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 자기-도식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이만령 ( Manryung Lee ),박인경 ( Inkyoung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국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운동 자기-도식은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변인이며, 이의 형성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인 남, 여 200명이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운동 숙련자 및 운동 전문 지도자 10명이 개별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원자료에 대한 빈도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 자기-도식의 영향요인으로 운동효과 측면, 신체상태 측면, 행동적 측면, 인지적 측면, 심리적 측면 그리고 환경적 측면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신체활동의 참여와 지속을 위한 중재전략에 적용하면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f exercise self-schema. Self-schema is domain-specific cognitive structures formed from past experiences that are thought to guide both information processing and behavior. So the formation of exercise self-schema is important and the finding of influence factors of exercise self-schema is significant. Mothods: To explore the construct, 200 respondents answer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open-ended questions and 10 respondents answered a interview. The raw data was then subjected to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influence factors were body condition, exercise effect, behavioral aspect, cognitive aspect, psychological aspect, environmental aspec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create a program based on this result. Also, the strategy to enhance exercise self-schema should be involv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non-exerciser and exerciser.

      • KCI등재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스쿼시 수업에서 성별에 따라 학습자의 지각된 케어링 분위기와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노미영(Roh Miyoung),이만령(Lee Ma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스쿼시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케어링 분위기와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소재 3개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스쿼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242명에게 케어링 분위기, 참여동기 및 운동몰입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13부를 제외한 229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상관없이 케어링 분위기는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모두 운동몰입에 긍정적 영향력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케어링 분위기가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외적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반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대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케어링 분위기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운동수업에서 교수자가 형성하는 수업분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운동참여율이 저조한 대학생들의 운동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flow participation squash in university sport center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based on HMIEM(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28 (98 male=98, female=131)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squash class. For data processing,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Cronbach’s a and cross correlation. AMOS 21.0 Program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regardless of gender caring climate was positively affected to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then participation motivation positively to exercise flow. And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caring climate → intrinsic motivation, boys were higher than girls while girls had higher factor loading to the path of extrinsic motivation → exercise flow than boys. This finding suggest that teachers would consider to create caring climate to improv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flow depending on the gender.

      • KCI등재

        결과지식 제시시기에 따른 운동기술 학습효과

        김기웅,이만령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9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 No.1

        이 연구는 운동기술의 학습에 있어 결과지식 제시시기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2가지 실험(실험Ⅰ, 실험Ⅱ)으로 구성되었다. 실험Ⅰ은 결과지식의 제공시기가 전체 연습시행의 초기, 중기, 후기에 집중됨으로써 나타나는 기술 학습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별로 8시행을 1분단으로 반복시행 측정하는 3×20(결과지식의 제시조건×분단) 요인 설계하에서 이루어졌다. 실험Ⅱ는 실험Ⅰ에 대한 결과를 지지하기 위해 결과지식의 제시방법에 있어 집단별로 각기 다른 점감절차(fading procedure)를 이용하였으며, 연습시행의 초반, 중반, 후반 중 한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집중되는 절차와 전체시행중 골고루 결과지식을 부여하는 조건의 4가지 집단별로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4×16(결과지식의 제시조건×분단)요인 설계하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실험이 끝난 1시간후에 전이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Ⅰ의 결과에서는 결과지식이 연습회기의 중간부분에서 제공되어지는 집단이 가장 큰 수행효과를 보였으며 전이효과는 40msec조건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200msec조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Ⅱ의 결과에서도 결과지식이 전체 연습회기의 중간부분에 점진적으로 집중되어지는 조건이 연습단계에서 가장 큰 수행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연습단계에서 결과지식의 제시시기는 유의한 학습변인은 아니며, 동작수행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결과지식의 제공시기는 전체 시행의 중간부분에서 제공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wo experiments are reported in which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ime of KR provision on skill learning is investigated. Subjects were tested with a 300msec ballistic timing task in a 3×20(KR condition×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Exp.Ⅰ) and in a 4×16(KR condition×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Exp. Ⅱ), both within transfer designs. In Exp. Ⅰ,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effects(decrements of timing error) were largest in the group where KRs were provided in the middle part of the practice sequence. A significant transfer effect was observed in the 400msec condition, but not in the 200msec condition. In Exp. Ⅱ, analyse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effect in practice phase was largest in the condition where KR was progressively converged on the middle part of the whole practice sequence. The results, taken altogether, suggested that; 1) time of KR provision in the practice sequence is not a significant learning variable; 2) the effect of KR on performance is most significant when KRs are provided in the later part(not early part) of the whole practice seq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