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Fiber Bragg Grating 센서를 이용한 저진동 가속도계 개발

        백인석(In Seok Pack),강한빈(Han Bin Kang),이계광(Kye Kwang Lee),이석순(Seok Soon Le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2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9 No.10

        Accelerometers play a key role in the structural assessment. However, the current electric type accelerometers have certain limitations to apply some structures such as heavy cabling labor, installed sea structure and sensitivity to electromagnetic fields. A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FBG) accelerometer has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electrical sensors since their immunity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heir capability to transmit signals over long distance without any additional amplifiers, and there is no corrosion from sea water.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new FBG-based accelerometer. The accelerometer consists of two cantilevered type beams and a mass and two rollers. A bragg grating element is not directly glued to a cantilever to avoid possible non-uniform strain in the element. Instead, the bragg grating element will be attached to rotation part that rolled inducing vertical movement of the mass and support cantilever beams so that the bragg grating element is uniformly tensioned to achieve a constant strain distribution. After manufacturing, we will 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accelerometer through the experiment with a vibration shaker. The FBG-based accelerometer i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vibration not exceeding 50 ㎐ for the marine and civil structures.

      • KCI등재

        기술보고 : 데이터 기록 장치가 내장된 PCS (Pressure Core Sampler)의 개발

        김상일 ( Sang Il Kim ),조영희 ( Young Hee Cho ),기정석 ( Jung Seck Ki ),김동욱 ( Dong Wook Kim ),이계광 ( Kye Kwang Lee ),김해진 ( Hae Jin Kim ),최국진 ( Kook Jin Choi ) 대한지질공학회 2014 지질공학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비전통에너지자원인 셰일가스, 석탄층메탄가스(CBM)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사업의 정확한 매장량을 위해 온도와 압력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DLS (Data Logging System)가 내장된 저류층 PCS (Pressure Core Sampler)를 개발하여 국산화시키고, 지하심부의 시료가 채취된 순간부터 시료의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시료 내 가스의 손실 없이 시추코어를 회수하는데 있다. 저류층 PCS는 일반적인 코어 샘플러와는 달리 입구 부분에 볼밸브와 같은 개폐 장치가 있어 일정 길이의 코어 샘플이 채취되면 입구를 밀폐하여 원위치 상태의 압력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은 특히 셰일가스나 석탄층메탄가스 및 가스하이드레이트와 같은 기체를 포함한 시료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PCS 장비 및 이를 활용한 기술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존 PCS의 동작원리 및 메커니즘 분석과 상세설계를 수행하여 저류층PCS를 개발중이며, 성능은 PCS 최대 사용압력 100 bar, PCS 최대 사용온도 -20~40℃, PCS 압력 손실율 10%를 목표로 하고 있다. Development of a reservoir pressure core sampler (PCS) with a built-in data logging system (DLS) for recording real-time temperature and pressure observations is critical in domestic hydrocarbon production to accurately measure and monitor reserves of shale gas, coalbed methane, and gas-hydrate. Another purpose of this new technology is to minimize the loss of gas from the core as the drill core is collected. This is accomplished by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sample from the moment the drill core is obtained at depth, thus allowing an accurate analysis of shale gas, coalbed methane gas, and gashydrate within the core. Currentl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have monopolized the development and marketability of PCS technologies. We are thus developing a reservoir PCS by analyzing the operating principle and mechanisms of the existing PCS, and by conducting tests on the existing PCS. We further aim to develop a PCS with a maximum operating pressure of 100 bar, a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 of -20oC to 40oC, and a pressure loss rate of 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