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을 통한 심리적 자본의 성장에 대한 연구

        최명원 ( Choi Myungweon ),윤혜준 ( Yoon Hea J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의 경험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 참여자 108명을 대상으로 준실험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 속한 참여자들의 경우, 각각 한 명의 코치와 짝을 이루어 이들에게 10주간의 코칭을 받는 과정을 거쳤다. 한편, 통제집단에 소속된 참여자들의 경우, 동일 기간 중 경력안내 세션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수집한 사전 응답과 사후응답을 분석한 결과, 해당 기간 중 심리적 자본의 유의미한 변화는 실험집단에서만 관찰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를 근거로, 훈련된 전문코치로 부터의 코칭은 개인의 심리적 자본을 성장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aching can foster psychological capital, a composite factor of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the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design, and recruited 10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outh Korea. 58 of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where they received a series of one-on-one coaching sessions with qualified coaches over the course of 10 weeks. Another 50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participated in career information sessions. As expected,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revealed that changes in psychological capital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support that coaching interventions can help individuals build psychological capital.

      • KCI등재

        청소년기 대인관계와 성인기의 사회적 신뢰 간 관계 연구

        민숙원 ( Sookweon Min ),이세웅 ( Se Woong Lee ),윤혜준 ( Hea Jun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대인관계(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가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로 연결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았으며, 청소년기 대인관계가 성인기의 사회 적응에 기반이 되는 사회적 신뢰 수준과 연결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 Ⅰ)의 1차년도부터 12차년도의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코호트 고정효과모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에 교사와의 관계가 좋은 학생들이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도 좋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소년기에 또래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한 학생일수록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 역시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기의 부모와의 관계도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기 대인관계와 성인기 사회적 신뢰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개인의 특성, 가정 배경 및 교육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했을 때 청소년기 시절의 교사와의 관계와 부모와의 관계가 성인기 사회적 신뢰 수준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olesc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and social trust in adulthood. We used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data,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that tracks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cohor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eniors over a deca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udents with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 adolescence show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In addition, students who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in adolescence also tend to show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Moreover,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adolescence were shown to predict on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This study also found that when we control for on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olescen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trust in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