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의 정서 단어 분류에 기반한 정서 분류와 선택 방법

        이신영 ( Shin Young Rhee ),함준석 ( Jun Seok Ham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1

        최근에 사용자에 의한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가 발생하면서 사용자의 정보, 의견 등을 분석하는 오피니언마이닝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오피니언 마이닝 중 특히 정서 분석은 제품, 사회적 이슈, 정치인에 대한호감 등에 대한 개인적 의견이나 정서를 분석하여 긍정, 부정이나 행복, 슬픔 등의 정서를 분석하는 연구 분야이다. 정서 분석을 위해서 정서 차원 이론의 정서가와 각성 차원의 2차원 공간을 사용하고, 이 공간에서 정서가 분포하는 영역을 설정하여 매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정서의 분포 영역을 임의로 설정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정서 단어 목록을 사용해 사용자 설문을 실시하여 2차원 상에 12개 정서의 분포를 구성하였다. 또한 2차원 상의 특정 정서 상태가 여러 개의 정서에 중첩되는 경우, 정서에 소속될 확률을 사용한 룰렛휠 방법을 사용하여 하나의 정서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추출하여 텍스트를 정서로 분류할 수 있다. Recently, a big text data has been produced by users, an opinion mining to analyze information and opinion about users is becoming a hot issue. Of the opinion mining, especially a sentiment analysis is a study for analysing emotions such as a positive, negative, happiness, sadness, and so on analysing personal opinions or emotions for commercial products, social issues and opinions of politician. To analyze the sentiment analysis, previous studies used a mapping method setting up a distribution of emotions using two dimensions composed of a valence and arousal. But previous studies set up a distribution of emotions arbitrari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composed a distribution of 12 emotions through carrying out a survey using Korean emotion words list. Also, certain emotional states on two dimension overlapping multiple emotions, we proposed a selection method with Roulette wheel method using a selection probability. The proposed method shows to classify a text into emotion extracting emotion terms from a text.

      • KCI등재

        정서 차원 공간에서 소설의 지배 정서 분석 및 분류

        이신영(Shin-Young Rhee),함준석(Jun-Seok Ham),고일주(Il-Ju Ko)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3

        소설, 블로그, 채팅 메시지, 상품평 등의 텍스트는 전반적인 정서의 흐름을 가지고 있다. 텍스트 간의 정서 흐름의 유사도를 비교하면 유사한 정서 흐름을 갖는 텍스트를 분류할 수 있고, 상품 추천이나 의견 수집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쾌-불쾌, 활성화의 2차원으로 분석하여 텍스트의 정서 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텍스트의 순차적인 흐름을 시간 차원으로 설정하여 텍스트의 전반적인 정서 흐름인 ‘지배 정서(dominant emotion)’를 파악하기 위하여 쾌-불쾌, 활성화, 시간의 3차원 공간에서 정서 흐름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 3차원 공간 안에서 유클리드 거리를 사용하여 지배정서 흐름의 유사도를 계산함으로써 유사한 정서 흐름을 가지는 텍스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한국 근대 단편 소설들을 분석하여 지배 정서를 분석하였고 유사한 지배 정서를 가지는 소설들을 분류하였다. The text such as stories, blogs, chat, message and reviews have the overall emotional flow. It can be classified to the text having similar emotional flow if we compare the similarity between texts, and it can be used such as recommendations and opinion collection. In this paper, we extract emotion terms from the text sequentially and analysis emotion terms in the pleasantness-unpleasantness and activation dimens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motional flow of the text. To analyze the ‘dominant emotion’ which is the overall emotional flow in the text, we add the time dimension as sequential flow of the text, and analyze the emotional flow in three dimensional space: pleasantness-unpleasantness, activation and time. Also, we suggested that a classification method to compute similarity of the emotional flow in the text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in three dimensional space. With the proposed method, we analyze the dominant emotion in korean modern short stories and classify them to similar dominant emotion.

      • KCI등재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정서 단어의 정서가, 활성화 차원 측정

        이신영 ( Shin Young Rhee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사용자가 생성한 텍스트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오피니언 마이닝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견을 추출하고 있다. 특히 오피니언 마이닝의 세부 분야인 정서 분석에서는 텍스트에서 사용자의 정서를 추출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정서 단어 목록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정서 분석을 위해서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 텍스트를 사용하여 정서 단어 목록을 구축하였다. 페이스북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후 정서 단어를 선별하고 설문을 통하여 정서가와 활성화 차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가, 활성화 차원을 포함한 267개 정서 단어 목록을 구축하였다. User-created text data are increasing rapidly caused by development of social media. In opinion mining, User`s opinions are extracted by analyzing user`s text. A primary goal of sentiment analysis as a branch of opinion mining is to extract user`s opinions from a text that is required to build a list of emotion terms. In this paper, we built a list of emotion terms to analyse a sentiment of social media using Facebook as a representative social media. We collected data from Facebook and selected a emotion terms, and measured the dimensions of valence and activa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we built a list of 267 emotion terms including the dimension of valence and activation.

      • KCI등재

        링크구조분석을 이용한 스팸메일 분류

        이신영(Shin Young Rhee),길아라(Ara Khil),김명원(Myung 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1

        기존의 내용기반 스팸메일 분류는 전자메일이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고 텍스트는 적게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내용을 분석하기 어려우므로 스팸메일을 분류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자메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링크구조분석 스팸메일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것은 전자메일 안의 하이퍼링크의 개수와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웹 문서들이 다른 웹 문서에 의해 링크된 수를 측정하여 전자메일의 중요도를 계산한 후 의사결정트리를 학습하여 스팸메일과 정상메일을 분류한다. 또한 위의 링크구조분석 알고리즘과 하이퍼링크의 서버 주소만을 이용한 변형된 링크구조분석 알고리즘, 그리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내용기반 방법을 다수결 원칙으로 결합한 통합 스팸메일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링크구조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내용기반방법 보다 스팸메일 분류 정확도가 94.8%로 약간 향상되었으며 또한 통합 스팸메일 분류 시스템도 내용기반 방법과 비교하여 향상된 97.7%를 나타냈다. The existing content-based spam mail filtering algorithms have difficulties in filtering spam mails when e-mails contain images but little text.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efficient spam mail classification algorithm that utilizes the link structure of e-mails. We compute the number of hyperlinks in an e-mail and the in-link frequencies of the web pages hyperlinked in the e-mail. Using these two features we classify spam mails and legitimate mails based on the decision tree trained for spam mail classification. We also suggest a hybrid system combining three different algorithms by majority voting: the link structure analysis algorithm, a modified link structure analysis algorithm, in which only the host part of the hyperlinked pages of an e-mail is used for link structure analysis, and the content-based method using SVM (support vector machin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ink structure analysis algorithm slightly outperforms the existing content-based method with the accuracy of 94.8%. Moreover, the hybrid system achieves the accuracy of 97.6%, which is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e existing method.

      • KCI등재

        정서 단어 부정어가 정서가의 극성 전환 및 약화에 미치는 영향

        이신영(Shin-Young Rhee),함준석(Jun-Seok Ham),김미선(Mi-Sun Kim),방그린(Green Bang),고일주(Il-Ju Ko)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1

        오피니언 마이닝과 정서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정서 단어에 부정어를 붙일 경우 긍정, 부정의 극성과 값이 뒤바뀐다고 가정하고 부정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정서 단어데 부정어가 발생했을 때 극성이 어느정도 바뀌는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정서 단어와 그 부정형에 대해서 정서가와 각성 차원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서 단어에 부정형이 올 경우 정서가와 각성 차원의 중간 수준을 기준으로 극성을 뒤바꾸고 값은 약 30~50% 약화되었다. 이 결과를 오피니언 마이닝과 정서 분석 연구에서 부정어를 처리하는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have supposed that the polarity and value of an emotional word is reversed when a negation word is attached. However, there are no quantitative studies on how much the polarity is changed when a negation word is following. Therefore, we measured the valence and arousal dimensions for Korean emotional words and their negations. Consequently, the polarity of valence and arousal was reversed on their intermediate level. Also, the value was reduced by about 30% to 50%. We propose this result as a guideline for processing negation words for studies on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한 교사와 학생 간 영어 교육 실태 비교연구

        이근민(Rhee Kun Min),김동옥(Kim Dong Ok),이신영(Lee Shin Young),박혜정(Park Hye Jung),최봉근(Choi Bong Geun),허서윤(Heo Seo Yo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해 영어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청각특수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영어교육의 필요성은 학생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이유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취업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은 현재 하고 있는 수업 시수인데 교사는 3시간이상이 78.2%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4시간 이상이 48.3%으로 가장 높았다. 이 수업시수에 대한 만족도는 교사는 '만족' 이상이 60.8%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만족' 이상이 15.5%로 나타나 교사와 학생들의 만족하는 수업 시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수업 시 가장 도움이 될 보조도구로는 컴퓨터용 학습 프로그램이 65.2%로 교사는 나타났고, 학생은 스마트 기기용 학습 프로그램으로 36.2%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 변화되는 학습보조도구를 선택하고 있으며, 교사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하기 편리한 컴퓨터를 선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학습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보조도구와 교사의 지도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컴퓨터 학습에서 사용되어지는 교육용 보조도구가 필요하다. 결론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영어학습보조구도 필요하지만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개개인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교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tudents and English teachers at special school through a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wareness of teachers for the need of English education is higher than the one of students, but both of them think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highest difference was found in class hours. 78.2% of teachers prefer 'more than 3 hours', but 48.3% of students prefer 'more than 4 hours'. In addition,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ass hours, 60.8% of teachers said they were quite satisfied, however 15.5% of students did, which show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class hours that both prefer. It was found that 65.2% of teachers considered computer-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assistive device for a class and 36.2% of students considered smart device-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one. It means tha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changing learning assistive devices and teachers choose the one which is convenient for teaching a whole class. Furthermore, 37.8% of students answered that development of smart applications is necessary, but teachers didn't answer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m. Then, we found that development of educational assistive devices used in computer-based learning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capability of teachers. In conclusion, we'd like to suggest that smart assistive devices for English learning is necessary and further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 system to support individual learning is also necessary.

      •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이향연(Hyang-yon Rhee),박선자(Sun-ja Park),유정숙(Jung Sook Yoo),이신영(Shin Young Lee),장지영(Jiyoung Ja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1)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2) teacher’s perception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cont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in 7th an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29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12 science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20 items over three sub-categories: the nature of science, the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erience on ethi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lso consisted of three sub-categories: percep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perception in middle school ethics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pinions of that.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28.3% of students learned about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school, 69.4%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n internet-copied homework and 26.4% of them had falsified experimental data. STS topics were contained in 7 of 12 units of a 7th grade science textbook but they were not relate to ethical issues. Neither ethical issue nor STS topic was not found in 8th grade science textbook. All participated science teachers were positive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y reported some barriers such as lack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nd their les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Some of them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드라마 대본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인공정서 캐릭터 개발 - ``솔약국집 아들들``을 중심으로

        함준석 ( Jun Seok Ham ),이신영 ( Shin Young Rhee ),방그린 ( G Reen Bang ),고일주 ( Ii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2

        본 논문은 드라마 대본으로부터 성격을 추출해 내고, 추출된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드라마 대본을 이용하여 등장인물의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마 대본에서 등장인물 별로 텍스트를 분리한다. 분리된 텍스트에 대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형태소들을 정서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서 단어를 이용하여 지배정서를 분석한다. 분석된 지배정서를 인공정서의 성격을 결정하는 수식에 반영하여 캐릭터의 성격을 설정한다. 드라마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인공정서 캐릭터를 검증하기 위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외관상 동일한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각각 서로 다른 등장인물의 성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어떤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것인지 맞추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사용자들은 높은 비율로 정답을 맞추었고,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이 잘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looks to extract personality traits from the drama characters within a drama script, and to apply it them to a character that has an artificial emotion. The method of applying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from a drama script is as follows. First, we separate a drama script into several pieces, by the characters therin. Next, we extract emotion-related terms by matching morphemes analysis and by using an emotion terms database. Next, we analyze a dominant emotion using extracted emotion terms. Finally last, we apply the analyzed dominant emotion to an equation pertaining to artificial emotion. We made progress in developing user evaluation that features blind testing, to verify that the artificial emotion character bears the personality of a drama character. We apply three drama character personalities to artificial emotion characters bearing the same appearance. The user had to match three artificial emotion characters and drama characters according to personality. The users ha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us confirming the efficacy of our method of applying a personality, using information from a drama script.

      • KCI등재

        텍스트의 정서 단어 추출을 통한 문학 작품의 정서 분석

        함준석 ( Jun Seok Ham ),이신영 ( Shin Young Rhee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단위 시간 동안 주로 작용하는 정서를 ``지배적 정서(dominant emotion)``라고 정의하고, 문학작품의 지배적 정서 흐름을 자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한국어는 언어 구조적 특성상 접미어에 따라 의미가 역전되거나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소설이나 수필 같이 일정 이상의 분량을 가진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면 어느 정도 추출이 잘못되어도 지배적 정서 흐름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 다. 문학작품에서 지배적 정서를 추출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작품의 전체 텍스트에서 형태 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단어를 정서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적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를 분리해 낸다. 분리된 단어들을 정서 모델에 사상하여 해당 단어가 갖고 있는 정서를 도출한다. 도출된 정서 단어들을 통해 지배적 정서를 분석한다. 제안한 방법론에 따라 현진건의 현대소설 ``운수 좋은 날``과 윤오영의 수필 ``방망이 깎던 노인``을 분석한 결과, 지배적 정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We define a ``dominant emotion`` as acting dominantly for unit time, and propose methodology to extract dominant emotion in a literature automatic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able to be changed or reversed owns meanings as desinence. But it might be possible to extract a dominant emotion in a text has a small quantity like a fiction or an essay. A process to extract a dominant emotion in a literature is as follows. At first, extract morphemes in a whole text. And dispart words having emotional meaning as matching emotion terms database. Map disported terms to a affective circumplex model and matching it with basic emotion. Finally, analyze dominant emotion according to matched basic emotion. And we adjust our methodology to two literature; modern fiction ``A lucky day`` by Jingeon, Hyun and essay ``An old man who shave a bat`` by Woyoung, Yu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grasp flows of dominant emotion.

      • KCI등재

        뇌성마비 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능력 향상을 위한 매크로 프로그래밍 효과에 대한 연구

        이근민,이신영,권상남,이진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This study is to develop USB type device software which it can easy to manipulate and carry, and developed software program makes disabilities and their caregivers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 and make no difficulties to manipulate. In addition, we made a Hangul guardian that User can easily follow and it help user to modify each feature of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ducts developed, we have tested domestic, overseas and developed macro-featured software to participants who use a computer and no use assistive device that is able to effect on effectiveness to computer access in order to verify the speed for working time. As a result, we have found reducing the number of errors from the repetitive tasks through automation and working time and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work in participants who are cerebral palsy during features programmed test to allow easy access. This macro features developed software is prove of effectiveness that it can help participants who are cerebral palsy to maintain working task and reduce their working time and to gain vocational skill. 본 논문에서는 휴대가 용이하며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방법이 쉬운 USB형태의 매크로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용자인 장애인뿐만 아니라 그 보호자도 조작하기 쉽도록 하여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 및 보호자가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한글 안내서로 제작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각 기능의 특성을 변경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제품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보조기기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컴퓨터 접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별도의 대체접근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매크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국내용, 해외용, 개발용으로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로 기능을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하여 적용한 실험에서 자동화를 통해 반복되는 작업오류 횟수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뇌병변장애인의 작업시간을 줄였으며, 작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었다. 이는 매크로 기능의 소프트웨어가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능력을 향상을 시켜 뇌병변 장애인의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직업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개발된 뇌병변 장애인용으로써 소프트웨어의 효과성을 입증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