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CUSUM 통계량과 FLSA의 변화점 식별 성능에 대한 실증적 비교

        이가령(Garyeong Lee),손원(Won Son),이성임(Sungim Lee),유동현(Donghyeon Y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6

        CUSUM 통계량은 오차의 누적합을 기반으로 정의된 통계량으로 binary segmentation (BS), circular BS, wild BS 등의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변화점 식별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 (FLSA)는 총변동 벌점이 부여된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구간별 상수 구조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다중변화점 식별을 위해 자주 활용되고 있다. 한편, FLSA는 변화점 식별에서의 점근적 일치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Son과 Lim (2019)은 FLSA을 변형한 modified FLSA (mFLSA)을 제안하고 점근적 일치성을 보인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개발된 이 변화점 식별방법들이 실제로는 간단한 정리 과정을 통해 매우 비슷한 형태의 통계량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 다중변화점 식별 문제에 있어서 CUSUM 통계량, FLSA, mFLSA의 특징을 살펴보고 모의실험을 통해 각 방법들의 성능을 실증적으로 비교보았다. 모의실험 결과, 세 변화점 식별 방법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방법보다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 볼 수 없으며 오차항의 분산, 평균모형의 구조 등에 따라 변화점 식별 성능에 차이가 발생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Cumulative Sum (CUSUM) and the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 (FLSA) for detecting change points in a mean model. The two methods are widely used for identifying change points. The CUSUM statistic is based on the cumulative sums over the two intervals separated by a candidate change point. On the other hand, the FLSA is a form of regularized method, a combination of the residual sum of squares and a total variation penalty term. Although the two methods are developed from quite a different motivation, these statistics can be expressed in very similar form. The FLSA statistics derived from the pathwise algorithm (Hoefling, 2010) and the modified FLSA statistics (Son and Lim, 2019) can be used for false change points elimination and eventually for change points detection. The modified FLSA statistics are equivalent to the CUSUM statistics divided by the standard error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neighboring two blocks.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se statistics in various situations and find that each method has its own advantage and disadvantage for change point detection.

      • KCI등재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에 관한 질적 연구: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민기채(Kichae Min),김혜원(Hyewon Kim),이가령(Garyeong Lee),장하영(Hayoung Jang),정보희(Bohee Jeong),최성은(Seongeun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 멘토, 운영담당자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 9명이 멘토로, 충주시에 거주하는 중도입국청소년 9명이 멘티, 담당 사회복지사자가 프로그램 운영자로 참여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다문화멘토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자아존중감 그리고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문화적응, 한국어능력에 어떠한 의미인지를 해석하기 위해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개방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멘토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고정관념 및 편견이 감소하였고, 본인 또한 멘티와 같이 성장함을 느꼈다고 하였다. 멘티는 자기수용 및 자기표현이 증가하였고, 사회적 기술을 획득할 기회를 얻었다고 하였으며, 특히 한국어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다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대상을 중점으로 분석한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CIPP 평가모형에 따라 대학생 멘토-중도입국청소년 멘티-프로그램 운영자라는 3자의 참여에 기초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도입국청소년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를 위한 CIPP 평가모형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from various aspects of mentees, mentors, and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immigrant youth-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To this end, the mentor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nin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s mentors, nine middle-aged immigrants living in Chungju as mentees, and a social worker in charge as the program operato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IPP evaluation model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 the self-esteem, socio-cultural adapta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of immigrant youths. Based on the open coding, it was analyzed. Mentors said that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decreased, and that they felt that they grew up together with the mentee. The mentee said that self-acceptance and self-expression increased, and that they had an opportunity to acquire social skills. In particular, it was given meaning that it wa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individual subj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ree subjects according to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effectivenes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immigrant youth-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