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숲길에 대한 국민과 이용객 인식조사: 지리산둘레길과 대관령숲길을 중심으로

        이수광,김근현,Lee, Sugwang,Kim, Geun Hyeo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본 연구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일반 국민 1,200명과 국가숲길(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국가숲길에 대한 인식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숲길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국가숲길 제도의 필요성, 이용의사와 추천의사는 유의한 수준으로 이용객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가숲길 이용목적, 선택이유, 관심사항, 문제점, 필요규제, 기대역할에 응답한 1순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일반국민과 이용객의 관심사항과 희망하는 활동사항 간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경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숲길에 올 수 있도록 하는 유인인자로 경관을 우선시하여 주요 조망점들에 대한 세부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 일반국민과 이용객이 원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에게 국가숲길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takeholders to establish and promote policies related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Awareness analysis was conducted on 800 visitors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specifically to the Jirisan trail and Daegwallyeong forest trail, as well as 1,200 members of the public. Awareness of the national forest trail was low and at a similar level for both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visitors had a higher need for the national forest trail system and were willing to visit and recommend the trail. The most common answers in response to the purpose of visit, reason for choosing the national trail, matters of interest, problems, necessary regulation, and role expectations were similar among the visitors and general public. Based on gender and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ters of interest and desired activity, but "scenery" was the most crucial factor. Therefore, after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major view points, given that "scenery" was identified as an attractor, a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identify and provide the information desired by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employed as basic data for stakeholders i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 KCI등재

        마른멸치(Engraulis japonicus) 대용으로서 마른청어(Clupea pallasii)의 관능 및 지질 특성

        이수광 ( Sugwang Lee ),김용중 ( Yongjung Kim ),허민수 ( Minsoo Heu ),김진수 ( Jimsoo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nsory and lipid characterizations of boiled-drie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PH) as a substitute for boiled-dried anchovies (A). The crude lipid content of commercial boiled-dried PH ranged from 1.3 to 5.1%,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boiled-dried A (2.2-5.1%). The peroxide values (POVs) of commercial boiled-dried PH ranged from 20.5 to 129.1 meq/kg. The POVs of commercial boiled-dried PH suggest that boiled-dried PA of high quality should be controlled by a POV standard similar to that of boiled-dried A. The trichloroacetic acid soluble-nitrogen (TCA soluble-N) content of commercial boiled-dried PH ranged from 495.7 to 998.6 mg/100 g, which was high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 boiled-dried A (372.6-690.0 mg/100 g).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commercial boiled-dried PH ranged from 8.4 to 28.1 mg/100 g, which was low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 boiled-dried A (16.8-33.0 mg/100 g). Results from the lipid, POV, TCA-soluble- N, and VBN content analyses suggest that boiled-dried PH could be used as a substitute for boiled-dried A.

      • KCI등재

        백두대간 마루금 선자령순환등산로의 숲길훼손실태 연구

        이수광 ( Sugwang Lee ),이진규 ( Jinkyu Lee ),김명준 ( Myeongjun Kim ),방홍석 ( Hongseok B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백두대간 마루금 선자령순환등산로 4.3 ㎞에서 정성적으로 평가되는 훼손등급을 적용하여 숲길훼손이 발생된 구역의 구체적인 데이터와 조사방법을 제시하고, 조사항목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선자령순환등산로의 평균 노폭(1.7 m)과 나지폭(1.4 m)은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에 비해 매우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훼손비율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성적인 기준으로 평가된 훼손등급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훼손등급 강의 경사도는 20.1%, 침식깊이는 평균 13.3 ㎝, 중앙 16.1 ㎝, 침식량 16.2 ㎠로 나타났으며 토양경도는 평균 12.3 ㎏/㎠(20.1 ㎜), 최대 39.3 ㎏/㎠(29.6 ㎜)로 나타났다. 훼손등급과 경사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능선보다 산복에서 평균과 중앙의 토양침식깊이가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토양경도는 횡단 측정위치와 방법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자령순환등산로는 경사도가 20% 이상인 구간에서 훼손이 발생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고정조사점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숲길설계와 관리에는 경사도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We conducted a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vestigated factors and provide a methodology and generate data by applying deterioration classes to the Seonjaryeong Forest Trail (4.3 ㎞) in the Baekdudaegan Ridge. The average trail width (1.7 m) and bare width (1.4 m) were wider than those obtain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requency of trail deterioration was also high. Specific data on deterioration classes were obtained and evaluated using qualitative criteria. Specific data for heavy class stands at 20.1% in trail grade, 13.3 cm on average, and 16.1 cm in the center of erosion depth, 16.2 cm of CSA, 12.3 kg/cm (20.1 ㎜) on average and maximum 39.3 kg/cm (29.6 ㎜) of soil hardness. We observ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class and trail grade, and the average and maximum soil erosion depths of the hill side were deeper than those of the ridge. The soil hardness dat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transect site and calculation method (㎏/㎠, ㎜). Therefore, trail deterioration was observed at the sites having ≥20% trail grade; thus, continuous monitoring at fixed sites over time will be required for sustainability. Furthermore, the trail grade should be of the utmost priority in trail design and management.

      • KCI등재

        인제 자작나무 숲의 수용력 산출기법 연구

        이수광(Lee, Sugwang),이진규(Lee, Jin-Kyu)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인제 자작나무 숲의 핵심이용공간의 이용특성을 파악하고, 수용력을 산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개방된 산림휴양활동 공간의 수용력을 산출하는 적정 기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성수기인 2020년 1월 17일(평일)과 1월 18일(주말)의 인제 자작나무 숲 출입구와 핵심이용공간의 시간대별 이용객 수를 바탕으로 이용특성과 수용력을 도출하였다. 물리적 수용력 도출 결과 핵심이용공간은 110명~374명, 자작나무 숲 광장은 68명~230명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이용공간의 1일 물리적 수용력은 880명~5,984명으로 나타났다. 자작나무 숲 광장의 사회·심리적 수용력은 54명~167명으로 도출되었다. 종합적으로 자작나무 숲 광장의 수용력은 선호수준 72명~108명, 허용수준 167명, 한계수준 230명으로 분석되었다. 인제 자작나무 숲 출입구 입장객 수와 핵심이용공간 및 자작나무 숲 광장 입장객 수의 관계분석을 통해 산출식을 도출하였으며, 수용력에 적용한 결과 인제 자작나무 숲의 1일 입장객 수는 선호수준 2,715명~4,418명, 허용수준 7,209명, 한계수준 10,190명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제 자작나무 숲의 물리·사회·심리적 수용력, 그리고 이용수준에 따른 입장객 수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여가활동 공간의 수용력을 산출하는데 적용이 가능하고 이용수준에 따른 이용객 관리정책을 설정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visitors’use characteristics at hotspot in Inje birch forest and suggest the suitable evaluation method for the carrying capacity in public forest recreation area through different approaches. The visitors’use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visitors per hour at Inje birch forest’s entrance and hotspot on weekday (Jan.17) and weekend (Jan.18) during the peak season. As a result,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ranged from 110 to 374 for hotspot and from 68 to 230 for Inje birch forest square, while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per day ranged from 880 to 5,984 for hotspot. Also, the social·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ranged from 54 to 167 for Inje birch forest square. This suggests that the visitor preferred use level at Inje birch forest square ranged from 72 to 108,167 for acceptable use level, 230 for limiting use level. This study also found the significant relation of the number of visitors at hotspot and Inje birch forest square, respectively with the total entrance counts at Inje birch forest and suggested the linear regression model. Each carrying capacity for Inje birch forest square was substituted into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he visitor preferred use level was expected to range from 2,715 to 4,418, acceptable use level of 7,209 and limiting use level of 10,190. This study has great contributions in terms that it evaluated the number of visitors in Inje birch forest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social·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and use level. The result will be available to evaluate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forest recreation area and build the visitor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use level.

      • KCI등재

        숲길에 대한 10년간의 언론 인식분석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광 ( Sugwang Lee ),김근현 ( Geunhyeon Kim ),이진규 ( Jinkyu Lee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1 산림경제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2011년∼2020년)간 숲길과 관련된 주요 이슈와 프레임은 무엇인지 언론 기사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숲길과 관련된 뉴스기사는 27만 건으로 2019년까지 매년 평균 17.8% 증가하였으나 2020년은 5.5% 감소하였다. 단어빈도, N그램, CONCOR 분석결과 ‘숲길 조성사업’이 주요 이슈와 프레임으로 도출되었다. 하지만 2020년도는 코로나 19로 인해 기존과는 다른 프레임으로 언론에 보도되었다. 결론적으로 숲길과 관련된 기존의 언론보도 기사는 숲길 조성사업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2019년 ‘미세먼지’와 2020년 ‘코로나19’ 등 갑자기 발생한 사회문제에 있어 숲길이 하나의 대응방안과 해결공간으로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숲길이 단순히 걷고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휴양의 대상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장소로 확장되어 인식되고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과학적 근거 구명과 이를 통한 체계적 조성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효율적으로 숲길을 관리하고 대응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ain issues and frames associated with the ‘forest trail’ by applying the text mining after collecting the news articles that had been issued during the last 10 years. As a result, the forest trail construction project had been derived as a main issue and frame. However, unlike the past, there was a different frame on forest trail and broadcasted to media with the frame due to the Covid-19 in 2020. In conclusion, the forest trail has began to be presented as a space for responding to sudden social problems such as ‘particulate matter’ and ‘Covid-19’. This was recognized and became known as a place for solving social matters from the subject of recreation where forest trail were simply walked and healed. Therefore, the scientific basis for solving social issues reported in the media and the systematic construction through them should be supported, and policies to efficiently manage and respond to forest trails are needed.

      • KCI등재

        산림관광지로서 인제 자작나무 숲에 대한 소셜미디어 이용자 인식 연구

        이진규(Lee, Jin-Kyu),이수광(Lee, Sugwang),김성학(Kim, Seong-hak)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산림관광지로서 인제 자작나무 숲에 대해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인식하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작나무’, ‘자작나무 숲’, ‘인제 자작나무 숲’을 키워드로 설정한 후 검색량 추이를 파악하였고, 네이버, 다음의 블로그와 카페 글을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2년 개방 이후‘인제 자작나무 숲’에 대한 블로그 및 카페 글 수의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객 수는 자작나무 숲과 인제 자작나무 숲과 관련된 소셜미디어 글 수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작나무’ 키워드는 제품 관련 단어빈도가 높았으며 ‘자작나무 숲’과 ‘인제 자작나무 숲’은 장소와 지역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어 감성분석을 통해 산림관광지에 대해 긍정적인 ‘호감’의 감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자는 인제 자작나무 숲을 주로 가을과 겨울에 사진 찍으러 가는 여행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인제 자작나무 숲에 대해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인식하는 방문 목적, 시기, 연계된 다른 관광지 및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제군과 강원도 관광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정보를 추출한 점과 ‘자작나무’ 조림을 통한 대표적인 ‘자작나무 숲’으로 ‘인제 자작나무 숲’을 인식하고 있음을 도출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 perception of forest tourist site that the social media users have, which focused on the ‘Inje birch forest’. The result highlighted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volume of postings with ‘Inje birch forest’ and it implied a rise in users’ interest after opening the site in 2012. The result provided an evidence that the number of visito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ostings, related to the ‘birch forest’ and ‘Inje birch forest’. ‘birch’ was mostly found on the postings about particular goods and ‘birch forest’ on the postings about places and area. For ‘Inje birch forest’, the most of the postings were about the features of tourist site. The sentimental analysis of the words demonstrated that the users have a positive impression of the forest tourist site.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ivalance analysis provided an evidence that the social media users mostly perceive ‘Inje birch forest’ as a photo spot in fall and winter. This study accessed a practical data on the users’ perception of ‘Inje birch forest’ and identified the followings: purpose of use, time of visit, related other tourist site, and things to be improved. The data collected will be available to provide a guideline for building a tourism strategy. Also, the resul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find out the users’ perception of “Inje birch forest” as a representative of the ‘birch forest’ by forestation.

      • KCI등재후보

        국내 주요 숲길의 소셜미디어 이용자 인식분석

        이정수 ( Jung-soo Lee ),이수광 ( Sugwang Lee ),서정원 ( Jeong-weon Seo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주요 숲길인 지리산둘레길, 서울 둘레길, 백두대간트레일, 낙동정맥트레일, 백두대간마루금에 대해 소셜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 빈도 분석을 통해 ‘지리산둘레길 3코스’, ‘서울둘레길 8코스(북한산)’ 및 ‘2016’ 등 주요 숲길에서 단어 이용 빈도가 높은 구간과 시기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N그램 분석을 통해 ‘걷다→좋다’, ‘조망→좋다’ 등 단어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가 어떤 단어와 같이 사용되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감정단어 분석을 통해 ‘좋다’와 ‘힘들다’ 등 주요숲길에 대해 느끼는 전반적인 감정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또한 완주의 의미부여가 높은 지리산둘레길은 ‘포기하다’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주요 숲길의 소셜미디어 이용자 대상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은 핵심구간 및 특정시기 파악, 숲길 인식분석, 이용자 감정 파악 등 숲길 운영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방법 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loyed the text-mining analysis which is the one of big-data analysis methodologies and aimed to analyze a perception that the social media users have about the Korean major forest trails such as Jirisan Dulegil, Seoul Dulegil, Baekdudaegan trail, Nakdong-Jeongmaek trail and the main ridge of Baekdudaegan. First, the analysis on word frequency enabled to identify the trail section and time period with a high word frequency, such as ‘Jirisan Dulegil course 3’, ‘Seoul Dulegil course 8’ at Mt. Bukhan and ‘2016’. Also, the N-gram analysis clarified the meaning of word combination with a high frequency, such as ‘walk→good’ and ‘view→good’. The analysis on emotional words demonstrated the overall emotion that the users have about the Korean major forest trails, such as ‘good’ and ‘tough’. Also, it found that the Jirisan Dulegil users typically set a goal to complete it and it led them to use the word ‘give up’ frequentl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xt-mining analysis on the perception that the social media users have about the Korean major forest trails is a powerful methodology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forest trail such as identification of famous trail course, certain time period, perception about the forest trail and the trail users’ emotion.

      • KCI등재

        기분상태 척도에 의한 산촌체험 프로그램의 심리적 효과 분석 -산림전문가를 대상으로-

        이가영 ( Ga-young Lee ),백지희 ( Ji-hee Baik ),안기완 ( Ki-wan An ),서정원 ( Jeong-won Seo ),이수광 ( Sugwang Lee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1 산림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완도군 군외면 삼두리 산촌마을의 문화자원 및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촌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산림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산촌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한 후, 사전·사후의 기분상태 척도를 통해 심리적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산촌체험 프로그램에는 마을자원의 스토리텔링과 숲치유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체험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기분상태는 기분상태평가척도(K-POMS-B)로 측정하였고, 하위요인 6개 영역과 종합기분장애 값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증한 결과, 긴장(t=-4.710, p<.001), 우울(t=-4.556, p<.007), 분노(t=-4.555, p<.000), 활기(t=-4.713, p<.000), 혼돈(t=-3.639, p<.001), 피로(t=-4.713, p<.000), 종합기분장애(t=-4.708, p<.000)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긴장, 우울, 분노, 혼란, 피로의 감소와 활력의 증가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심리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developed a mountain village experience program using cultural and forest resources in Samdu-ri, Guoe-myeon, Wando-gun, experienced a mountain village experience program for 15 forest experts, and confirmed psychological changes through the Profile of Mood State before and after. In the experience program, storytelling of village resources and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presented. The before and after mood states of the experience program were measured with The Korea-Profile of Mood State-Brief(K-POMS-B), and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 test for 6 sub-factors and total mood disorder values, tension (t=-4.710, p<.001), depression (t=-4.556, p<.007), Anger (t=-4.555, p<.000), Vigor (t=-4.713, p<.000), confusion (t=-3.639, p<.001), fatigue (t=-4.713, p<.000), and general mood disorder (t=-4.708, p<.00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In other words, the decrease in tension, depression, anger, confusion, and fatigue and the increase in vitality appear to have had a psychological effect on the experience program.

      • KCI등재

        이산화황(SO<sub>2</sub>) 패드가 상온저장 중 곶감 및 감말랭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오성일 ( Sung-il Oh ),이수광 ( Sugwang Lee ),박효원 ( Hyowon Park ),김철우 ( Chul-woo Kim ),이욱 ( Uk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1

        본 연구는 곶감과 감말랭이의 국내 소비촉진과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이산화황 패드처리(Sodium metabisulphate 0, 0.5, 1.0, 2.0 g/kg)가 상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산화황 패드처리 는 곶감과 감말랭이의 중량, 수분감소율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 8주 후 곶감과 감말 랭이의 표면 색차(ΔE)는 무처리구에서 각각 6.0, 6.2로 가장 높은 반면, 이산화황 패드 2 g/kg 처리구에서 각각 4.8, 4.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곶감의 갈변도는 무처리구에서 0.65 O.D.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황 패드 0.5 g/kg 처리구 0.57 O.D. 와 이산화황 패드 1.0 g/kg 처리구 0.29 O.D., 이산화황 패드 2.0 g/kg 처리구 0.18 O.D. 순으로 나타나 이산화황 패드 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감말랭이의 갈변도는 곶감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곶감과 감말랭이의 부패 율은 저장 8주 후 무처리구에서 각각 33.3%, 36.7%로 가장 높은 반면, 이산화황 패드 2.0 g/kg 처리구에서 각각 3.3%, 6.7%로 가장 낮았다. 모든 이산화황 패드 처리구에서 잔류 이산화황 농도는 허용한계치 이내인 15.3∼30.0 ppm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산화황 패드처리는 곶감과 감말랭이의 갈변 및 부패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산화황 패드처리 2.0 g/kg가 곶감과 감말랭이의 저장 간 품질유지 및 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 of SO<sub>2</sub> treated pads (Sodium metabisulphate 0, 0.5, 1.0, 2.0 g/kg) on the quality of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were investigated. The SO<sub>2</sub> treated pads did not affect to weight, moisture loss rate,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The color change (ΔE) of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after storage for 8 weeks were the highest (value=6.0, 6.2) in control, whereas that was the lowest (value=4.8, 4.7) under SO<sub>2</sub> pad 2.0 g/kg condition, respectively. When we measured the browning degree of dried persimmons, they showed O.D. 0.65, 0.57, 0.29, and 0.18 in serial dilution treated pads with SO<sub>2</sub> pad 0, 0.5, 1.0, and 2.0 g/kg. The browning degree data from aforementioned dried persimmons after 8 weeks was similar to that from dried persimmons slices. The decay rate of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after storage for 8 weeks were the highest (value=33.3%, 36.7%) in control, whereas that was the lowest (value=3.3%, 6.7%) under SO<sub>2</sub> pad 2.0 g/kg condition,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SO<sub>2</sub> in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were detected within a safe range of 15.3∼30.0 ppm. Therefore, the shelf-life of dried persimmons and dried persimmons slices were lengthened in SO<sub>2</sub> treated pads (especially in SO<sub>2</sub> pad 2.0 g/kg) for inhibiting of browning and decay.

      • KCI등재

        시판 마른청어(Clupea pallasi) 및 마른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위생 특성 비교 및 품질기준 제시

        강상인 ( Sangin Kang ),이수광 ( Sugwang Lee ),김용중 ( Yongjung Kim ),김민주 ( Minjoo Kim ),박선영 ( Sunyoung Park ),허민수 ( Minsoo Heu ),김진수 ( Jinsoo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ood quality of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 as a substitute for boiled-dried anchovy. Standards for controlling quality of boiled-dried Pacific herring were suggested based on international (US FDA and CODEX) and domestic (Korean FDA, Standards on Quality of Seafood and Seafood Products, KS) standards for boiled-dried anchovy. The standards included requirements for moisture [less than 30% (less than 35 in very tiny sizes)], water activity (less than 0.85), salinity (less than 10%), water-phase salt (less than 20%), acid-insoluble ash (less than 1.5%), yeast and mold (fewer than 1.0×103 CFU/g), and different size and breakage (less than 5%). Based on the standards suggested,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passed nine levels (all levels) in water activity, acid-insoluble ash, mold and yeast concentrations; seven levels (L-1, 2, 3, 4, M-1, 2, S) in water-phase salt, and three levels (L-1, 3, 4) in the ratio of different size and breakage catego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i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