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M-PHD 필터를 이용한 보행자 탐지 성능 향상 방법

        이연준(Yeon-Jun Lee),서승우(Seung-Woo Seo)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12

        보행자 인식은 차량자율주행 및 사고방지를 위해 중요한 요소기술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 기술들은 크게 카메라기반과 LIDAR 기반,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카메라 기반 방법과 대비되어 LIDAR 기반 방법은 화각이 넓고 조도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강점이 있다. 하지만 LIDAR 기반 방법은 먼 물체를 인식하기엔 센서 해상도가 낮고, 복잡한 환경에서는 분할오류나 폐색 등의 원인으로 인식률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LIDAR 기반 보행자 탐지 알고리즘의 낮은 인식률을 개선시키기 위해 다중객체추적 기법의 하나인 GM-PHD 필터를 이용한 두 가지 성능 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GM-PHD 필터를 이용해 이전 프레임의 포인트를 현재 프레임의 물체에 자동으로 누적하여 물체 해상도 및 보행자 분류 성능을 향상시킨다. 두 번째 방법은 인식 성능이 낮은 상황에 맞춰 개선된 GM-PHD 필터를 분류된 다중객체에 적용하여 탐지 성능을 더욱 강화시킨다. 직접 취득한 도로 주행 데이터에 두 방법을 적용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보행자 탐지 알고리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을 정량적으로 증명하였다. Pedestrian detection has largely been researched a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preventing accidents. There are two categories for pedestrian detection, camera-based and LIDAR-based. LIDAR-based methods have the advantage of the wide angle of view and insensitivity of illuminance change while camera-based methods have not.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3D LIDAR, such as insufficient resolution to detect distant pedestrians and decrease in detection rate in a complex situation due to segmentation error and occlusion. In this paper, two methods using GM-PHD filter are proposed to improve the poor rates of pedestrian detection algorithms based on 3D LIDAR. First one improves detection performance and resolution of object by automatic accumulation of points in previous frames onto current objects. Second one additionally enhances the detection results by applying the GM-PHD filter which is modified in order to handle the poor situation to classified multi target. A quantitative evaluation with autonomously acquired road environment data shows the proposed methods highly increas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edestrian detection algorithms.

      • KCI등재

        전통적 황금비율의 곡선을 이용한 나르시시즘적 자아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

        이연준(Lee, Yeon-Jun),조기주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나르시시즘의 여성적인 이미지라 할만한 꽃과 노리개의 재현적 이미지로부터 그런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을 의도한 탈/가면으로의 연구자 작업의 변화과정을 미술사와 정신분석에 근거해 분석했다. 어린 시절 가족에게서 받은 상처에서 비롯된, 그 상처를 감추면서도 가리키는 그런 ‘긍정적인’자기 이미지는 최근의 가면 시리즈에 이르러 해체되고 웃는 탈, 감춘 게 없는 가면-이미지로 대체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하회탈의 부분 이미지를 차용한 3기-가면 시리즈 작품의 변화 과정에 주목했고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정신분석에서 라캉의 나르시시즘적 자아에 대한 논의를 끌어들였다. 연구자의 꽃, 노리개, 가면으로 이어지는 작업 이미지의 변화는 어린 시절 큰오빠에게 받은 상처와 깊은 연관이 있다. 못생긴 주근깨투성이 여자아이라는 오빠의 언어폭력은 이후 연구자에게 여성성의 부재, 결여라는 열등감을 초래하게 되었다. 오빠는 연구자에게 여성성이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린 타자이다. 오빠의 언어폭력과 오빠에 의한 가늠하기 어려운 개인적 상처는 연구자의 작업에서 나르시시즘적 이미지와 가면으로서의 자아라는 두 개의 시기 혹은 단계로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의 작업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나르시시즘을 Ⅱ장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 나르시시즘이 일견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극복해야 할 환영이라는 것과 그럼에도 그것이 없으면 인간의 사회적 삶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간에게 필수적이라는 것 역시 전달하려고 했다. 다음으로 Ⅲ장 연구자의 작품 분석 부분에서는 꽃과 노리개를 통해 여성의 나르시시즘적 이미지를 표현했던 연구자의 1기, 2기의 작업과 나르시시즘적 이미지 대신에 가면으로서의 자아를 강조한 3기로 작업 시기를 나누어서 각 단계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자의 부정적 나르시시즘과 연관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큰오빠’와 연관된 이야기를 언급했다. 큰오빠의 언어적이고 물리적인 폭력은 지금도 연구자에게 깊이 각인된 상처임을, 그 상처가 연구자의 나르시시즘적 이미지의 출현에 결정적이었음을, 그리고 그 상처로부터 더 이상 영향 받지 않을 만큼 연구자의 자기 성장, 혹은 치유가 진행되었음을 연구자의 작업의 변화 과정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나르시시즘적 자기 이미지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지금의 있는 그대로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진정한 자아의 성립이 시작된다는 것을 연구자의 작업을 통해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연구자는 본 연구를 뒤로하고, 개인을 둘러싼 사회와 공동체를 위한 작업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Based on art history and psychoanalysis, the researcher used this study to describ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earcher’s work into the Mask. This was intended to disassemble and reconstruct certain images from the representational images of Flowers and Norigae, which could be thought of as feminine images of narcissism. The positive self-image that hides the hurt caused by the injuries received by the family during childhood was dismissed at the Doctoral Degree Claim Exhibition. It was replaced by a smiling mask and the mask-image without any concealment.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works of the Doctoral Degree Claim Exhibition which borrowed the partial image of Hahoetal. In order to analyze this, the researcher quoted a collage technique of surrealism from the art history and drew a discussion of narcissistic self from psychoanalysis. The change in the work image that led to the researcher’s Flower, Norigae, and the Mask is closely related to the wound she received from her older brother. Her older brother’s verbal violence, in which he called her an ugly freckled girl, later caused her a sense of inferiority in the absence and lack of femininity. The older brother is Other Self who ruled that the researcher lacks femininity. The verbal violence from her older brother and the unfathomable personal scars by him influenced the two phases or stages of the Self as the Mask as well as the narcissistic image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In this paper, narcissism is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zing the work of the researcher. Furthermore, formal techniques related to narcissism are analyzed in Chapter II. To this e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onvey that through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s concept of narcissism, narcissism is the phantom to overcome in terms of creating a negative self image. Nevertheless, narcissism is essential to human beings because human social life is impossible without it. Next, in Chapter 3,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 the researcher divided the working perio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phases and examined the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which expressed the narcissistic image of women through Flowers and Norigae in the first, second phase and emphasized the Self as the Mask instead of the narcissistic image in the third phase. To do this,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story of her older brother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relation to the negative narcissism of the researcher. The physical and verbal violence from her older brother has so far been found to be deeply imprinted on the researcher and the wounds from the violenc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emergence of the narcissistic image of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have confirmed that her self-growth or healing has prog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work to the extent that she is no longer affected by the woun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true self begins from acknowledging the self as it is now by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arcissistic self image. Now, the researcher hopes be able to leave this study behind and move on to work for the society and community surrounding herself.

      • KCI등재

        온라인 기사 사칭 광고에 대한 적대감과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호진(Hojin CHOI),이연준(Yeon Jun LEE),전종우(Jong Woo J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31

        본 연구는 인터넷신문에서 자주 집행되는 기사 사칭 광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기사 사칭 광고는 기사 형식을 빌려 정보를 제공하며 주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정보 제공 형태와 목적으로 인해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기사 사칭 광고에 대한 적대감과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종합적 사고경향은 기사 사칭 랜딩 광고에 대한 적대감과 광고회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염려도 광고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광고 신빙성은 광고 적대감과 광고회피를 줄이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광고 방해성과 혼잡도는 광고 적대감과 광고회피를 모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도한 광고로 우려를 자아내는 인터넷신문 광고 시장에서 특정한 광고 형태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보여주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학문적인 연구는 물론 광고 규제에 대해 실무적으로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article-type advertisements that are frequently published in Internet newspapers. Article-type advertisements provide information by borrowing the form of an article, and often require personal information. The form and purpose of article-type advertisements is often ethically problematic.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nimosity towards article-type advertisements and advertisement avoida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olistic thinking tendency increased the animosity towards the article-type landing advertisement and the advertisement avoidance. Privacy concerns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advertising. Ad believability was confirmed as a variable that reduced ad animosity and ad avoida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advertisement impediment and clutter increased both advertisement animosity and advertisement avoidance.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are reluctant to certain types of advertisements in the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 market, which is a cause for concern due to excessive advertis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