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테로이드 저항성 및 반응성 기관지천식 환자 말초단핵구세포에서 glucoeorticoid 수용체의 결합능

        이경은(Kyung En Lee),조영주(Young Joo Cho)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0 천식 및 알레르기 Vol.20 No.6

        N/A Background: Glucocorticoids (GC) are the most potent medications used to control airway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 whether alterations in GC receptor binding contribute to poor response to GC therapy in severe asthma. Methods : Seventeen patients with severe persistent bronchial asthma were studie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C sensitive if their morning FEV1 increased >15% after a 1-week course of systemic GC (>prednisolone 40mg/day) and GC-resistant if they failed to increase )15%. GC receptor binding affinity for dexamethasone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were determined by using a radioligand binding assay and Scatchard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serum IgE levels, peripheral blood eosinophils and atopic states between GC-resistant (n=10) and GC-responsive (n=7) groups. GC-resistant patien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GC receptor binding affinity (Kd=24.3+9.55) compared to the GC sensitive patients (Kd=13.5+1.48) and normal controls (n=6, Kd=4.24+ 1.09).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decreased binding affinity of GC receptor is an important factor in clinical GC resistance in chronic severe asthma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 927-35, 2000)

      • KCI등재

        글루코스와 피부르산염의 농도가 조절된 DMEM과 Vero 세포를 이용한 무혈청 적응용 배양액의 개발에 관한 연구

        김주환 ( Ju Hwan Kim ),서영석 ( Young Seok Seo ),송해범 ( Hai Bun Song ),양정보 ( Jung Bo Yang ),이경은 ( Kyung En Lee ),이기환 ( Ki Hwa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2

        목적: 본 연구는 글루코스와 피부르산염이 조절된 DMEM을 이용해 Vero 세포를 배양한 후 무혈청 적응용 배양액 (Serum-free Vero cell conditioned medium, SF-VCM)을 얻어 생쥐의 착상 전 생쥐 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총 846개의 2-세포기 배아를 4~5주령의 ICR 계통 생쥐로부터 얻었다. 글루타민만 함유되어 있는 DMEM (DMEM-G)과 글루타민, 글루코스 및 피부르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DMEM (DMEM-GGP)을 각각 3:1 (#1), 1:1 (#2) 및 1:3 (#3)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Vero 세포 단층이 형성된 배양용기에 DMEM #1 배양액을 각각 10 mL, 30 mL 및 50 mL 씩넣어 48시간 배양 후 회수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배양액에 생쥐배아를 배양하여 48시간 및 96시간에 발달을 비교하였다. 또한 20% 난포액을 함유하고 있는 DMEM #2 배양액을 Vero 세포와 공배양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 DMEM #1, #2 및 #3 배양액으로 제조된 3가지 SF-VCM에도 생쥐배아를 배양하여 발달을 서로 비교하였다. Vero 세포와의 공배양군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는 10% SSS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 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DMEM #1 배양액 30 mL를 넣은 군에서 각 단계 발달률 (상실배아≤: 97.2%, 주머니배≤: 97.2%, 탈출 주머니배≤: 82.2%)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Vero 세포와의 공배양과 다양한 SF-VCM에서 생쥐 배아의 체외배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DMEM #1 배양액으로 제조된 SF-VCM #1 실험군 (Group I)에서 각 단계별 발달률 (상실배아≤: 98.1%, 주머니배≤: 97.1%, 탈출 주머니배≤: 81.7%)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 96시간 후탈출 주머니배 이상으로의 발달에서는 대조군 (67.6%)보다 유의하게 높은 발달률을 나타내었다 (P<0.05). 결론: Vero 세포 단층이 형성된 배양용기에 DMEM #1 배양액을 사용하여 SF-VCM을 제조하는 경우 250 mL 플라스크에 30mL의 용량으로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는 다른 농도의 배양액에 비해 더 높은 체외 발달률을 유도 할 수 있어 사람의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응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vitro development of early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in various kind of serum-free conditioned media (SF-VCM) manufactured from DMEM cultured with Vero Cells. Methods: A total of 846 two-cell mouse embryos were cultured in different kind of SF-VCM. SF-VCMs were divided into SF-VCM-10, -30 and -50 by media volume using DMEM #1 media, and divided into SF-VCM #1, #2 and #3 by controlled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pyruvate (manufactured by DMEM #1: mixed three volume of DMEM-G (DMEM with glutamine without glucose and pyruvate) and one volume of DMEM-GGP (DMEM with glutamine, glucose, pyruvate), #2: mixed same volume of DMEM-G and DMEM-GGP and #3: mixed one volume of DMEM-G and three volume of DMEM-GG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s were mainly added 10% SSS, and 20% hFF was added to only Control group co-cultured with Vero cells. Development of embryos was observed every 24 hours. Results between different group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value was less than 0.05. Results: In vitro developmental rate by each cleavage stages of mouse embryos cultured in SF-VCMs with a various volum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SF-VCM-30 (morula≤: 97.2%, Blastocyst (BL)≤: 97.2%, Hatching BL≤: 82.2%) than other groups. In the rate of development on in vitro co-culture vs. a various SF-VCMs manufactured by DMEM controlled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pyruvate, Group I (SF-VCM #1)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each cleavage stages (morula≤: 98.1%, Blastocyst (BL)≤: 97.1%, hatching BL≤: 81.7%, respectively). Moreover, specially, in the developmental rate into the hatching blastocyst ≤after 96 hours in vitro culture, Group I (81.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67.6%, P<0.05). Conclusion: SF-VCM #1 manufactured by volume of 30 mL DMEM #1 media cultured in vitro for 48 hours in 250 mL flask was the most effective on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F-VCM #1 has application to human IVF-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