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짜라까상히따(Caraka-saṃhitā)』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인도학회 2020 印度硏究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아유르베다(Āyurveda)의 3대 의서(醫書) 중의 하나로 꼽히는 『짜라까상히따』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생명, 건강, 질병, 진단, 치료에 관한 전인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과정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 원리는 ‘세계와 인간의 동일(loka-puruṣa-sāmya)’이다. 소우주로서의 인간과 대우주로서의 세계 사이에는 역동적인 연속이 있으며, 이 둘 사이의 조화는 개인의 건강에 핵심적이다. 한편 이 둘 사이의 조화와 연속을 무너뜨리는 핵심 요소는 1) 감각기능, 2) 시간적인 변화(kāla), 3) 지성(buddhi)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중에서 감각기능과 질병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짜라까상히따』에서는 감각기능이 물질성(bhautika)과 편재성(vibhūtva)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설명되는데, 이것은 감각기능이 개별의식(ahaṃkā)의 산물이므로 편재적이라는 상키야의 견해와, 감각기능을 5종 조대요소(mahābhūta)의 산물로 보는 니야야의 이론을 종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종합의 결과로 짜라까는 감각기능과 그 대상의 직접적인 접촉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짜라까상히따』에서 지각의 전 과정은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이해되는 특징을 보인다. 짜라까는 감각대상(indriya-artha), 감각기관(indriya-adhiṣṭhāna), 감각물질(indriya-dravya), 감각기능이 일직선상에 설 때 지각(indriya-buddhi)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데, 상키야와는 달리 그는 감각기능을 개별의식이 아니라 5종 조대요소의 산물로 이해함으로써 지각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연결했다. 즉 감각대상뿐만 아니라 감각기관과 감각기능까지도 모두 물질적이며, 심지어 감각기능을 통제하는 마음(manas)도 물질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상키야는 감각기능을 개별의식의 산물로 보기 때문에 감각기능은 상대적으로 의식적·비물질적이며, 따라서 지각은 비물질적인 감각기능과 물질적인 대상의 접촉으로 이해된다. 물론 니야야에서도 감각기능이 5종 조대요소의 산물로 간주되지만, 짜라까는 5종 감각기능의 구성에 베단따의 오분작설(五分作說)을 차용함으로써 5종 조대요소와 5종 감각기능 간의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5종 조대요소 전체가 5종 감각기능과 상호소통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또한 니야야와 마찬가지로 짜라까는 감각기능도달설(Prāpya-vāda)을 수용하지만, 니야야와는 달리 감각기능 자체의 편재성을 인정함으로써 대상과의 접촉을 보다 직접적인 것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짜라까상히따』에서 지각의 전 과정이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감각기능은 지식을 얻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바깥세계의 물질적인 내용물을 마음과 영혼에 전달하는 기능(faculty)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감각기능이 바깥세계와 접촉하여 지각하는 것은 입으로 음식물을 먹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짜라까상히따』에서 감각기능과 대상 간의 비정상적인 접촉이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짜라까상히따에서 마음은 일종의 특수한 감각기능인 동시에 또한 모든 감각기능들의 통제자로 간주된다. 따라서 감각기능들과 그 대상 간의 비정상적인 접촉의 배후에는 마음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감각기능의 오용에 기인하는 모든 질병은 결국 마음과 관련된다.

      • KCI등재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Agni)의 의미에 대한 고찰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6 남아시아연구 Vol.22 No.2

        아유르베다(Āyurveda)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인도의 전통의학이며, 그 주요 목적은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단순히 육체적인 무병장수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육체와 영혼의 완전한 건강(mokṣa)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근현대를 통하여 형성되어온 건강관의 결론을 포함하고 있다. 아유르베다 인체론은 뉴턴물리학에 토대를 둔 기계론적 인간관과 다르다. 그것은 인체를 단지 시간과 공간에 단순 정위된 물질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속적인 "흐름" 또는 "과정"(process)으로 파악한다. 이와 같은 인체 이해는 세계의 구성요소로서 물질적 입자를 끊임없이 변화하는 파동으로 구성된 과정으로 이해하는 양자역학의 입장과 서로 통한다. 아유르베다에 따르면, 인체의 각 구성요소가 끊임없는 과정으로 동적인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아그니(agni, 소화의 불)이다. 이런 점에서 아그니는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의 핵심개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그니는 건강(svāthya)의 핵심이다. 아그니는 모든 생명체의 뿌리(mūla)이며 가장 중요한 지탱 요소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의 핵심분야인 내과의학(kāya-cikitsā)이 아그니의 유지와 동일시된다는 것은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요가, 미용, 한의학, 심리치료 등과 관련하여 이미 국내에서도 아유르베다의 여러 요법들과 기전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아유르베다의 아그니 개념에 대한 상세하고 체계적인 고찰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에서 아그니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후에,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베다(Veda)문헌과 육파철학(六派哲學, saḍdarśana)에서 아그니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주로 『리그베다』(Ṛg-veda)의 아그니신이 지니는 상징적, 물리적 의미, 상키야(Sāṃkhya)와 바이세쉬까(Vaiṣeśika)에서 아그니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아유르베다의 주요 경전인 『짜라까상히따』(Caraka-saṃhitā), 『수슈루따상히따』(Suśuruta-saṃhitā), 『아슈땅가흐리다얌』(Aṣṭāṅga Hṛdayam)에 나타난 아그니 개념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고찰함으로써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에서 아그니개념이 지니는 다양한 차원의 의미를 규명한다. 여기서는 특히 삣따(pitta), 아마(ama), 붓디(buddhi), 소마(soma) 등과 아그니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Āyurveda is a traditional medical science originating from the ancient times in India and is aimed to treat diseases and keep healthy. Āyurveda seeks not only physical health and longevity, but also complete health of body and soul (mokṣa). In this sense, Āyurveda embraces health-views accumulated from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Āyurvedic understanding of human body is different from mechanistic views of human body based on Newtonian physics. It does not define human body as a material just oriented by time and space, rather as a continuing flow and process. This kind of understanding on human body adopts the same stance as quantum physics to understand material particles as a process made up of constantly changing waves as elements of the world. According to Āyurveda, it is agni that leads each element of human body to preserve dynamic constancy as a changing process. In this regard,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agni is a core concept of medical science system of Āyurveda. Agni is an essence of health (svāthya). Agni is a root(mūla) and the most significant supporting factor of all living things. The internal medicine (kāya-cikitsā), a core element of Āyurveda is identical to preserving agni, which directly shows the importance of agni in Āyurved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meaning of agni in Āyurveda. Many kinds of therapy and mechanism of Āyurveda are already being employed in various ways in domestic markets related to yoga, beauty, oriental medicine, psychical cure, etc. Despite this fact, the concept of agni in Āyurveda has not been studied in a detailed and systematic fashion.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in the medical system of Āyurveda is reviewed from the historic viewpoint and then the meaning of agni in Āyurveda is defi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is examined in Veda and saḍdarśana. Here, the paper looks at the symbolic and physical meaning of the Agni in Ṛg-veda and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and its meaning in Sāṃkhya and Vaiṣeśika. In the third chapter, the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agni in Caraka-saṃhitā, Suśuruta-saṃhitā and Aṣṭāṅga Hṛdayam, the major scriptures of Āyurveda. In the fourth chapter, the study defines various meanings of agni concept in the medical system of Āyurveda by examining major concepts, such as pitta, ama, buddhi, soma, etc., related to agni in Āyurveda.

      • KCI등재

        아유르베다에서 스로따스(Srotas)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인도학회 2021 印度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Āyurveda)에서 스로따스(srotas)체계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는 것이다. 현대 서양의학과 비교할 때, 아유르베다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전일적(全一的, holistic) 접근방식과 유기론적 인체이해라고 할 수 있다. 아유르베다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볼 뿐만 아니라, ‘세계와 인간의 동일(loka-puruṣa-sāmya)’을 그 으뜸 원리로 삼는다. 중국전통의학의 경락(經絡)체계와 마찬가지로, 스로따스체계는 인체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상호유기적인 관련을 가능하게 하는 순환체계일 뿐만 아니라, 또한 그것은 심신통합체로서의 인간이 자연과 상호소통하는 통로이다. 아유르베다에서 스로따스는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인체 내의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어떤 물질이 드나들고 순환하는 해부학적인 의미의 도관일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생체전변(pariṇāma)이 일어나는 장소이기도 하다. 아유르베다의 주요 고전들에서는 스로따스의 수(數)와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만, 그것은 단지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대표적인 스로따스들을 나타낼 뿐이며, 인체에는 무수히 많은 스로따스들이 있다. 미세한 차원의 아누(aṇu)스로따스는 인체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세포)로 이해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아유르베다에서는 5가지 감각기관 등의 외적인(bahirmukha) 스로따스들보다는 도샤(doṣa)-다뚜(dhātu)-말라(mala)의 이동과 순환이 이루어지는 내적인(antarmukha) 스로따스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특히 다뚜(신체조직)의 이동과 순환이 이루어지는 스로따스들이 중요시되었다. 이 점에서 스로따스는 하타요가(haṭha-yoga)의 나디(nāḍī, 기도(氣道))와는 다른 순환체계로 이해된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마음(manas)이나 심리적 요소(saṃjñā)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마노바하스로따스(manovahasrotas)가 인정된다. 이것은 도샤-다뚜와 마찬가지로 마음도 쁘라끄리띠(prakṛti, 근본물질)의 산물로 보기 때문이다. 스로따스체계는 해부학적-구조적인 측면과 생리학적-기능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닌다는 점에서 중국전통의학의 경락체계나 서양 현대생리학의 순환계, 즉 혈관계나 림프계와 다르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이거룡(Lee, Geo- lyong)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우빠니샤드(Upaniṣad)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의 이론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은 우빠니샤드에서 형성된 업과 윤회의 이론이 어떻게 초기불교에서 변용(變容)되는가 하는 점이다. 특히 업과 윤회의 주체 문제가 논의의 초점이다. 우빠니샤드의 업설과 윤회설이 초기불교로 수용되면서 우빠니샤드전통과 불교 사이에 가장 중요한 논점은 윤회의 주체 문제였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뿐만 아니라, 베단따(Vedānta)나 부파불교의 견해를 참고하였다. 윤회의 주체 문제에 대한 우빠니샤드전통과 초기불교의 입장은 다음 3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1) 초기불교는 윤회의 주체를 부정했는가? 그렇지 않다. 석가모니 붓다는 엄연히 윤회를 전제로 설법을 했으며, 초기불전에는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구절이 여럿 있다. 2)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는 입장은 무아설과 양립불가능한가? 그렇지 않다. 무상한 오온(五蘊)의 집합을 윤회의 당체로 간주하는 것은 무아설과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미세신(微細身, sūkṣa-śarīra)을 윤회의 주체로 간주하는 우빠니샤드전통은 오온의 상속으로 윤회를 설명하는 불교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아뜨만(Ātman, 我)을 인정하는 우빠니샤드전통은 윤회의 주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윤회의 주체문제를 논리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는 두 전통 모두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불교는 ‘새(鳥) 없는 비행(飛行)’을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우빠니샤드전통은 ‘날지 못하는 새의 비행’을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The doctrine of karma and saṃsāra (the realm of rebirth and karmic retribution) has several functions in Indian thought. It provides causal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a of life, serves as a foundation for ethical and religious understanding, and rationalizes the commitment to seek liberation from a painful and unsatisfactory worldly existence.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karma and rebirth (saṃsāra) in theUpaniṣads and Early Buddhism,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octrine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which were formed during what is called the Axial Age in India. In fact, various schools of Indian thought disagreed over the nature of the karmic agent. Furthermore there were constant disputes between Hinduism and Buddhism concerning this matter, because the Buddhist idea of non-self (anātman) seemed to be incompatible with that of Ātman in the Upaniṣads. This essay considers with the matter of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in Upaniṣads and early Buddhism in terms of three questions. 1) Did Early Buddhism negate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The essay finds this to not be so. As is evident from the early Buddhist texts, the sermons of the Buddha presupposed the doctrine of karma and rebirth, and in those texts we can find out several verses affirming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2) Is the theory of non-self (anātmavāda) incompatible with the viewpoint which agrees with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Again, this essay finds this to not be so. As jīvātman (individual self) or sūkṣma-śarīra (subtle body) in theUpaniṣads play the role of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so the organic unity of pañcaskhanda (the five groups of elements) of early Buddhism can be regarded as the agent. 3) Taking the standpoint of the Upanisadic theory of Ātman, can the problem of the agent of karma and rebirth be explained from start to finish? Here again, it is not so. As in Buddhism there is difficulty in explaining ‘a flying without affirming the existence of a bird’, so in Upanisadic traditions there is a knotty point to explain, that is ’a flying of bird which cannot fly.

      • KCI등재

        아유르베다(Ayurveda)에 의거한 요가 아사나(asana) 수련의 마음치유원리

        이거룡 ( Lee Geo-lyong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본 논문의 목적은 요가의 아사나(asana) 수련을 통하여 기대할 수 있는 마음치유의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아사나수련은 대개 신체수련 또는 신체적인 질환의 치유효과와 관련하여 논의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빠딴잘리(Patanjali)의 고전요가에서 아사나는 그 자체로 마음치유의 측면을 지닌다. 전통적으로 치유를 위한 요가수련은 아유르베다(Ayurveda)와 유기적인 관련을 지닌다. 요가수련 프로그램에는 수련자의 신체적, 정신적 체질이 고려되어야 하며, 요가테라피(yoga-therapy)의 적용과정에서 핵심은 아유르베다 체질에 의거한 개별적인 접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유르베다는 신체의 체질과 마음의 체질을 구분하고 있지만, 또한 이 둘의 상호관련을 인정한다. 즉 신체적 도샤(dosa)는 정신적 도샤와 유기적인 관련을 지닌다. 또한 신체와 마음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볼 때, 신체수련과 마음수련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즉 아사나는 단지 신체수련이 아니라 마음수련의 측면을 지니며, 또한 명상은 기본적으로 마음수련이지만 그럼에도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의 각 부위는 특정 도샤와 관련을 지니며, 요가 아사나를 통하여 이 부위를 압박하고 자극함으로써 특정 도샤의 증가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아사나 수련이 신체적 도샤의 균형을 도모하고 마침내 마음작용의 억제를 위한 수련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아사나 수련의 전 과정에서 “바라봄”(觀)이 병행되어야 한다. 바라봄과 집중이 그 대상에 미치는 영향은 오늘날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관찰자 효과”로 설명될 수도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mind healing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yoga asana training. So far, asana training has generally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physical training or the healing effects of physical diseases. In classical yoga of Patanjali, asana training has its own side of mind healing. This can be read, in the definition (2.46), completion (2.47) and effect (2.48) of asana, which are introduced in the Yoga Sutra. In particular, the comment of Vyasa which says that the asana is completed by “the relaxation of severe effor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asana's mind healing aspects. Traditionally, yoga training for healing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yurveda. This point can be seen in the Yoga Sutra and the commentary of Vyasa. Ayurveda and yoga complement each other. While Ayurveda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the outside world,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physical health, yoga focuses on the restraint of fluctuations in the mind and spiritual perfection.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emphases is only relative, and traditionally these two traditions have been regarded as sister studies. In the yoga training program, the physical and mental constitution of practitioner should be considered,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entral point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yoga-therapy is the individual approach based on the Ayurvedic constitution. Though Ayurveda distinguishes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and that of the mind, it also acknowledge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wo.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osa and mental dosa means that asana practice can act as one of the mind healing. Also, in terms o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physical practice and mind training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Asana is not merely a physical practice, but a mind training. And similarly, meditation is a mind training, but it affects the body nevertheless. The Asana training can balance the dosa, but it can also disturb the dosa balance. The opposite is also valid. In other words, the balance of mental dosa can affect that of physical dosa. Each part of the body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dosa, which can be stressed and stimulated through the Yoga asana to increase or balance specific dosa. However, in order to balance of physical dosa and suppress the fluctuations in the mind, the 'mindful observation' must be performed in the whole process of practice. The influence of mindful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object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observer effect' in quantum mechanics today. There is a proverb in the yoga tradition that “Cakra lives with the food of mindful observation given by the practition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