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복지사의 경험에서 본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과제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정기섭 ( Chung Kiseob ),손미란 ( Son Miran ),윤혜성 ( Yun Hyes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1990년대 말 외환위기(IMF) 이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는 한국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복지정책 중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시의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소통의 어려움, 교육복지사업 운영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것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3개의 상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점으로 다음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복지사의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다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멘토링, 슈퍼비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에 대한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기관 복지담당자 간의 교육복지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법 규정에 의한 지원대상의 사각지대에 있는 교육소외계층 학생 발굴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t the end of 1990s, which was the age of financial crisis, education gap among classes became a salient issue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and solutions of national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marginalized class, which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project among nation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five school social workers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who are working o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s a result, the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positively. In spite of this positive evaluation, there were three problems such as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ng educational worker and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developing them are needed. Second, they need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welfare and develop their compet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educational welfare among teachers, parents and social workers. Fourth, welfare system has to focus on educationally alienated class in the blind spot and develop personal competencies of school social worker.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