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분화 지방육종의 임상 결과

        공창배(Chang-Bae Kong),이규평(KyuPyung Lee),송원석(Won-Seok Song),조완형(Wan-Hyeong Cho),고재수(Jae-Soo Koh),조상현(SangHyu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2

        목적: 지방육종은 간엽조직에서 기원하는 악성종양으로서, 악성 연부조직 종양의 약 20%-30%, 악성 종양 진단을 받는 환자들 중 약 1%의 비율을 차지한다. 저자들은 다양한 아형을 갖는 지방육종 환자 중 국내 보고가 없는 역분화성 지방육종의 치료 결과 및 예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사지의 역분화성 지방육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술후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9세(43-73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부 5예, 서혜부 2예, 상완부 2예, 전완부 1예, 슬와부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 cm (3.5-27.0 cm)였다. 미국암연합회 병기에 따른 진단시의 분류는 1예에서 IB, 2예에서 II, 4예에서 IIIA, 4예에서 IIIB였다. 추시 중 국소 재발이 4예, 원격 전이가 5예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지방육종 환자의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한 5년 전체 생존율은 54.5±17.6%였으며, 4명의 환자가 역분화성 지방육종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성 지방육종은 고분화성이나 점액성 지방육종보다는 예후가 좋지 않은 지방육종의 아형으로 판단된다. Purpose: Liposarcoma is a mesenchymal neoplasm and comprise 20%-30% of all soft tissue sarcomas, accounting for 1% of all malignancies. This study documen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oncological outcomes of dedifferentiated liposarcoma (DDLPS).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patients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DDLPS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20. The age, gender, symptom onset, tumor location, magnetic resonance images, surgical margin, and pathologic diagnosis of the identified cohort were reviewed. The time to local recurrence or metastasis, follow-up duration, and the patients’ final status were analyzed. Results: The patients comprised seven male and four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9 years (43-73 years). The tumor location was in the thigh in five, inguinal in two, upper arm in two, forearm in one, and popliteal in one. The average tumor diameter was 12 cm (3.5-27.0cm). At the time of diagnosis, one patient was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e IB, two were II, four were IIIA, and four were IIIB.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four, and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five.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DDLPS was 54.5±17.6%, and four died due to disease progression. Conclusion: Primary DDLPS in the extremities is a subtype of liposarcoma with a poorer prognosis than 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 and myxoid liposarcoma.

      • KCI등재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의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 유무에 따른 결과 비교

        김용성(Yongsung Kim),조완형(Wan Hyeong Cho),송원석(Won Seok Song),이규평(Kyupyung Lee),전대근(Dae-Geu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목적: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안정된 고정의 어려움과 골유합 후에도 골질 약화로 해리 및 재골절 위험이 많다.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을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적용하면 내고정도 쉽고, 골유합 기간도 단축되며, 합병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 27예(30 골절)의 골절의 양상과 치료 후 재건 술식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중첩 동종골 이식술 추가 여부에 따라 골유합 기간 및 기능적 결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절 치료 시 판형 동종골 이식을 한 군 16예와 시행하지 않은 군 14예를 비교하였다. 분석항목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부터 골절까지 기간, 골절의 양상, 골유합 기간 차이, 합병증, 및 기능적 결과를 기술하였다. 결과: 골절 양상은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UCS) B형이 21예(70.0%, 21/3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B1이 14예(46.7%, 14/30), B2가 1예(3.4%, 1/30), B3가 6예(20.0%, 6/30)였고 C형이 9예(30.0%, 9/30)였다. Kaplan–Meier 법에 의한 30 재건 부위의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84.5%±4.18%, 42.2%±7.83%였다. 전체 30예의 골유합 기간은 평균 5.1개월(범위, 2.0–11.2개월)이었다.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3.5개월(범위, 2.0–6.26개월)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7.2개월(범위, 4.0–11.2개월)보다 짧았다(p<0.0001). 최종 기능평가상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26.1점으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20.9점보다 높았다(p<0.0001). 합병증은 4예로 모두 동종골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있었다. 결론: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드물고 골유합도 비교적 잘 이루어지나 유합 후 합병증 최소화가 중요하다. 판형 중첩 동종골 이식술은 골유합 기간을 단축, 골질 증가, 해리위험성 감소 효과가 있으며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유용한 방법이다. Purpose: Periprosthetic fractures of a tumor prosthesis are rare but have difficulties in achieving sound fixation because of the poor bone quality, which increases the risk of loosening or re-fracture, even after bone union. A cortical strut onlay allograft was adopted for peri-prosthetic fractures after hip arthroplasty into the periprosthetic fracture of a tumor prosthesis, assuming that it would assist in firm fixation, shorten the time to union, and increase the bone stock, thereby, lower the chance of loosening and re-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27 patients (30 cases) of periprosthetic fracture of tumor prosthesis. Sixteen cases (allograft group) had augmentation with an onlay allograft, while 14 cases (conventional group) had internal fixation or conservative treatment. The following were assessed; mode of periprosthetic fracture, difference in the time to union between a strut cortical onlay allograft and without it, and survival of prosthesis, complication, and functional outcom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ccording to the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UCS), 21 cases were type B (70.0%; B1, 14; B2, 1; B3, 6) and 9 cases were type C. The five-, 10-year survival of the 30 reconstructions by Kaplan–Meier plot was 84.5%±4.18% and 42.2%±7.83%, respectively. The average time to bone union of the entire cohort was 5.1 months (range, 2.0–11.2 months). The allograft group (3.5 months) showed a shorter period for union than the conventional group (7.2 months) (p<0.0001). All four cases of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group. Two cases with loosening and anterior angulation were treated with a change of prosthesis, and another with infection underwent amputation. The remaining case with loosening had conservative management.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Musculosketal Tumor Society score of the allograft group (26.1)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group (20.9). Conclusion: Bone union in periprosthetic fractures of a tumor prosthesis can be achieved, but the minimization of complications is important. An onlay allograft facilitates firm fixation and increases the bone stock with a shortened time to union. This simple method can minimize the risk of loosening, joint contracture, and re-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