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그의 유비 이해

        이용규 ( Yong Kyu Lee ),이신열 ( Samue Y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2 No.-

        판넨베르그(Wolf hart Pannenberg)는 유비 개념을 비판하면서 유비 (analogy) 대신에 송영의 개념(a concept of doxology)을 제안한다. 그에게 송 영적 진술은 “찬양의 행위”(act of adoration)이지만 그의 신학체계 안에서 송영적 언어는 학문적 언어가 아니므로 이것의 사용은 신학함의 가능성을 부인하게 될 뿐 아니라 진리에 대한 회의주의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즉 그 의 송영에 대한 주장은 그의 신학적 방법의 전제들과 상충되는 것이다. 그 는 예수 부활의 확실성은 역사적 연구를 통해 주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물론 부활은 실제로 일어난 시간과 장소를 가지는 객관적이고 역사적 사건 이지만, 동시에 시간과 장소의 모든 한계를 넘어서는 사건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신약성경에 나타난 빈 무덤 전승과 부활하신 주의 출현은 신앙 고 백적이며 송영을 불러일으키는 사건이다. 판넨베르그에게 부활의 역사성을 말할 수 있는 존재 유비(analogia entis )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비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송영은 불가지론에 빠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적인 유비 이론을 재진술하고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부활의 역사성을 말할 수 있는 근거로서 구속사적 모형 유비(redemptive typological analogy)를 생각할 수 있다. 이를테면, 건물로써 옛 성전과 새 성 전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유비가 언급될 수 있다. 예수께서 예언하신 대로 유대인들은 그분의 몸(참 성전)을 파괴했고, 그분은 사흘 만에 부활하셨다. 모형 유비는 철저히 신학적 진술이고 일종의 ‘요청되는’개념이다. 따라서 우리가 하나님께 대해 진술할 때 구속사적 모형 유비는 우리의 인식 능력의 한계와 인간의 언어가 지닌 근본적인 제약성을 지적하면서도 그리스도 안에서 신앙의 역사적 기반과 신학의 학문적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될 것이다. Wolfhart Pannenberg carried out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analogy at the beginning of his theological career. While criticizing this concept, he had selected the concept of doxology for his theological program. But for Pannenberg, who strongly advocates the universal character of theology, doxology is merely an “act of worship” and thus is not a scientific language. It meant for him there is no possibility of theology, but raises a skepticism regarding its truth in his decision to choose doxology in place of analogy. Christologically speaking, Pannenberg claims the certainty of Jesus`` resurrection should be proved by historical studies. He wants to demonstrate it by using the “hope of the universal resurrection of the dead” that appeared in the apocalyptic literatures of Israel, However, this “hope” is a concept based on theological concept rather than historical method. Jesus`` resurrection actually happened in time and history and in this sense it is a historic event. An empty tomb as well as appearances of the risen Christ in the New Testament provides an occasion to justify the concept of doxology in the mind of Pannenberg. Consequently, there is no theological room left for him to utilize the analogy of being (analogia entis) in his effort to guarantee the historicity of Jesus` resurrection. In this essay,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redemptive typological analogy as an evidence for the historic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e can mention the new temple and the old temple as examples of redemptive typological analogy. As Jesus had foretold, the Jews destroyed the body of Jesus (the true temple), and he was resurrected on the third day. Therefore, when we try to describe God in our theological language, a redemptive typological analogy is a good mean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historicity of Jesus Christ as well as a scientific basis in our theological discussion regarding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