woonyoung,Choi Yongkook,Lee Hyunkyu,Park Jinseong 한국재료학회 2004 한국재료학회지 Vol.14 No.12

        Tin dioxide ($SnO_2$) thin films were prepared on Si(100) substrate by PE-ALD using the $DBDTA((CH_{3}CO_2)_{2}Sn[(CH_2)_{3}CH_3]_2)$ Precursor. The properties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source temperature, substrate temperature, and purging time. Scanning probe microscopic images at the source temperature $50^{\circ}C$ and the substrate temperature $300^{\circ}C$ shows lower roughness than those $40/60^{\circ}C$ source and $200/400^{\circ}C$ substrate temperature samples. The purging time for optimum process was 8sec and the deposition rate was about 1 nm per 10 cycles. The conductance of $SnO_2$ thin film showed a constant region in the range of $200^{\circ}C\;to\;500^{\circ}C$. The thin films deposited for 200 cycle show a better sensitivity to CO g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