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교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Lee, Shindong(李信東)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 No.-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방법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목적 하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조사를 수행했다. 첫째, 교수방법의 개념적 틀을 4가지-교수목표, 교수-학습의 내용, 교수-학습의 경험, 학습의 평가-로 수립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교수방법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수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밝혀진 교수방법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① 많은 교수들이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39.2%), ②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이유로 많은 교수들이 시간의 부족(38.8%)을 꼽고 있고, ③강의를 위한 주 교재가 빈약하고(66.3%가 1권만 선택), ④ 교수 내용의 전달방법이 지나치게 설명 위주의 강의에 의존하고(67.0%), ⑤ 학점 산출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상대 평가를 지나치게 사용하고 있었다(23.7%). 둘째, 교수방법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은 교수내용의 전달방법이었다. 이어서 교수내용의 전달방법 중에서 가장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기술'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강의 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63.9%의 교수들은 현 강의 평가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웍샾이나 세미나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전체교수의 67.1%가 웍샾이나 세미나에 참석한 경험이 없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석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iz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expanded rapidly after 1970.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brought several problems to our country. The increasing numbers and the changing characte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gradually show up a need to reconsider ways of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is tr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ind out effective ways of teaching in univers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and to find out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in university. 1. The survey showed the following problems in ways of teaching: 1) 39.2% of 176 professors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which they set in advance. 2) 38.8 of 67 professors who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answered because they did not have time enough to obtain the goals. 3) 66.3% of 175 professors took only one book for textbook. Just one book for semester is not enough. 4) 67.0% of 176 professors delivered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lecture. Only 15.3% of them took advantage of a few of dissuasion methods. This results reveal our teaching methods are not diverse. This point has to be improved soon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high-order thinking. 5) 23.7% of 177 professors took advantage of norm-referenced evaluation. 2. The points which the improvement is called for are as follows: 1) Professors have to obtain all teaching goals. If not, they have to try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it. 2) Professors have to give all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rea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3) Professors should try to get used to diverse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thod, role play etc. 4) Professors should stick to criteria-referenced evaluation rather than norm-referenced evaluation.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 특성에 대한 교사 인식

        이경숙(KyungSook Lee),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1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 교사 및 영재 교사 177명을 대상으로 영재성과 환경과의 관계, 소외계층 영재의 특성, 선발과 교육과정 및 이를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영재성은 가지고 태어나지만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지 않으면 사장되며, 영재성이 성별, 문 화, 인종에 비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서는 덜 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 학생 개인의 노력만으로 영재성이 발현되는 것에 대해 2.08로 낮은 점수를 주어 영재성 발현에 있어 개인 노력보다는 환경 영향이 큰 것으로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소외계층 영재 선발을 위한 적절한 구인으로 창의성, 과제 집착력, 인지, 리더 십, 자존감 순으로 평가되어 창의성, 과제 집착력, 인지적 특성이 소외계층 영재의 특 성으로 교사들은 인식하며, 리더십, 사회성, 자존감은 다른 능력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소외계층 영재 선발에서 리더십, 상대방 이해 등은 적절하지 않은 구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계층 영재의 과소선발의 이유로 교사들은 선발방법이나 교육구조의 모순보다는 결핍적 환경으로 인한 인지 격차를 주요인으로 보았으며 환경이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능력 부족으로 보는 귀인오류경향이 조사되었다. 교사들 은 일반 영재보다 소외계층 영재에 대한 이해가 더 낮으며 교사추천에서도 소외계층 영재추천을 더 어려워하며, 영재교육이나 소외계층 영재 경험이 없는 일반 교사가 더욱 낮은 이해와 어려움을 보였다. 소외계층 영재 프로그램은 사회•정서적 발달을 내 용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177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ness and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identification and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for these gifted students, and their own capacity to identify and teach them.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giftedness could die out without educational support a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a gifted student might be more affected by parental social-economic status than by gender, culture or race. They gave the lowest point (2.08) to show the belief that giftedness could not be developed through only the students’ individual endeavor, suggesting that environmental support played a key role in nurturing giftedness. They thought the appropriate factors to identif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re creativity, task-commitment, cognitive ability, leadership, and self-esteem, in this order such that leadership and self-esteem were the weakest indicators. They regarded cognitive disparity caused by deficient family environment as the reason for underrepresentation of these students rather than improper identification methods and unsuitable school cultures or systems. The teachers found i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han other students. Teachers without any educational experience in dealing with gifted students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not) faced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ith relevant experience. The study shows that programs for gifted low income students are required for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차이

        심명보(Shim MyungBo),이신동(Lee ShinDo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가정환경, 메타인지, 창의적 사고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생 105명과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학생 111명 총 216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검사, 메타인지 검사, TTCT 검사(언어, 도형)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가정환경에서는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에서,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과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가정환경에서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정환경의 모든 하위요인들, 메타인지에서는 영재학생의 학습관리와 도형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이 모든 창의적 사고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가정환경과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하위요인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하위요인은 인지전략 수준과 메타인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고, 가정환경 및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변인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과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e abilities i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It also reveal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on the creative abilities. Subjects included the total 216 students, who are 105 gifted students from the institute of gifted education and 1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asked to take a family background checkup, metacognition test and TTCT test(language and fig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the subfactors in the field of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abilities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showed that all the family background factor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creative abilities.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metaconition and creativity also showed that all the metacognitive factors are meaningfully related to creative abilities except for learning management and figure creativity in the gifted students. Third,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both influence creative abilities. When students’ creativities are influenced by the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s,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 case of metacognition,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cognitive straetegies and, metacognition levels.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ulted by the investigations and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 with subfactor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thinking skills with new program development related with them.

      • KCI등재

        대학의 교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李信東 順天鄕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 No.-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방법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목적 하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조사를 수행했다. 첫째, 교수방법의 개념적 틀을 4가지-교수목표, 교수-학습의 내용, 교수-학습의 경험, 학습의 평가-로 수립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교수'방법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수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밝혀진 교수방법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① 많은 교수들이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39.2%), ②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이유로 많은 교수들이 시각이 부족(38.8%)을 꼽고 있고, ③ 강의를 위한 주 교재가 빈약하고(66.3%가 1권만 선택), ④ 교수 내용의 전달방법이 지나치게 설명 위주의 강의에 의존하고(67.0%), ⑤ 학점 산출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상대 평가를 지나치게 사용하고 있었다(13.7%). 둘째, 교수방법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은 교수내용의 전달방법이었다. 이어서 교수내용의 전달방법 중에서 가장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기술'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강의 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63.9%의 교수들은 현 강의 평가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웍샾세미나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전체교수의 67.1%가 웍샾세미나에 참석한 경험이 없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석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iz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expanded rapidly after 1970.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brought several problems to our country. The increasing numbers and the changing characto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gradually show up a need to reconsider ways of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is tr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ind out effective ways of teaching in univers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and to find out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teaching in university. 1. The survey showed the following problems in ways of teaching 1) 39.2% of 176 professors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which they set ill advance. 2) 38.8 of 67 professors who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answered because they did not have time enough to obtain the goals. 3) 66.,3% of 175 professors took only one book for textbook. Just one book for semester is not enough. 4) 67.0% of 176 professors delivered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lecture. Only 15.5% of them took advantage of a few of dissuasion methods. This results reveal our teaching methods are not diverse. This point has to be improved soon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high-order thinking. 5) 23.7% of 177 professors took advantage of norm·-referenced evaluation. 2. The points which the improvement is called for are as follows: 1) Professors have to obtain all teaching goals. If not, they have to try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it. 2) Professors have to give all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rea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3) Professors should try to get used to diverse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thod, role play etc. 4) Professors should stick to criteria-referenced evaluation rather than norm- referenced evaluation.

      • KCI등재후보

        피아노 영재의 행동특성과 연주유형의 관계 탐색

        이신동,곽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이화음악논집 Vol.12 No.2

        영재는 탁월한 능력에서 비롯되는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받아야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으나, 아직 피아노 영재분야는 발달과 심리적 특성을 파악한 과학적인 지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아노 영재교육의 기초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저명한 피아노 영재들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의해 피아노 영재성과 연주유형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했다. 피아노 영재성이란 피아노 연주에 대한 잠재력과 피아노 연주를 위한 기술적, 해석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하위요소인 피아노에 대한 연주 집착력, 연주 기술, 피아노 작품 해석력을 포함한다. 일반적 영재성에 비추어 피아노 영재성 역시 다양한 촉매요소를 통한 발달과정에 의해 우수한 연주라는 재능으로서 나타난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리스트, 굴드의 행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피아노 영재성을 바탕으로 탁월한 연주재능을 보였으며 개성 있고 창의적인 피아노 연주유형을 나타냈다. 분석된 피아노 영재들의 연구를 통해 우수한 학생에게는 훌륭한 음악환경을 제공하여 영재성이 발현되도록 하며, 꾸준한 노력과 창의성의 중요함을 인지시키고, 정서적 안정을 찾도록 피아노 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언한다. If the gifted get the proper education that conside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aused by excellent ability, they can reveal maximum potentials and self-actualization. In the piano gifted education fiel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guidance lacks which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rominent piano gifted is analysed to offer the fundamental direction for the piano gift educ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gifted and the piano performance pattern is searched. Piano giftedness is a concept of the potential and the skill for piano performance and the interpretation ability, including the performance commitment to piano, performance skill, and the interpretative ability of piano musics as sub- factors of giftedness construct. In light of the general giftedness, piano giftedness also appears in the capacity of the excellent performance talent by the developmental process through the various catalyst elements. Mozart, Beethoven, Chopin, Liszt, and Gould were subjects for this research and the result of analysis from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them that they all showed the excellent piano performance talent based on the piano giftedness and exhibit their individuality creative piano performance pattern.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and analysis to the piano gifted, I found we need to provide the gifted with a good musical environment, the education direction for piano giftednes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teady ef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